{"title":"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Depression Level in the Elderly: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y","authors":"Kayoung Park, Sujeong Yu","doi":"10.21194/kjgsw.78.3.202309.1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근거로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그 관계에서 경제활동 유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증가를 위한 복지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 중 본인 응답자 7,05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우울수준은 종속변수로 디지털 리터러시는 독립변수, 경제활동 유무는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SPSS 27.0과 Process macro model 1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경제활동 노인이 경제활동 노인보다 전반적 우울수준이 높았으며(b=-.734, p.001),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우울 수준에 부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100, p.001). 노인의 경제활동 유무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우울의 관계에서 완충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의 세기가 경제활동 노인보다 비경제활동 노인에게 더욱 큼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비경제활동 노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확대하고 경제활동 연계 및 지원을 통한 사회참여 확대 방안을 제언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Noin bogji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1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근거로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그 관계에서 경제활동 유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증가를 위한 복지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 중 본인 응답자 7,05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우울수준은 종속변수로 디지털 리터러시는 독립변수, 경제활동 유무는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SPSS 27.0과 Process macro model 1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경제활동 노인이 경제활동 노인보다 전반적 우울수준이 높았으며(b=-.734, p.001),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우울 수준에 부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100, p.001). 노인의 경제활동 유무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우울의 관계에서 완충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의 세기가 경제활동 노인보다 비경제활동 노인에게 더욱 큼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비경제활동 노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확대하고 경제활동 연계 및 지원을 통한 사회참여 확대 방안을 제언하였다.
本研究的目的是,以活动理论为依据,观察老人数码素养对抑郁产生的影响,并在其关系中验证有无经济活动的调节效果,为增加老人的社会参与提供福利政策开发的基础资料。为此,在2020年老人实态调查数据中,使用了7054名本人回答者的资料,抑郁水平为依赖变量,数字retush为独立变量,有无经济活动为调节变量,分析为SPSS 27.0和Process macro model 1。分析结果显示,非经济活动老人比经济活动老人整体忧郁水平高(b=- -)。734, p.001),老年人的数字升现象对抑郁水平有不适当的影响(b=-。100, p . 001)。老年人有无经济活动在数字升乐与抑郁的关系中具有缓冲效果,这意味着数字升乐对抑郁的影响力比经济活动老人对非经济活动老人的影响更大。在分析结果的基础上,提出了在急剧变化的信息化社会中,以非经济活动老人为对象,扩大数码素养教育,通过联系经济活动及支援扩大社会参与的方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