营养摄入状况对独居老年人认知功能的影响:抑郁的中介作用

Jeon Jin
{"title":"营养摄入状况对独居老年人认知功能的影响:抑郁的中介作用","authors":"Jeon Jin","doi":"10.21194/kjgsw.78.3.202309.3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는 인지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은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와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백세시대를 기대하는 고령화 사회에서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s of Nutrient Intake Status on Cognitive Function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authors\":\"Jeon Jin\",\"doi\":\"10.21194/kjgsw.78.3.202309.3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는 인지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은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와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백세시대를 기대하는 고령화 사회에서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Noin bogji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3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Noin bogji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3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是验证独居老人营养摄取状态对认知功能的影响中抑郁的媒介效果。为此,利用了韩国保健社会研究院实施的2020年老人实态调查数据,资料分析使用了SPSS 25.0统计程序。分析方法采用了技术统计、相关关系和回归分析,并使用了Baron和Kenny(1986)的分析方法来验证抑郁的媒介效果。结果显示,独居老人的营养摄取状态对认知功能没有直接影响,而是通过抑郁间接产生影响。也就是说,抑郁对独居老人的营养摄取状态和认知功能之间的关系起到了完全的媒介作用。以这样的研究结果为基础,对在期待百岁时代的高龄化社会中,预防独居老人认知功能低下的实践含义和本研究的局限性及以后的研究方向进行了讨论。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Effects of Nutrient Intake Status on Cognitive Function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는 인지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은 독거노인의 영양섭취상태와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백세시대를 기대하는 고령화 사회에서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