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数字素养与性别在老年人社会支持与抑郁关系中的交互作用","authors":"Soondool Chung, Ahyoung Lee, Jee Hye Jung","doi":"10.21194/kjgsw.78.3.202309.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성별에 따라 알아보았다. 2020년 5월에서 9월까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37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Hayes의 SPSS Process Macro의 모델 3을 사용하여 조절된 조절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노인의 사회적지지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두 번째, 그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 조절효과가 다시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투입된 첫 번째 모델에서는 기혼 여부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모델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각각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모델에서 사회적 지지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상호작용항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지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성별의 삼원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호작용효과의 사후검토를 위해 단순 기울기 유의성 검증을 한 결과, 남성의 경우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이러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교육에 대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Interaction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authors\":\"Soondool Chung, Ahyoung Lee, Jee Hye Jung\",\"doi\":\"10.21194/kjgsw.78.3.202309.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성별에 따라 알아보았다. 2020년 5월에서 9월까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37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Hayes의 SPSS Process Macro의 모델 3을 사용하여 조절된 조절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노인의 사회적지지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두 번째, 그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 조절효과가 다시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투입된 첫 번째 모델에서는 기혼 여부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모델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각각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모델에서 사회적 지지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상호작용항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지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성별의 삼원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호작용효과의 사후검토를 위해 단순 기울기 유의성 검증을 한 결과, 남성의 경우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이러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교육에 대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Noin bogji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Noin bogji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从老人的社会支持对抑郁产生的影响中,根据性别了解了数字信息利用能力的调节效果。收集了2020年5月至9月利用老人福利院的376名60岁以上老人的资料。使用等级回归分析和Hayes的SPSS Process Macro模型3验证了调节的调节效果模型。第一,了解老人的社会支持程度对抑郁的影响;第二,验证其关系中数字信息应用能力的调节效果;最后,了解这一调节效果是否又由性别来调节。研究结果显示,在投入人口社会学变数的第一种模式中,已婚与否和主观健康状态会对老人的忧郁产生影响。第二种模式显示,社会支持和数字信息利用能力分别对抑郁产生影响。在第三种模式中,社会支持和数字信息应用能力的相互作用项没有被注意。最后,社会支持,数字信息应用能力,性别三元调节效果显著。为了事后研究相互作用效果,进行了单纯倾斜度显著性验证,结果显示,男性的数字信息利用能力可以缓解社会支持对忧郁产生的影响。对于女性来说,这样的调节效果没有意义。以研究结果为基础,讨论了今后对老人进行数字教育的启示。
The Interaction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성별에 따라 알아보았다. 2020년 5월에서 9월까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37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Hayes의 SPSS Process Macro의 모델 3을 사용하여 조절된 조절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노인의 사회적지지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두 번째, 그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 조절효과가 다시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투입된 첫 번째 모델에서는 기혼 여부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모델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각각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모델에서 사회적 지지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의 상호작용항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지지,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성별의 삼원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호작용효과의 사후검토를 위해 단순 기울기 유의성 검증을 한 결과, 남성의 경우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이러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교육에 대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