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on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Security Guards

Somin Lee, Jeongsu Lim, Sion Jang, Yukyeong Oh
{"title":"A Study of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on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Security Guards","authors":"Somin Lee, Jeongsu Lim, Sion Jang, Yukyeong Oh","doi":"10.21194/kjgsw.78.3.202309.16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고령 경비원의 근로환경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근로환경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경비⋅수위⋅시설관리’ 직종에 근무하는 65세 이상 노인 317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t-검정과 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로환경 특성에 따라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상용직이 임시·일용직보다, 주당 근로시간은 40시간 이하일 때가 그 이상일 때보다, 일터에서 경험한 차별 경험이 있을 때가 없을 때보다 높은 우울 수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환경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업체에 소속되어 있을수록, 주당근로시간이 적을수록, 일터에서 연령차별을 경험할수록, 근무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령 경비원의 건강한 근로환경 개선과 우울 문제의 예방 및 해결 전략 마련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500237,"journal":{"name":"Noin bogji yeon'gu","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Noin bogji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1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 경비원의 근로환경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근로환경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경비⋅수위⋅시설관리’ 직종에 근무하는 65세 이상 노인 317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t-검정과 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로환경 특성에 따라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상용직이 임시·일용직보다, 주당 근로시간은 40시간 이하일 때가 그 이상일 때보다, 일터에서 경험한 차별 경험이 있을 때가 없을 때보다 높은 우울 수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환경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업체에 소속되어 있을수록, 주당근로시간이 적을수록, 일터에서 연령차별을 경험할수록, 근무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령 경비원의 건강한 근로환경 개선과 우울 문제의 예방 및 해결 전략 마련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工作环境对老年保安人员抑郁症状影响的研究
本研究对高龄保安的劳动环境特性进行了分析,并试图观察劳动环境对忧郁产生的影响。为此,利用“2020年老人实态调查”,选出317名从事“警卫、门卫、设施管理”职业的65岁以上老人作为分析对象。使用SPSS 26.0程序进行技术统计和频率分析,t-检验和One-way ANOVA,相关分析,多重回归分析。研究的主要结果是:按照劳动环境特性是否抑郁水平有差异,观察结果,商用职比临时日工,每周工作40小时以下时,他比以上时,在岗位经验的差别有经验时,当没有更高的抑郁水平出现的经验。对劳动环境特性对抑郁产生的影响进行分析的结果显示,越是隶属企业、每周工作时间越少、在工作岗位上经历年龄歧视、工作满意度越低,抑郁水平就越高。通过本研究结果,为改善高龄保安的健康劳动环境和预防及解决忧郁问题,提出了社会福利实践性、政策性对策。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