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un Myun Kim, Jeong Rim Koh, Min Ju Park, Bit Na Park, Ju Yeong Lee
{"title":"Types of Perceptions of Burnout Resilience among Nursing Hospital Nurses","authors":"Geun Myun Kim, Jeong Rim Koh, Min Ju Park, Bit Na Park, Ju Yeong Lee","doi":"10.18346/kssss.64.6","DOIUrl":"https://doi.org/10.18346/kssss.64.6","url":null,"abstract":"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탄력성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유형1은 ‘조직체계개선 우선형’으로 소진상황에서 개인적인 차원보다는 조직차원의 근본적인 개선과 정책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유형2는 ‘전문적 역할 충실형’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간호 상황에서 전문지식을 최대한 활용하고, 역량을 개발하여 간호사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게 노력해야 한다고 인식한다. 유형3은 ‘사회적 인정 중시형’으로 힘든 간호 상황에서 자신의 일에 대한 평가와 보수, 사회적 인식 등에 민감하게 인식하며, 유형4는 ‘전문직 자부심 인식형’으로서 간호사로서의 자부심과 긍지가 있어 힘들고 지친 업무에서 사명감과 보람으로 자신의 가치를 느낀다. 유형5는 ‘조직지원 요구형’으로서 요양병원의 열악한 환경에서 간호사에 대한 보상이 적절하지 않을 때 소진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직의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결과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소진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17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of Community Enterprise Sustainability","authors":"Im Su Park, Ha Yun Park","doi":"10.18346/kssss.64.3","DOIUrl":"https://doi.org/10.18346/kssss.64.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마을기업 운영자, 종사자, 관계자들이 지닌 마을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에 관하여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2011년 도입된 마을기업은 도입기와 확장기를 거쳐 양적인 성장을 이루어 왔으며, 최근에는 마을기업이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고 미래에도 계속 유지될 수 있는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마을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마을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함으로써 향후 정책 및 운영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마을기업의 지속가능성은 마을기업이 당면한 상황 또는 여건에 대한 태도 차이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차별화되어 인식되고 있었다. 마을기업을 둘러싼 환경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1은 시장지향적,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2는 공동체지향적, 다소 비관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3은 정부지원지향적으로 지속가능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성 강화, 공동체성 강화 등 마을기업의 내적 변화도 중요하지만, 제도와 정책 등 정부지원도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한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31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ttitudes of Parents with Puberty towar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Co-orientational Approach","authors":"Hwa Suk Lee, Mi Young Chon","doi":"10.18346/kssss.64.1","DOIUrl":"https://doi.org/10.18346/kssss.64.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사춘기 자녀 부모의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태도를 이해하고, 유형별 특성 및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Q 방법론과 코오리엔테이션 모델을 적용하였다. 33개의 Q 표본을 통해 P 표본 40쌍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는 ‘소통지향형’, ‘코치형’, ‘한계에 도달한 혼란형’, 아버지는 ‘보수적 아버지형’, ‘소극적 대처형’, ‘코치형’, ‘소통지향형’, ‘회유형’,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는 ‘소통지향형’, ‘권위적인 지도자형’, ‘감정폭발형’, ‘관계가 단절된 독재자형’,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는 ‘감정표출형’, ‘권위적인 지도자형’, ‘소통지향형’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 간 동의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와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간 정확도는 중간정도, 아버지와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 간 정확도, 어머니와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 간 일치도, 아버지와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간 일치도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녀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부모-자녀 맞춤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한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17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185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nalyzing the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of Coding Education among College Students","authors":"E Wha Joo, Ik Hyun Joo","doi":"10.18346/kssss.64.2","DOIUrl":"https://doi.org/10.18346/kssss.64.2","url":null,"abstract":"2025년부터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코딩교육이 의무화될 예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전공의 학부생들이 대학에서의 코딩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Q 방법론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33개의 Q 표본으로 32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10일부터 21일까지 강제분류 Q 소팅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배리맥스 옵션으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가지 유형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코딩교육 고관심·저이해형으로 코딩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코딩에 대한 이해는 거의 없었다. 두 번째 유형은 코딩교육 고기회·저관심형으로 코딩교육에 대한 정보에 많이 노출되어 있었지만 정작 코딩교육을 받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유형은 코딩교육 고기회·부정평가형으로 코딩교육기회에 많이 노출되어 있지만 코딩교육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네 번째 유형은 코딩교육 고관심·기회추구형으로 이들은 코딩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대학에서 더 많은 코딩교육기회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ubjectivity of Post COVID-19 Infectious Diseases Vaccination: A Q-methodology Approach","authors":"Joo Yun Hwang, Se Jung Oh","doi":"10.18346/kssss.64.5","DOIUrl":"https://doi.org/10.18346/kssss.64.5","url":null,"abstract":"백신 접종은 감염병 및 질병 발생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백신 접종에 대한 수용자들의 주관적 태도 및 인식에는 차이가 있어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사용하여 코로나19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신종 감염병 백신 접종에 대한 사람들의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였다. 도출된 네 가지 유형은 1) 책임형: “백신은 모두의 의무”, 2) 불확실형: “백신은 불완전해서 꺼려져”, 3) 근거 있는 거부형: “백신의 부작용이 두려워”, 그리고 4) 조건적 수용형: “백신, 선준비 후접종”이다. 2와 4유형은 백신 접종을 주저하는 집단으로 적절한 설득 전략이 사용된다면 이들의 백신 접종 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와 4유형을 위한 공중보건 캠페인을 통한 전략의 예로는 백신 안전성,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지속적 교육과 감염병 예방에 있어 백신의 역할 및 중요성 강조 (2유형), 그리고 방역당국의 헬스 시스템 구축 및 백신 접근의 용이성 강조 (4유형) 등이 제시되었다. 각 유형에 대한 이론 및 실무적 함의를 통해 메시지 개발 전략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30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Structure of Subjectivity Shown by Korean AI Chatbot Users","authors":"Hee Seung Yu","doi":"10.18346/kssss.64.4","DOIUrl":"https://doi.org/10.18346/kssss.64.4","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AI 챗봇 이용동기의 주관성 구조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월 2회 이상 AI 챗봇을 이용하는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Q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대학생의 AI 챗봇 이용 동기는 ‘발상전환’, ‘시간절약’, ‘정보추구’, ‘휴식추구’ 등 4개 요인이었다. ‘발상전환’형에는 AI 챗봇의 다양한 답변을 통해 평소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와 정보를 얻고 취득한 통찰력을 글쓰기 등에 활용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발상전환’형에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포함되어 국내 대학생의 보편적인 AI 챗봇 이용유형으로 판단된다. ‘시간절약’형에는 AI 챗봇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정보를 빠르게 취득하고 요약하여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또한 ‘정보추구’형에는 간단한 질문과 코드를 통해 AI 챗봇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시험공부 및 과제에 활용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으며, 마지막으로 ‘휴식추구’형에는 AI 챗봇을 활용하여 고도화된 기술을 경험하며 재미를 느끼고 남는 시간을 보내며 휴식을 취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4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