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韩国AI聊天机器人用户主体性结构研究","authors":"Hee Seung Yu","doi":"10.18346/kssss.64.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AI 챗봇 이용동기의 주관성 구조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월 2회 이상 AI 챗봇을 이용하는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Q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대학생의 AI 챗봇 이용 동기는 ‘발상전환’, ‘시간절약’, ‘정보추구’, ‘휴식추구’ 등 4개 요인이었다. ‘발상전환’형에는 AI 챗봇의 다양한 답변을 통해 평소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와 정보를 얻고 취득한 통찰력을 글쓰기 등에 활용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발상전환’형에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포함되어 국내 대학생의 보편적인 AI 챗봇 이용유형으로 판단된다. ‘시간절약’형에는 AI 챗봇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정보를 빠르게 취득하고 요약하여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또한 ‘정보추구’형에는 간단한 질문과 코드를 통해 AI 챗봇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시험공부 및 과제에 활용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으며, 마지막으로 ‘휴식추구’형에는 AI 챗봇을 활용하여 고도화된 기술을 경험하며 재미를 느끼고 남는 시간을 보내며 휴식을 취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Structure of Subjectivity Shown by Korean AI Chatbot Users\",\"authors\":\"Hee Seung Yu\",\"doi\":\"10.18346/kssss.64.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AI 챗봇 이용동기의 주관성 구조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월 2회 이상 AI 챗봇을 이용하는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Q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대학생의 AI 챗봇 이용 동기는 ‘발상전환’, ‘시간절약’, ‘정보추구’, ‘휴식추구’ 등 4개 요인이었다. ‘발상전환’형에는 AI 챗봇의 다양한 답변을 통해 평소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와 정보를 얻고 취득한 통찰력을 글쓰기 등에 활용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발상전환’형에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포함되어 국내 대학생의 보편적인 AI 챗봇 이용유형으로 판단된다. ‘시간절약’형에는 AI 챗봇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정보를 빠르게 취득하고 요약하여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또한 ‘정보추구’형에는 간단한 질문과 코드를 통해 AI 챗봇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시험공부 및 과제에 활용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으며, 마지막으로 ‘휴식추구’형에는 AI 챗봇을 활용하여 고도화된 기술을 경험하며 재미를 느끼고 남는 시간을 보내며 휴식을 취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u'gwanseo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46/kssss.64.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u'gwanseo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46/kssss.64.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Structure of Subjectivity Shown by Korean AI Chatbot User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AI 챗봇 이용동기의 주관성 구조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월 2회 이상 AI 챗봇을 이용하는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Q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대학생의 AI 챗봇 이용 동기는 ‘발상전환’, ‘시간절약’, ‘정보추구’, ‘휴식추구’ 등 4개 요인이었다. ‘발상전환’형에는 AI 챗봇의 다양한 답변을 통해 평소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와 정보를 얻고 취득한 통찰력을 글쓰기 등에 활용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발상전환’형에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포함되어 국내 대학생의 보편적인 AI 챗봇 이용유형으로 판단된다. ‘시간절약’형에는 AI 챗봇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정보를 빠르게 취득하고 요약하여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또한 ‘정보추구’형에는 간단한 질문과 코드를 통해 AI 챗봇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시험공부 및 과제에 활용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으며, 마지막으로 ‘휴식추구’형에는 AI 챗봇을 활용하여 고도화된 기술을 경험하며 재미를 느끼고 남는 시간을 보내며 휴식을 취하기 위한 응답자가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