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un Myun Kim, Jeong Rim Koh, Min Ju Park, Bit Na Park, Ju Yeong Lee
{"title":"Types of Perceptions of Burnout Resilience among Nursing Hospital Nurses","authors":"Geun Myun Kim, Jeong Rim Koh, Min Ju Park, Bit Na Park, Ju Yeong Lee","doi":"10.18346/kssss.64.6","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탄력성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유형1은 ‘조직체계개선 우선형’으로 소진상황에서 개인적인 차원보다는 조직차원의 근본적인 개선과 정책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유형2는 ‘전문적 역할 충실형’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간호 상황에서 전문지식을 최대한 활용하고, 역량을 개발하여 간호사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게 노력해야 한다고 인식한다. 유형3은 ‘사회적 인정 중시형’으로 힘든 간호 상황에서 자신의 일에 대한 평가와 보수, 사회적 인식 등에 민감하게 인식하며, 유형4는 ‘전문직 자부심 인식형’으로서 간호사로서의 자부심과 긍지가 있어 힘들고 지친 업무에서 사명감과 보람으로 자신의 가치를 느낀다. 유형5는 ‘조직지원 요구형’으로서 요양병원의 열악한 환경에서 간호사에 대한 보상이 적절하지 않을 때 소진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직의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결과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소진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17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u'gwanseo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46/kssss.64.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탄력성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유형1은 ‘조직체계개선 우선형’으로 소진상황에서 개인적인 차원보다는 조직차원의 근본적인 개선과 정책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유형2는 ‘전문적 역할 충실형’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간호 상황에서 전문지식을 최대한 활용하고, 역량을 개발하여 간호사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게 노력해야 한다고 인식한다. 유형3은 ‘사회적 인정 중시형’으로 힘든 간호 상황에서 자신의 일에 대한 평가와 보수, 사회적 인식 등에 민감하게 인식하며, 유형4는 ‘전문직 자부심 인식형’으로서 간호사로서의 자부심과 긍지가 있어 힘들고 지친 업무에서 사명감과 보람으로 자신의 가치를 느낀다. 유형5는 ‘조직지원 요구형’으로서 요양병원의 열악한 환경에서 간호사에 대한 보상이 적절하지 않을 때 소진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직의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결과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소진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