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of Community Enterprise Sustainability","authors":"Im Su Park, Ha Yun Park","doi":"10.18346/kssss.64.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마을기업 운영자, 종사자, 관계자들이 지닌 마을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에 관하여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2011년 도입된 마을기업은 도입기와 확장기를 거쳐 양적인 성장을 이루어 왔으며, 최근에는 마을기업이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고 미래에도 계속 유지될 수 있는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마을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마을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함으로써 향후 정책 및 운영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마을기업의 지속가능성은 마을기업이 당면한 상황 또는 여건에 대한 태도 차이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차별화되어 인식되고 있었다. 마을기업을 둘러싼 환경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1은 시장지향적,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2는 공동체지향적, 다소 비관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3은 정부지원지향적으로 지속가능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성 강화, 공동체성 강화 등 마을기업의 내적 변화도 중요하지만, 제도와 정책 등 정부지원도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한다.","PeriodicalId":499786,"journal":{"name":"Ju'gwanseong yeon'gu","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u'gwanseo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46/kssss.64.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마을기업 운영자, 종사자, 관계자들이 지닌 마을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에 관하여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2011년 도입된 마을기업은 도입기와 확장기를 거쳐 양적인 성장을 이루어 왔으며, 최근에는 마을기업이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고 미래에도 계속 유지될 수 있는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마을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마을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함으로써 향후 정책 및 운영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마을기업의 지속가능성은 마을기업이 당면한 상황 또는 여건에 대한 태도 차이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차별화되어 인식되고 있었다. 마을기업을 둘러싼 환경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1은 시장지향적,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2는 공동체지향적, 다소 비관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3은 정부지원지향적으로 지속가능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성 강화, 공동체성 강화 등 마을기업의 내적 변화도 중요하지만, 제도와 정책 등 정부지원도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