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Relationship between Kakaotalk Message and Electronic Document and Document under the Corporation Act-Including Supreme Court 2022. 12. 16, 2022geu 734 decision-","authors":"Junwoo Mun","doi":"10.35505/sjlb.2023.8.13.2.29","DOIUrl":"https://doi.org/10.35505/sjlb.2023.8.13.2.29","url":null,"abstract":"대법원은 “사건본인의 대표이사인 소외인이 2022. 2. 8.경 카카오톡 메시지를 통하여 신청인의 임시주주총회 소집요구서를 제출받아 이를 확인한 이상, 신청인의 상법 제366조 제1항에 따른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청구는 적법하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하였다.BR 전자문서는 ‘전자적 형태로 작성된 전자문서’와 ‘전자적 형태로 작성된 전자화문서’로 구분되는데, 카카오톡 메시지는 ‘전자적 형태로 작성된 전자문서’에 포함된다. 따라서 카카오톡 메시지가 상법 제366조 제1항에 따른 전자문서이다.BR 카카오톡 메시지와 주식회사법의 전자문서와의 관계를 살펴봤는데, 카카오톡 메시지가 주식회사법에 있는 전자문서에 포함된다. 따라서 주식회사는 전자문서로 되어 있는 부분에서, 카카오톡 메시지로 해당 행위를 할 수 있을 것이다.BR 주식회사법에 ‘서면’만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주식회사법에 ‘서면’으로만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 카카오톡 메시지가 열람가능성ㆍ재현가능성ㆍ보존성이 있고, 주식사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고, 성질상 전자적 형태가 허용되면, 카카오톡 메시지를 서면으로 봐야 될 것이다.BR 주식회사법에 전자문서 또는 서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당사자가 카카오톡 메시지로 해당 행위를 하면 편리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상대방이 정신적인 피해를 입게 될 수 있고, 주식회사의 업무에 지장이 되는 상황 등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우려되는 점들이 해소되면서, 카카오톡 메시지가 주식회사법에서 선용되기를 바란다.","PeriodicalId":486399,"journal":{"name":"Beopgwa gieob yeon-gu","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6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tudy on the Content of the Recent Revision of China\"s Company Law","authors":"Yumei Nan","doi":"10.35505/sjlb.2023.8.13.2.3","DOIUrl":"https://doi.org/10.35505/sjlb.2023.8.13.2.3","url":null,"abstract":"1993년 회사법 제정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중국 회사법은 1999년ㆍ2004년ㆍ2006ㆍ2013년 및 2018년에 거쳐 다섯 차례의 개정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대규모 개정작업은 2006년 이후 현재가 처음이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중국 회사법의 개정은 회사 자본제도를 포함한 회사 지배구조 및 이사의 책임제도와 종류 주식제도 등을 망라한 전면 개정이다. 따라서 중국 회사법의 개정 연혁으로 볼 때, 향후 십여년 간 전면적인 개정이 이루어지기 힘들 것으로 예상하여, 현재 중국 회사법의 개정은 앞으로 중국 국내의 상업 거래뿐만 아니라 중국 국내의 한국기업 및 한중 양국 간의 거래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PeriodicalId":486399,"journal":{"name":"Beopgwa gieob yeon-gu","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62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Role of Responsible Business Conduct (RBC) and the OECD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to Resolve Climate Change Related Matters","authors":"Keon-Hyung Ahn","doi":"10.35505/sjlb.2023.8.13.2.59","DOIUrl":"https://doi.org/10.35505/sjlb.2023.8.13.2.59","url":null,"abstract":"기후변화는 현재 전 지구적으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기업책임경영과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Ⅱ장에서 OECD 가이드라인의 환경 관련 챕터 및 조항들의 의미를 분석하고, Ⅲ장에서 기후변화 관련 OECD NCP 이의제기사건 7개 사례들의 주요 쟁점들과 시사점을 살펴보며, Ⅳ장에서 최근 국제적인 환경 실사의무에 관한 입법 동향을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Ⅴ장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PeriodicalId":486399,"journal":{"name":"Beopgwa gieob yeon-gu","volume":"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61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Principle of Container Demurrage-Focusing on the destination door delivery-","authors":"Jong-Duck Lee","doi":"10.35505/sjlb.2023.8.13.2.95","DOIUrl":"https://doi.org/10.35505/sjlb.2023.8.13.2.95","url":null,"abstract":"","PeriodicalId":486399,"journal":{"name":"Beopgwa gieob yeon-gu","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95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Legal Issues for Improving the Claims Procedure for Private Health Insurance","authors":"HanDeok Jun","doi":"10.35505/sjlb.2023.8.13.2.127","DOIUrl":"https://doi.org/10.35505/sjlb.2023.8.13.2.127","url":null,"abstract":"실손의료보험 간소화를 내용으로 하는 보험업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전향적으로 논의 되고 있다. 그런데 의료정보 전송을 대행할 전문중계기관 선정, 민감한 의료정보에 대한 보호와 관리 문제 등과 관련하여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전문중계기관을 어디로 지정할 것인지와 관련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험개발원, 보험협회 등 다양한 후보 기관이 거론되고 있고, 심지어 중계기관은 전혀 필요 없다는 의견도 있다. 실손의료보험 청구 간소화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도구인 중계기관 선정은 국민들의 편의성 증진과 이익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미 공적인 영역에서 유사한 업무를 오랫동안 수행해 온 기관이고, 관련 전산시스템도 이미 구축되어 있다. 무엇보다 요양기관의 과잉 의료행위에 대하여 실질적인 통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중계기관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실손의료보험 간소화 서비스가 도입되면 민감한 의료정보에 대해서 각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중계기관이 수집한 의료정보는 보험회사에 전송 후 바로 폐기되어야 하고, 보험회사에서도 제공받은 의료정보를 목적에 활용한 이후에는 특별한 사유 없는 한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유출이나 오남용 행위에 대해서는 엄벌에 처하도록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PeriodicalId":486399,"journal":{"name":"Beopgwa gieob yeon-gu","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861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