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x Accounting Research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브랜드 자산의 이익관련성 및 가치관련성 분석 品牌资产的利润相关性及价值相关性分析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9-06-01 DOI: 10.35349/TAR.2019..60.001
김연희, Myoungjong Kim, 김종규
{"title":"브랜드 자산의 이익관련성 및 가치관련성 분석","authors":"김연희, Myoungjong Kim, 김종규","doi":"10.35349/TAR.2019..60.001","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9..60.00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업의 핵심경영전략으로 채택되고 있는 브랜드 자산의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을 규명하고 브랜드 자산이 타 무형자산성 지출의 정보가치에 증분효과를 제공하는지를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 관점에서 검증하였다. 기존 브랜드 자산의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에 관련된 연구와 차별화하여 브랜드 자산 구축 기업뿐만 아니라, 미구축 기업을 포함한 확장기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에서 2016년까지 7개년 동안 비금융 상장기업의 4,265개의 년도-기업 자료를 대상으로 브랜드자산의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 자산은 유의적인 양(+)의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 자산은 미래 이익과 잠재적인 기업가치 등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제공하는 자산의 인식조건을 일부 만족하고 있으며 브랜드 자산을 자본화하여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경우 재무제표의 유용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브랜드 자산의 구축에 따라 무형자산성 지출의 이익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브랜드 자산은 교육훈련지출 및 광고비 지출의 이익관련성에 대하여 유의적인 증분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자산은 연구개발지출, 광고비 지출 및 교육훈련지출의 가치관련성에 유의적인 양(+)의 증분 효과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비 지출 및 교육훈련지출의 효과는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기 보다는 광고비 지출을 통하여 브랜드 자산이 형성될 때 광고비 지출은 브랜드 자산을 매개로 이익관련성 및 가치관련성에 공헌하고 있으며, 종업원의 교육훈련지출은 브랜드 전략을 연계되어 기업의 경영성과와 기업가치에 공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 자산은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목적적합한 정보가치를 가지며, 매개변수로서 무형자산성 지출의 정보가치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의미한다.","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5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41864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Model of a New Self-owned Brand Product’ Ad Expenditure and Pricing 新型自主品牌产品广告支出与定价模型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9-06-01 DOI: 10.35349/TAR.2019..60.008
Cao Jiantao
{"title":"The Model of a New Self-owned Brand Product’ Ad Expenditure and Pricing","authors":"Cao Jiantao","doi":"10.35349/TAR.2019..60.008","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9..60.008","url":null,"abstract":"","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6616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경영자 보상차이와 유효법인세율 经营者补偿差异和有效法人税率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9-06-01 DOI: 10.35349/TAR.2019..60.007
Yang Hae Myun, Noh Gil-kwan
{"title":"경영자 보상차이와 유효법인세율","authors":"Yang Hae Myun, Noh Gil-kwan","doi":"10.35349/TAR.2019..60.007","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9..60.00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최고경영자(CEO)의 영향력이 기업의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고경영자(CEO) 영향력의 대리변수는 Bebchuk et al.(2011)에서 제시한 경영자 보상차이(CEO Pay Slice:CPS) 지표를 활용하며, 조세회피의 대리변수는 유효법인세율을 활용한다. 연구표본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12월 결산 한국거래소 상장 비금융업으로 최종 연구표본 수는 761개 기업-연도이다.\u0000분석결과, 경영자 보상차이(CPS)가 큰 기업일수록 상대적으로 유효법인세율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고경영자의 영향력이 큰 기업일수록 상대적으로 조세회피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u0000본 연구는 2013년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개별 등기임원의 보수가 공시됨에 따라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자 보상차이(CPS)의 측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를 활용하여 최고경영자 영향력을 측정하여 기업의 조세회피 수준을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91128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내재적 조세와 기업특성의 변화 内在税收和企业特性的变化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9-06-01 DOI: 10.35349/TAR.2019..60.002
H. Roh, Jungchan Kim
{"title":"내재적 조세와 기업특성의 변화","authors":"H. Roh, Jungchan Kim","doi":"10.35349/TAR.2019..60.002","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9..60.002","url":null,"abstract":"","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71 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9799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혁신적 회계교육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사례를 중심으로 创新会计教育对学习成果的影响:以智能学习为中心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9-06-01 DOI: 10.35349/TAR.2019..60.006
최미화
{"title":"혁신적 회계교육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사례를 중심으로","authors":"최미화","doi":"10.35349/TAR.2019..60.006","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9..60.006","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혁신적 교수법으로 알려진 플립러닝 및 PBL 교수법을 회계교육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고, 이러한 스마트러닝 교수법들이 회계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u0000스마트러닝은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형태와 능력을 고려하고 학습자의 사고력, 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개발을 높이며 협업학습과 개별학습을 위한 기회를 창출하여 학습을 보다 즐겁게 만드는 학습법의 하나이다. 따라서 현실적인 문제해결능력을 중요하게 다루는 회계학 교육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학습법이라 할 수 있겠다. B대학교의 회계관련 교과목의 학부과정 강의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수업진행 및 평가의 구체적인 내용을 전문가컨설팅에 기초한 수업적용사례를 제시하며, 수업진행 전후의 설문조사를 통해 혁신적 교수법에서 지향하는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정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한 수업효과와 학업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였다.\u0000본 연구를 통해, 많은 주제와 학습 양을 다루어야하는 회계학 관련 교과목수업에서도 학습주제에 따라 또는 수강자의 수강목적 및 특성에 따라 스마트러닝의 방법론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2093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Book-Tax Difference and Earnings Information 账面税收差异与盈余信息的相关性研究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9-03-01 DOI: 10.35349/TAR.2019..59.006
Aziz Juraev, J. Hyun, Lee,Kyun-Bong
{"title":"A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Book-Tax Difference and Earnings Information","authors":"Aziz Juraev, J. Hyun, Lee,Kyun-Bong","doi":"10.35349/TAR.2019..59.006","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9..59.006","url":null,"abstract":"","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76812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창업중소기업에 대한 조세감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对创业中小企业的税收减免制度存在的问题和改善方向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9-03-01 DOI: 10.35349/tar.2019..59.005
이리하, Changho Yu, Young-Hwan Yoo, Kwang-Ryul Baek
{"title":"창업중소기업에 대한 조세감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authors":"이리하, Changho Yu, Young-Hwan Yoo, Kwang-Ryul Baek","doi":"10.35349/tar.2019..59.005","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9..59.005","url":null,"abstract":"조세법에는 중소기업을 보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세제 혜택들이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의 목적은 기업의 설립을 활성화하여 건전한 산업구조를 구축하고 새로운 고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은 중소기업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와 벤처기업에 대한 조세지원제도를 도입했다.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세금 감면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세금 장려책일 뿐만 아니라 대상 기업에 높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세금 감면제도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제도 중의 하나이다. 중소기업의 조세감면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려면 조세감면대상자의 범위를 명확하게 입법화해야 한다. 또한 국세청은 중소기업의 조세감면 자격 여부를 판단할 때 조세법률주의원칙과 실질과세주의원칙 사이에서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u0000본 논문에서는 조세법상 창업의 정의에 관한 문제점과 법규정상 조세감면 적용의 문제점, 조세감면 적용배제 규정에 관한 문제점들을 여러 판례와 예규 등을 통하여 조사하고 과세당국과 납세자들의 입장 및 서로간의 견해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창업중소기업의 세액감면과 관련된 조세분쟁을 원활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엄격해석의 원칙을 견지하더라도 사실관계의 형식보다 실질에 근거하여 동제도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는 판단을 내리도록 노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모호한 조세지원의 범위가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정의된다면 창업지원이라는 본래의 입법 취지에 부합되는 실질적인 조세지원제도로 뿌리내리게 될 것이다.","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58889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기업의 지급정책과 혁신활동의 관계 企业支付政策与创新活动的关系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9-03-01 DOI: 10.35349/TAR.2019..59.004
Kyeongrae Jo, Joo-Young Song
{"title":"기업의 지급정책과 혁신활동의 관계","authors":"Kyeongrae Jo, Joo-Young Song","doi":"10.35349/TAR.2019..59.004","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9..59.004","url":null,"abstract":"","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10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00172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주류 판매업자의 일반적 특성, 윤리의식, 세제인지도가 조세정책의 신뢰성과 제도개선 및 납세순응에 미치는 영향 酒类销售商的一般特性、伦理意识、税制认知度对税收政策的信赖性、制度改善及纳税顺应性产生的影响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9-03-01 DOI: 10.35349/tar.2019..59.008
황광석, Woon-Seek Lee
{"title":"주류 판매업자의 일반적 특성, 윤리의식, 세제인지도가 조세정책의 신뢰성과 제도개선 및 납세순응에 미치는 영향","authors":"황광석, Woon-Seek Lee","doi":"10.35349/tar.2019..59.008","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9..59.008","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주류 판매업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윤리의식 그리고 세제인지도가 정부의 조세정책의 신뢰성과 제도개선 및 납세순응 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 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주류 판매업자를 대상으로 한 310부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인과관계 모형의 검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동시에 검증이 가능한 구조방정식 모델링(SEM)기법 중 부분 최소제곱법(PLS)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mart-PLS 3.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u0000첫째, 주류 판매업자의 일반적 특성요인인 매출액과 사업연수는 정부의 조세정책 및 납세순응 행위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주류 판매업자의 윤리의식은 정부의 조세정책 및 납세순응 행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주류 판매업자의 세제인지도는 정부의 정책 및 납세순응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넷째, 정부의 조세정책 중 정책의 신뢰성과 제도개선이 납세순응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u0000따라서 주류 판매업자의 세제인지도와 납세순응 행위에 있어 정책의 신뢰성과 제도개선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조세정책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고 제도개선이 이루어질수록 세제인지도가 납세순응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확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4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65331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Research of R&D Tax Credit System Effect on Tax Burden :Focus on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研发税收抵免制度对税负的影响研究——以信息技术公司为例
Tax Accounting Research Pub Date : 2018-12-01 DOI: 10.35349/TAR.2018..58.007
김진태, Narae Lee, 허기영
{"title":"The Research of R&D Tax Credit System Effect on Tax Burden :Focus on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authors":"김진태, Narae Lee, 허기영","doi":"10.35349/TAR.2018..58.007","DOIUrl":"https://doi.org/10.35349/TAR.2018..58.007","url":null,"abstract":"","PeriodicalId":141177,"journal":{"name":"Tax Accounting Research","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18031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