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matic consciousness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Injodaewang-silgi(仁祖大王實記)〉","authors":"Gi-dae Lee","doi":"10.21208/kla.2023.09.47.103","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9.47.103","url":null,"abstract":"","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433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f poetry texts using the concept of objective correlates in liberal arts education: Focusing on the poetry of Kim Soo-young","authors":"Hyeon-Jeong Lee","doi":"10.21208/kla.2023.09.47.137","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9.47.137","url":null,"abstract":"","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433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Local Pung-ryu(風流) Reflected Through Sijochang Song-book - Focusing on Muin","authors":"Taiwoong Kim","doi":"10.21208/kla.2023.09.47.74","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9.47.74","url":null,"abstract":"","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24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hange of gagok songs in the ‘nong(弄)’ affiliation in the 19th century","authors":"Donghee Lee","doi":"10.21208/kla.2023.09.47.44","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9.47.44","url":null,"abstract":"","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45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ultural Heritage Value of Traditional Play Konu - Focusing on the Review of Classical Literature","authors":"Do-Hyoung Kim","doi":"10.21208/kla.2023.09.47.217","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9.47.217","url":null,"abstract":"","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22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Three Sisters\" House, Ontological Archive of Violent Time and Space","authors":"JinWol Yoo","doi":"10.21208/kla.2023.09.47.255","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9.47.255","url":null,"abstract":"본고에서는 영화 〈세자매〉(2021)에서 세 자매에게 있었던 과거의 폭력적 시간과 공간의 기억이 어떻게 현재까지 이어지면서 이들의 삶을 잠식하는지 분석하고 그들이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새로운 주체가 되는지 고찰하였다. 특히 영화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이 지닌 저항 또는 해방의 힘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세 자매는 자기가 속한 기존의 억압적인 공간에 저항하면서 가부장적인 지배질서를 교란시키고, 그 경직된 공간들을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집, 교회, 기도원, 학교등 가부장적 체제가 지배하는 공간의 통제를 벗어나기 위해 사건을 일으키고, 그 결과 타자의 공간은 주체의 공간이자 생성의 공간으로 변모한다. 가부장제적 억압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의 배치를 통한 저항의 힘을 보여주었다.BR 세 자매는 생성의 역동적 과정을 보여주는 카니발적 캐릭터이다. 카니발은 기존의 권위에 대한 거부를 기반으로 하며, 생성과 변화에 대한 갈망과 미래지향성을 특징으로 한다. 세자매의 역동성은 그들의 시간을 헤테로크로니아의 시간으로 만들고 그 시간이 구축하는 헤테로토피아를 구축하도록 추동한다. 헤테로토피아는 주체가 공간의 부조리함을 인식하고 저항하는 순간 그 공간을 이질적인 공간으로 새롭게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여성/주체가 살아서 존재하는 공간이다. 〈세자매〉는 인간의 존재 기반으로 작용하는 시간과 공간을 가족과 연결하여 비판적으로 그려냈으며, 한 가족의 서사를 넘어서는 윤리적 삶의 가치를 인식하게 하고 부조리한 현실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4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45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Rhythmic Changes of Gagok - Centered on Sakdaeyeop","authors":"Sukhie Moon","doi":"10.21208/kla.2023.09.47.5","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9.47.5","url":null,"abstract":"","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5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46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Life of Living Alone in Middle Age, A Life of Looking Back on Myself – Focusing on Kim Hoon’s 〈Gangsanmujin〉 and Jeon Kyung-rin’s 〈Passenger〉 and 〈Hap〉","authors":"Sun-Ae Park","doi":"10.21208/kla.2023.09.47.181","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9.47.181","url":null,"abstract":"현대사회는 개인주의 진전과 대도시의 성장, 정보 통신 혁명과 여성 지위신장과 자율성 확대 등 사회 변동이 1인 가구의 자발적 출현을 자극하는 여건이 되었다. 개인들은 가능한 결혼을 늦추거나, 별거나 이혼, 출산 회피 등 탈가족화와 개인화를 불가피하게 선택할 수밖에 없다. 이제 한국 사회도 혼자 살기는 계속 증가하는 보편적 사회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BR 본고에서는 50대 이상의 이혼이 2006년 이후 계속 증가하는 상황에 주목하며, 김훈의 〈강산무진〉(2006)과 전경린의 〈승객〉(2015), 〈합〉(2017) 두 작가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이혼 후 홀로 살아가는 중년남성과 여성의 삶을 살펴보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는 한국사회의 결혼 및 가족 관련 가치관의 급속한 변화가 중년의 이혼으로 이어지면서, 문학 작품 속 홀로 살아가는 중년의 주인공들이 생애전환기를 맞아 어떠한 삶의 양태를 보여주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기회라 여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초반에 쓰여진 김훈의 〈강산무진〉과 중년의 1인 가구가 급속히 증가는 2015년 이후 전경린의 〈승객〉, 〈합〉의작 품을 분석할 텍스트로 삼고 성별, 계층별, 개인적 가치관이란 시각으로 비교 분석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BR 그 결과, 김훈의〈강산무진〉 속 중년남성은 이혼 후에도 기존의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고립적 삶을 살다가 건강상 심각한 위기를 맞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작품 속 주인공은 자신의 남은 생애를 정리하면서 과도하게 전통적 남성중심의 성역할 틀에 사로잡혀 있었다. 특히 평생 합리적 이성이라 생각했던 돈에 대한 논리를 바탕으로 마지막 남은 시간을 보냈다. 오히려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인생 가치관에 대한 회의나 성찰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죽음이란 생의 본질을 자각하려는 존재론에 입각한 행동도 나타나지 않았다.BR 이와는 달리 전경린의 〈승객〉, 〈합〉 속 홀로 사는 중년여성은 좀 더 개방적이고 다양성을 수용하려는 자세를 보여주었다. 그녀들은 중년의 변화된 현실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내적 갈등을 보이지만 인생의 전환기를 맞아 새롭게 자기확대를 해나가려고 노력하였다. 중년의 홀로 사는 삶 속에서 인간적 유대를 유지하면서 자아성찰을 통해 새로운 중년의 자아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렇게 작품 속 중년여성들은 주변 사람들과의 교류의 끈을 놓지 않았고 중년기 홀로 사는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하였다.BR 이렇게 두 작가의 작품 속 중년의 홀로 사는 삶을 살펴본 결과, 그들의 삶의 방식에는 계층별, 성별에 따라 또 개별적 개인의 인생 가치관에 따라 삶의 방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들 작품 속 중년남성의 삶에는 형태적으로 가족을 축소한 가족 지향적 개인화란 특징이 분명하게 보였다. 반면 중년여성의 삶에는 개인의 자아실현을 중요하게 여기며 중년의 홀로서기에 자율적인 개인과 공동체와의 연대적 삶이 드러나 있었다.","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45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Outside’ gaze on Park Youg-rae\"s poetry","authors":"Min Jee Kim","doi":"10.21208/kla.2023.06.46.171","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6.46.171","url":null,"abstract":"","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10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12414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esthetic Biblical Interpretation’ on Genesis 1:1 and Kim Yeong-gil’s - Focusing on the Connectivity of John 1:1 and the Expansion of Hermeneutic Horizons.","authors":"Jin Myung Kim","doi":"10.21208/kla.2023.06.46.199","DOIUrl":"https://doi.org/10.21208/kla.2023.06.46.199","url":null,"abstract":"","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15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41381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