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ree Sisters" House, Ontological Archive of Violent Time and Space

JinWol Yoo
{"title":"The Three Sisters\" House, Ontological Archive of Violent Time and Space","authors":"JinWol Yoo","doi":"10.21208/kla.2023.09.47.255","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에서는 영화 〈세자매〉(2021)에서 세 자매에게 있었던 과거의 폭력적 시간과 공간의 기억이 어떻게 현재까지 이어지면서 이들의 삶을 잠식하는지 분석하고 그들이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새로운 주체가 되는지 고찰하였다. 특히 영화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이 지닌 저항 또는 해방의 힘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세 자매는 자기가 속한 기존의 억압적인 공간에 저항하면서 가부장적인 지배질서를 교란시키고, 그 경직된 공간들을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집, 교회, 기도원, 학교등 가부장적 체제가 지배하는 공간의 통제를 벗어나기 위해 사건을 일으키고, 그 결과 타자의 공간은 주체의 공간이자 생성의 공간으로 변모한다. 가부장제적 억압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의 배치를 통한 저항의 힘을 보여주었다.BR 세 자매는 생성의 역동적 과정을 보여주는 카니발적 캐릭터이다. 카니발은 기존의 권위에 대한 거부를 기반으로 하며, 생성과 변화에 대한 갈망과 미래지향성을 특징으로 한다. 세자매의 역동성은 그들의 시간을 헤테로크로니아의 시간으로 만들고 그 시간이 구축하는 헤테로토피아를 구축하도록 추동한다. 헤테로토피아는 주체가 공간의 부조리함을 인식하고 저항하는 순간 그 공간을 이질적인 공간으로 새롭게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여성/주체가 살아서 존재하는 공간이다. 〈세자매〉는 인간의 존재 기반으로 작용하는 시간과 공간을 가족과 연결하여 비판적으로 그려냈으며, 한 가족의 서사를 넘어서는 윤리적 삶의 가치를 인식하게 하고 부조리한 현실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PeriodicalId":126021,"journ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volume":"4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08/kla.2023.09.47.25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고에서는 영화 〈세자매〉(2021)에서 세 자매에게 있었던 과거의 폭력적 시간과 공간의 기억이 어떻게 현재까지 이어지면서 이들의 삶을 잠식하는지 분석하고 그들이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새로운 주체가 되는지 고찰하였다. 특히 영화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이 지닌 저항 또는 해방의 힘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세 자매는 자기가 속한 기존의 억압적인 공간에 저항하면서 가부장적인 지배질서를 교란시키고, 그 경직된 공간들을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집, 교회, 기도원, 학교등 가부장적 체제가 지배하는 공간의 통제를 벗어나기 위해 사건을 일으키고, 그 결과 타자의 공간은 주체의 공간이자 생성의 공간으로 변모한다. 가부장제적 억압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의 배치를 통한 저항의 힘을 보여주었다.BR 세 자매는 생성의 역동적 과정을 보여주는 카니발적 캐릭터이다. 카니발은 기존의 권위에 대한 거부를 기반으로 하며, 생성과 변화에 대한 갈망과 미래지향성을 특징으로 한다. 세자매의 역동성은 그들의 시간을 헤테로크로니아의 시간으로 만들고 그 시간이 구축하는 헤테로토피아를 구축하도록 추동한다. 헤테로토피아는 주체가 공간의 부조리함을 인식하고 저항하는 순간 그 공간을 이질적인 공간으로 새롭게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여성/주체가 살아서 존재하는 공간이다. 〈세자매〉는 인간의 존재 기반으로 작용하는 시간과 공간을 가족과 연결하여 비판적으로 그려냈으며, 한 가족의 서사를 넘어서는 윤리적 삶의 가치를 인식하게 하고 부조리한 현실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
三姐妹之家:暴力时空的本体论档案
本书在电影《三姐妹》(2021)中分析了三姐妹过去暴力的时间和空间的记忆如何延续到现在,蚕食他们的生活,并考察了他们如何克服这个问题,成为新的主体。特别是从杂波托邦式空间所具有的抵抗或解放的力量的角度分析了电影中出现的时间和空间的意义。三姐妹抵抗自己所属的现有的压迫性空间,扰乱家长式的支配秩序,将其僵硬的空间变成了heteropia式的空间。为了摆脱围绕自己的家、教会、祈祷院、学校等家长制体制支配的空间的控制,引发事件,其结果,他人的空间变成主体的空间和生成的空间。在宗法式压迫的情况下,通过布置heteropia式空间,表现出了抵抗的力量。BR三姐妹是展现生成的动感过程的狂欢节式角色。狂欢节以对现有权威的拒绝为基础,以对生成和变化的渴望和未来指向性为特征。三姐妹的可塑性将他们的时间变成异形的时间,并推动他们构建由这段时间构建的异形乌托邦。杂特罗托邦在主体认识到空间的不合理并进行抵抗的瞬间,将该空间变成不同性质的空间,从这一点看,是女性/主体生存的空间。《三姐妹》将作为人类存在基础发挥作用的时间和空间与家庭联系起来进行批判地刻画,让人们认识超越一个家庭叙事的伦理性生活价值,把握不合理的现实意义。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