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10-28DOI: 10.33097/jncta.2023.07.10.1771
Ke Ke, Young-Sook Lee
{"title":"The Effects of Chinese Influencer Live Broadcasting Characteristics and Fashion Product Evaluation Characteristics on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authors":"Ke Ke, Young-Sook Lee","doi":"10.33097/jncta.2023.07.10.1771","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10.1771","url":null,"abstract":"","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4 9","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327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10-28DOI: 10.33097/jncta.2023.07.10.1707
Kyong-Jun Park
{"title":"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Judo Leaders on Exercise Commit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Professionalis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Efficiency","authors":"Kyong-Jun Park","doi":"10.33097/jncta.2023.07.10.1707","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10.1707","url":null,"abstract":"","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3272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459
Jae-young Cho, Sung-jae Lee, Young-jae Cho, Ja-bok Lee
{"title":"Antioxidative and Skin-whitening Activity of Fermented Lindera obtusiloba Flower Extract","authors":"Jae-young Cho, Sung-jae Lee, Young-jae Cho, Ja-bok Lee","doi":"10.33097/jncta.2023.07.09.1459","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5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꽃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평가하고, 발효 최적화를 실시한 뒤, 이를 바탕으로 미백 활성 측정을 진행하였다. DPPH assay에서는 발효 24시간 후 1개의 균주가 항산화능을 증가시켰으며, ABTS assay에서는 발효 24시간 후 3개 균주가 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TPC assay에서는 발효 24시간 후 3개의 균주 샘플에서 페놀성 물질의 추출량이 증가함을 보였으며, TFC assay에서는 발효 24시간 후 샘플 중 3개의 균주 샘플에서 플라보노이드의 추출량이 증가함을 보였다. 미백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B16F10을 이용한 세포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강나무 꽃 발효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12.5-100 μg/mL에서 나타내지 않았으 며, 생강나무 꽃 발효 추출물을 100 μg/mL에서 34.7±0.9%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34.2±1.8% 의 tyrosinase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발효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를 바탕으로 생강나무 꽃의 발효는 미백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5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506
Young Ae Kwon, Hye Jin Park
{"title":"The Effects of Flow, Perceived Usefulness, Activity Orientation Motiv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 Focusing on Extracurricular Participants","authors":"Young Ae Kwon, Hye Jin Park","doi":"10.33097/jncta.2023.07.09.1506","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506","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몰입, 지각된 유용성, 활동지향동기가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으며, 응답 결과를 토 대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몰입은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과 활동지향동기는 교육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자신의 학습활동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과 타인과 소통과 협 력을 통한 활동 경험 자체가 교육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한 지속적 성과 분석과 학생들이 비교과 프로그램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447
Jin-Eui Song, Sang-Hyun Lee
{"title":"Anti-inflammatory and Skin Whitening Activity of Chaetomorpha torta Extract","authors":"Jin-Eui Song, Sang-Hyun Lee","doi":"10.33097/jncta.2023.07.09.1447","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4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녹조류인 Chaetomorpha torta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염 활성 측정 과 미백 활성 측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항산화능의 측정을 진행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EC50은 4.68±0.68 mg/mL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EC50은 8.99±2.70 mg/mL로 나타났다. Total phenolic contents와 total flavonoid contents는 각각 9.65±0.64 mg gallic acid/g, 2.93±0.06 mg quercetin/g으 로 나타났다. 그 후 미백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B16F10을 이용한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미백 활성 측정에서 세 포 독성은 12.5-100 μg/mL의 구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100 μg/mL에서 32.5±3.3%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Raw 264.7을 이용한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염 활성 측 정에서 세포 독성은 12.5-100 μg/mL의 구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100 μg/mL에서 80.3±1.6%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5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412
Jeong Won Hwang, Kunyoung Lee, Eui Chul Lee
{"title":"Method for Detecting Target in Extrusion Components through Vision Inspection Based on Object Tracking Algorithm","authors":"Jeong Won Hwang, Kunyoung Lee, Eui Chul Lee","doi":"10.33097/jncta.2023.07.09.1412","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12","url":null,"abstract":"공장 자동화 분야에서 자동 검사 시스템은 기존의 수작업 검사 작업을 대체하여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 시키며, 제조업체들은 생산 과정의 품질 관리를 강화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경제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 라인의 압출부 타겟 검출, 즉 압출부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 RGB 카 메라를 사용하여 실제 공정 라인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였고, 템플릿 매칭(Template Matching)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압출부의 위치를 검출하였다. 평가 지표로는 IoU(Intersection over Union) 임계값이 주어진 경우에 대 한 평균 정밀도(Average Precision)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템플릿 매칭 기반의 압출부 타겟 검출 방 법은 기존의 비전 검사 시스템에 비해 경제적이고 간편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품질 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6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515
Jae-woo Han, Hyo-sun Park
{"title":"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Professional Universities in Conjunction with Local Governments","authors":"Jae-woo Han, Hyo-sun Park","doi":"10.33097/jncta.2023.07.09.1515","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515","url":null,"abstract":"윤석열 정부출범 후 지역소멸 등 위기상황에 대응하여 지역 내 인적·물적 인프라가 집약된 전문대학과 지역 지자체 간 협력을 위한 고등직업교육거점 조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지자체와 연계한 전문 대학의 평생교육 활성화로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대학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평생교육 에 있어서의 전문대학의 역할과 전문대학 중심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분석을 통해 전문대학이 지역대학으 로서 평생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전문대학에 대한 인식 대전환과 평생교육 상시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확대시키고, 지역의 평생학습 거점으로서 전문대학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 지역에 위치한 지·산·학·군 거버넌스 구축 및 대학 내 평생교육 전담 센터 구성·설치, 일반대학 위주 지자체 연계 사업을 확대·운영해야 한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560
Jong-kyung Ha
{"title":"The Influence of Beauty Influencer’s Characteristics and Content Attributes on Product Selec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authors":"Jong-kyung Ha","doi":"10.33097/jncta.2023.07.09.1560","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560","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뷰티인플루언서의 특성과 콘텐츠 속성이 구매제품선택과 구매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뷰티인플루언서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신뢰성, 유사 성, 매력성으로 도출되었으며 콘텐츠 속성을 분석한 결과 유희성, 유용성, 최신성으로 도출되었다. 2. 뷰티 인플루 언서의 특성과 콘텐츠 속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뢰성은 유희성, 유용성과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3. 뷰티인플루언서의 특성이 구매제품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초제품에는 매력성 요인이, 네 일제품에는 신뢰성 요인이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콘텐츠 속성이 구매제품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초제품과 네일제품 구매에는 유용성 요인이, 화장소품에는 유희성 요인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뷰티인플루언서의 특성과 콘텐츠 속성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사성 요인이 구매만족도 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8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6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541
JeongHoon Lee
{"title":"Analysis and Suggestion of ROK Military Strategic Communication Research Trends : Focused on Research Products from 2008 to 2023","authors":"JeongHoon Lee","doi":"10.33097/jncta.2023.07.09.1541","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541","url":null,"abstract":"2001년 9.11 테러사태이후 미군은 자신들의 선한 의도와 활동이 세계인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 다는 문제의식에서 전략커뮤니케이션(Strategic Communiction:SC)이라는 개념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우리 한국군 에게는 2008년에 도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최초 도입된지 16년이 지난 지금 우리 한국군의 SC는 제대로 자 리잡고 있는지 변화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 나아갈 방향 제시를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전략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산물을 중심으로 RISS, 스콜라 등 총 5개의 학술정보 DB를 활용하여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방법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SC관련 논문의 부족한 현실을 체감할 수 있었고 개념이 도입되어 연구가 활발하던 초기에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연구 분야 또한 개념설명과 국방부 수준의 SC에 한정되어 있어 변화하는 SC 환경에 대한 고려와 정부차원의 SC로 통합시의 효과성과 파급력을 고려할 때 국가수준의 SC에 대한 연구 등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 연구방법면에서는 문헌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전문가 인터뷰, 설문, 빅데이터등을 활용한 양적연구 등의 필요성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정책적 제언이 SC의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길 바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6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4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406
Soon-Chul Ur
{"title":"Fabrication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Mg3Sb2 Processed by Hot Pressing","authors":"Soon-Chul Ur","doi":"10.33097/jncta.2023.07.09.1406","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06","url":null,"abstract":"Mg3Sb2는 고유한 낮은 열 전도도를 가지는 잘 알려진 2족-5족 진틀(zintle) 반도체로, 이로 인해 높은 평 가를 받는 열전재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화학양론적 원소들의 shot 혼합체를 용융/응고한 후 분쇄하여 미분말로 만 든 다음, 진공열간압축성형을 통해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모든 과정은 통제된 비활성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공정 중 Mg의 증발을 보상하여, 단일상 Mg3Sb2를 얻기 위해 12 at.%의 과잉 Mg를 첨가하였다. 과잉 Mg의 첨가로 인해 단일상 Mg3Sb2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된 물질의 Seebeck 계수,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와 같은 열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유사한 물질에 대한 유사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Mg3Sb2의 우 수한 열전기적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낮은 열 전도도가 성능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Seebeck 계수와 전기 전도도는 비슷한 물질에 대한 문헌에 보고된 값들과 비교 가능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열 전도도는 크게 감 소하여 Mg3Sb2의 효율적인 열전기 재료로의 잠재력을 시사하고 있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9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