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紫毛藻提取物的抗炎和美白活性","authors":"Jin-Eui Song, Sang-Hyun Lee","doi":"10.33097/jncta.2023.07.09.144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녹조류인 Chaetomorpha torta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염 활성 측정 과 미백 활성 측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항산화능의 측정을 진행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EC50은 4.68±0.68 mg/mL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EC50은 8.99±2.70 mg/mL로 나타났다. Total phenolic contents와 total flavonoid contents는 각각 9.65±0.64 mg gallic acid/g, 2.93±0.06 mg quercetin/g으 로 나타났다. 그 후 미백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B16F10을 이용한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미백 활성 측정에서 세 포 독성은 12.5-100 μg/mL의 구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100 μg/mL에서 32.5±3.3%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Raw 264.7을 이용한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염 활성 측 정에서 세포 독성은 12.5-100 μg/mL의 구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100 μg/mL에서 80.3±1.6%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5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ti-inflammatory and Skin Whitening Activity of Chaetomorpha torta Extract\",\"authors\":\"Jin-Eui Song, Sang-Hyun Lee\",\"doi\":\"10.33097/jncta.2023.07.09.144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녹조류인 Chaetomorpha torta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염 활성 측정 과 미백 활성 측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항산화능의 측정을 진행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EC50은 4.68±0.68 mg/mL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EC50은 8.99±2.70 mg/mL로 나타났다. Total phenolic contents와 total flavonoid contents는 각각 9.65±0.64 mg gallic acid/g, 2.93±0.06 mg quercetin/g으 로 나타났다. 그 후 미백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B16F10을 이용한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미백 활성 측정에서 세 포 독성은 12.5-100 μg/mL의 구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100 μg/mL에서 32.5±3.3%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Raw 264.7을 이용한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염 활성 측 정에서 세포 독성은 12.5-100 μg/mL의 구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100 μg/mL에서 80.3±1.6%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5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ti-inflammatory and Skin Whitening Activity of Chaetomorpha torta Extract
본 연구는 녹조류인 Chaetomorpha torta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염 활성 측정 과 미백 활성 측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항산화능의 측정을 진행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EC50은 4.68±0.68 mg/mL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EC50은 8.99±2.70 mg/mL로 나타났다. Total phenolic contents와 total flavonoid contents는 각각 9.65±0.64 mg gallic acid/g, 2.93±0.06 mg quercetin/g으 로 나타났다. 그 후 미백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B16F10을 이용한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미백 활성 측정에서 세 포 독성은 12.5-100 μg/mL의 구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100 μg/mL에서 32.5±3.3%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Raw 264.7을 이용한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염 활성 측 정에서 세포 독성은 12.5-100 μg/mL의 구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100 μg/mL에서 80.3±1.6%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