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Pulmonary Paragonimiasis Misdiagnosed with Pulmonary Tuberculosis","authors":"Su Eun Park, Bo Song, J. Hwang","doi":"10.14776/PIV.2017.24.3.178","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3.178","url":null,"abstract":"우리나라에서 폐흡충증은 1960년대 까지만 해도 매우 흔하여 폐의 공동 병변을 일으키는 주요 감염 원인이었으나 현재는 매우 드문 감염병이 되었다. 16세 남자가 갑자기 열감, 기침, 객혈이 발생하여 가슴 X-선 영상검사를 실시하였고, 공기음영(air bubble)을 포함하고 있는 결절과 간유리 음영으로 세균학적으로 결핵균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결핵으로 진단받고 항결핵제로 치료를 받았다. 항결핵제 치료 후에 더 이상 기침 등의 증상은 호소하지 않았으나 가슴 X-선 영상검사와 가슴 컴퓨터단층촬영검사에서 병변이 악화되어 비디오 흉강경 구역절제술을 실시 받았으며 조직검사에서 폐흡충란이 발견되어 폐흡충증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49 6 1","pages":"178-182"},"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20633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linical Features of Kawasaki Disease with Pyuria","authors":"Hyojin Kim, J. Lee, U. Choi, S. Lee","doi":"10.14776/PIV.2017.24.3.141","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3.141","url":null,"abstract":"목적: 농뇨가 동반된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 [KD]) 환아와 농뇨 동반이 없는 KD 환아의 임상 및 검사실 지표들을 비교하여 농뇨 동반 KD의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u0000방법: 2015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KD로 입원한 140명(남아 86명, 여아 54명) 환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u0000결과: 48명의 KD 환아(34.3%)에서 농뇨가 관찰되었다. 농뇨 KD군은 비농뇨 KD군보다 높은 C-반응 단백(C-reactive protein [CRP]) 값을 보였고 간 효소치가 증가한 환아의 비율이 높았다. 두 군 간의 면역글로불린(intravenous immunoglobulin) 치료 저항성과 관상동맥병변(coronary artery lesion) 발생률에 대한 차이점은 없었다. 농뇨 KD군 중 6명(12.5%)은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을 감 별하기 위해 신장 영상검사를 받았고, 농뇨 KD군의 2/3(66.7%)는 KD 표준치료에 추가로 항생제 치료를 받았다. \u0000결론: 농뇨가 동반된 KD 환아들은 농뇨 동반이 없는 KD 환아들보다 더 높은 CRP 값과 더 많은 경우의 간 효소치 증가를 보였다. 이는 농뇨가 동반된 KD 환아가 농뇨 동반이 없는 KD 환아보다 더 심한 전신염증반응을 보인다는 점을 시사한다.","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1 1","pages":"141-14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957715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in Korean Patients with X-Linked Agammaglobulinemia","authors":"Hannah Cho, Joonggon Kim","doi":"10.14776/PIV.2017.24.3.152","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3.152","url":null,"abstract":"목적: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범저감마글로불린혈증(X-linked agammaglobu-linemia [XLA])로 진단된 환자들의 임상적 증상 및 치료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하였다. \u0000방법: 14명의 남자 환자가 XLA로 진단되었으며 CD19+ B 세포가 2% 미만이며 Bruton’s tyrosine kinase (Btk)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u0000결과: 모든 XLA 환자에서 반복적인 세균성 감염이 있었고 환자의 20%에서 호중구 감소증이 있었으며 환자 어머니의 75%가 보인자였다. Btk gene study에서는 돌연변이가 다양한 부위에서 나타났으며 특정부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지는 않았다. 면역글로불린 정맥주사 후 반복적인 세균성 감염은 줄어들었으나 합병증으로 기관지 확장증이 14명 중 3명, 지속적인 부비동염은 4명에서 발생하였다. \u0000결론: 4세 이전 세균 감염이 반복되는 경우 XLA와 같은 체액성 면역결핍을 의심하여 글로불린 검사를 하는 것이 조기 진단에 중요하며 Btk 유전자변이 검사를 시행하여 확진한 후 면역글로불린 정맥주사 및 예방적 항생제 등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줄이고 무 질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12 1","pages":"152-15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45093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Sohee Son, Ji‐Man Kang, Jong Min Kim, S. Sung, Yi-Seoul Kim, Haejeong Lee, BI Kim, Yeonghun Lee, S. Y. Ko, S. Shin, Yae-Jean Kim
{"title":"The First Newborn Screening Study of T-Cell Receptor Excision Circle and κ-Deleting Recombination Excision Circle for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in Korea: A Pilot Study","authors":"Sohee Son, Ji‐Man Kang, Jong Min Kim, S. Sung, Yi-Seoul Kim, Haejeong Lee, BI Kim, Yeonghun Lee, S. Y. Ko, S. Shin, Yae-Jean Kim","doi":"10.14776/PIV.2017.24.3.134","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3.134","url":null,"abstract":"목적: 중증복합면역결핍증(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SCID])은 일차면역결핍증 중 가장 심각한 형태의 질병이다. 국내에서 SCID 선별검사를 확립하기 위하여, 신생아에게 T-cell receptor excision circle (TREC)/ ${kappa}$ -deleting recombination excision circle (KREC)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부모에게 인...","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19 1","pages":"134-14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99198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Evaluation of Antibodies Against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in Korean Adults","authors":"Ji Hyen Lee, H. Kim, Soyoung Lee, Kyung-Hyo Kim","doi":"10.14776/PIV.2017.24.3.125","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3.125","url":null,"abstract":"","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5 1","pages":"125-133"},"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190973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Retrospec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Associated with Invasive Bacterial Infections in Children","authors":"Juneyoug Koh, Euri Seo, Jina Lee","doi":"10.14776/PIV.2017.24.3.168","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3.168","url":null,"abstract":"목적: 국내 소아에서 발생한 유산균 제제 내 포함 균주(Lactobacillus spp. 및 Saccharomyces spp.)에 의한 침습적 감염증의 임상 경과를 기술하고 중증 감염증 발생과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u0000방법: 1998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서 18세 이하의 소아청소년 환아에게서 발생한 Lactobacillus spp. 및 Saccharomyces spp. 에 의한 침습적 감염증의 의무기록과 2001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원내에서 처방된 유산균 제제 처방량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u0000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24명의 침습적 감염이 발생하였다(Lactobacillus spp. 16예 및 Saccharomyces spp. 8예). 유산균 제제의 처방량은 2001년부터 2016년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침습적 감염증의 발생률도 증가하였다(R2 =0.70). 환아들의 중간 연령은 1.8세(범위, 2개월-17세)이었고, 1명을 제외한 환아에서 기저질환을 동반하였다. 30일 사망률은 20.8% (5/24)였으며, 중증 감염증은 11예(45.8%)에서 발생하였다. 어린 연령의 환아이거나(P =0.02), 선천 심 질환이 있는 경우(P =0.01) 또는 침습적 감염증 발생 전 중환자실 재실 중이었거나(odds ratio [OR], 3.0; 95% confidence interval [CI], 1.5-6.1), 중심정맥관을 가지고 있던 경우(OR, 2.2; 95% CI, 1.2-4.3)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증 감염으로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u0000결론: 소아에서의 유산균 제제 내 균주에 의한 감염증은 흔하게 발생하지는 않지만, 유산균 제제의 사용량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어린 환아 및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중환자실 치료 또는 중심정맥관을 보유하고 있는 환아에 대해서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유산균 제제의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2008 1","pages":"168-177"},"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74925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Risk Factors of Readmission to Hospital for Pneumonia in Children","authors":"Y. Hong, Eom Ji Choi, Sin-Ae Park","doi":"10.14776/PIV.2017.24.3.146","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3.146","url":null,"abstract":"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아 폐렴 환자에서 재입원의 분석을 통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u0000방법: 2007년 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전주예수병원 소아청소년과에 폐렴으로 입원한 소아를 대상으로, 퇴원 후 30일 이내에 폐렴으로 재입원한 환자(재입원군)와 초회 입원한 환자(초입원군)로 나누어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u0000결과: 158명 중 연구군(재입원군)은 82명, 대조군(초입원군)은 76명이었다. 연령, 분절형 호중구 및 림프구 백분율, 12개월 내 입원 횟수, 동반 질환(천식 등 호흡기 질환), 우상 폐야의 병변이 재입원의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회귀분석상 연령과 동반 질환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고, 재입원율은 연령이 낮고 동반 질환이 있을 때 높았다. \u0000결론: 소아 폐렴의 재입원 위험인자로 환자의 어린 연령과 동반 질환이 유의하였다. 소아 환자가 폐렴으로 입원했을 때 연령이 낮고 동반 질환이 있다면 더 정확한 검사와 치료, 퇴원 시기 결정, 외래 추적 관찰 등에 신중을 기하여 향후 재입원율을 줄이기 위한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55 1","pages":"146-151"},"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371033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Infectious Pseudoaneurysm Caused by Group A Streptococcus in a Child without Underlying Disease","authors":"K. Kim, Hyun Ju Lee, C. Oh","doi":"10.14776/PIV.2017.24.3.183","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3.183","url":null,"abstract":"A군 사슬알균에 의한 감염성 가성동맥류는 심장 수술 과거력이나 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보고 되어 왔다. 저자들은 이전에 건강하던 5세 남아가 성홍열이 의심되는 상태에서 하지 통증을 호소하여 원인을 찾던 중 A군 사슬알균 균혈증과 함께 오른쪽 내장골동맥의 감염성 가성동맥류를 확인한 사례를 경험하였다. 기저 질환이 없던 성홍열 환자에서도 균혈증뿐만 아니라 가성동맥류와 같은 심각한 침습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성홍열 환자 진료 시 주의가 필요하다.","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79 1","pages":"183-187"},"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575887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Complicated by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authors":"J. Jung, Y. Kim, H. Choi","doi":"10.14776/PIV.2017.24.3.188","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3.188","url":null,"abstract":"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는 소아 하기도 감염의 주된 원인으로 대부분의 양호한 경과를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호흡부전과 같은 심한 경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심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에는 드물지 않게 폐외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저자들은 기계 환기를 필요로 하는 하기도 감염과 함께 급성심근염, 전격성 간 기능부전을 보인 심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132 1","pages":"188-192"},"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01871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Retrospective Analysis of Use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authors":"Mi-Sang Jung, Ji Hyun Park, C. Oh","doi":"10.14776/PIV.2017.24.2.87","DOIUrl":"https://doi.org/10.14776/PIV.2017.24.2.87","url":null,"abstract":"목적: 상기도 감염인 소아에게 항생제를 처방하는 것은 아직도 많은 진료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로 호흡기 바이러스가 확인된 이후에도 항생제를 사용한 소아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u0000방법: 2013년 1월부터 2014년 11월에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상기도 감염으로 입원한 환자 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u0000결과: 상기도 감염으로 진단받은 393명 중 전체 환자 연령의 중앙값은 23개월이었다. 입원 당시 항생제를 처방받은 환자(79명, 20.1%)와 항생제를 처방받지 않은 환자들의 임상적 요인을 비교할 때, 중이염 또는 부비동염의 동반, 높은 고감도 C-반응단백질의 수치가 항생제 처방과 의미 있게 관련 있었다 (P<0.001). 입원하여 항생제를 사용하던 중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방법으로 호흡기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지만, 항생제를 계속 사용한 환자는 44명 중 28명(63.6%)이었다. 항생제를 계속 사용한 환자는 항생제를 중단한 환자와 비교할 때 중이염 동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75% vs. 25%, P =0.002). \u0000결론: 본 연구에서 상기도 감염의 원인이 바이러스임을 확인된 소아 환자에게서도 항생제를 지속한 주된 이유는 중이염이 동반되었기 때문이었다. 중이염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그 중 항생제가 꼭 필요한 경우를 가려낸다면 소아 상기도 감염에서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37997,"journal":{"name":"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volume":"29 1","pages":"87-94"},"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301595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