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ology and Speech Research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Effects of Tinnitus Sound Therapy Depending on Stimulating Sound 刺激声治疗耳鸣的效果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70
Jeeun Yoo, Minseung Ku, Soon-Je Choi, In-Ki Jin
{"title":"Effects of Tinnitus Sound Therapy Depending on Stimulating Sound","authors":"Jeeun Yoo, Minseung Ku, Soon-Je Choi, In-Ki Jin","doi":"10.21848/asr.200070","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70","url":null,"abstract":"이명은 외부 소리의 자극과 무관하게 머리나 귀에서 대상자 가 무의식적으로 소리를 인식하는 증상을 말한다(Jastreboff, 1990). 이명은 보통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몇 분 내에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까지 이명이 아닌 일시적 귀 울림과 병적 이명을 구별하는 기준은 연구자 및 관점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 만, 몇몇 학자들은 공통적으로 5분 이상 지속되는 이명을 병리학 적인 이명으로 제안했다(Coles, 1984; Dauman & Tyler, 1992). 이명의 유병률은 대상군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 으로 성인 인구의 약 5~15%에서 지속적인 이명이 발생한다고 보 고하였다(Heller, 2003). 만성 이명은 어느 연령대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젊은 성인(5%)보다 60세 이후 노인(12%) 인구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ggermont & Roberts, 2004). 이명은 두통, 집중력 저하, 우울증 등을 동반할 수 있으 며 이러한 이차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Erlandsson & Hallberg, 2000). 이명의 치료 및 재활은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지 만 원인의 제거로 직접적인 치료가 가능한 일부 체성(somatosensory) 이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만성 이명은 이명의 관리 (management)를 통한 개선에 초점을 둔다(Kreuzer et al., 2013). 이명의 관리는 지각(perception)과 반응(reaction)의 개선으로 나눌 수 있다. 지각의 측면에서는 이명에 대한 인식을 감소(reduce awareness)시키는 것을 이명 관리의 목표로 한다. 지각은 소리치료(sound therapy)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는데 보청기 사 용, 음악청취, 차폐(masking), 소리강화(sound enrichment) 등 의 방법으로 이명의 관리가 주로 이루어진다(Henry et al., 2017). 반응의 측면에서는 부정적 반응을 감소(reduce negative response)시키는 것을 이명 관리의 주요한 목표로 한다(Henry et al., 2010). 반응은 교육과 상담으로 이명 관리가 이루어지는데 대표적으로 정보 상담(informational counselling), 자가 관리 교육(self-management skills education),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명을 관 리한다. 소리를 활용한 이명소리치료 효과를 언급한 최초의 문헌은 Effects of Tinnitus Sound Therapy Depending on Stimulating Sound Jeeun Yoo, Minseung Ku, Soon-Je Choi, In-Ki Jin Department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Graduate School,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Division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Research Institute of Audiology and Speech Path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572 1","pages":"305-313"},"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1890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Qualitative Analysis for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Clinical Field 言语治疗与听觉康复专业的定性分析及临床工作经验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65
Ji Youn Kim, Soo Bok Lee, P. Thak
{"title":"Qualitative Analysis for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Clinical Field","authors":"Ji Youn Kim, Soo Bok Lee, P. Thak","doi":"10.21848/asr.200065","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65","url":null,"abstract":"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은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매 우 필요하며, 청각은 언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의사소통에 필 수적이다. 그리하여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의사소통장애는 크게 언어치료와 청각재활이라는 두 개의 전문적 영역으로 나 눌 수 있다. 언어재활사는 생애 중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문 제, 즉 언어와 말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들의 진단 및 재활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말하며, 청능사는 난청인의 특성을 고려하 여 청각 기능의 평가와 재활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언 어치료와 청각재활 분야는 모두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진 사 람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활전문가이고 우리 사 회가 교육, 복지, 재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두 분야의 전문 영역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언어재활사와 청능사는 언어치료와 청각재활 관련 학위를 취득한 후 자격증 시험에 합격하면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사람 들을 돕는 전문가로서 일하게 된다. 언어치료는 1988년 국내에 학과 과정이 개설되었고 1992년부터 민간자격증 형태로 운영되 다가 2012년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으로 전환되었다(Chang et al., 2018). 청능재활은 우리나라에 1997년 청각학 교육과정이 도입된 이래 1998년 청각학 석사과 정이 개설되었고, 2002년부터 청능사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언 어재활사와 청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현재 전국에 50개 (Kim et al., 2018)의 언어치료 관련 학과가 있고 6개(2020년 7월 청각학교수협의회 등록 기준)의 청능재활 관련 학과가 운영 중 이다. 청능재활을 운영하는 학과들은 대부분 언어재활사와 청 능사를 동시에 준비하도록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졸업생들은 언어재활사로 종합병원, 개인병원, 복지관,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특수학교, 교육청 등 의 교육기관, 다문화 가정지원센터, 노인 및 재활병원이나 시설 등에서 근무하거나 청능재활센터, 종합병원이나 개인병원, 연 구소, 클리닉, 보청기 제조사나 인공와우 제조사 등에서 청능 사로 일할 수 있게 된다. 언어치료와 청능재활은 전문화된 직종 으로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일할 기회가 주어지며, 임상 현장 의 여러 요소들이 직무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언어재활 사 국가자격증 도입 이후 국내에서 언어재활사의 직무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청능사의 직무와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언어치료와 청능재활 두 개 의 전공을 이수하고 현장에 취업해 있는 언어재활사나 청능사 Qualitative Analysis for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Clinical Field","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37 1","pages":"363-372"},"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97242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Cognitive-Communicative Predictor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轻度认知障碍的认知-交际预测因子:系统综述和荟萃分析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56
M. S. Lee
{"title":"Cognitive-Communicative Predictor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authors":"M. S. Lee","doi":"10.21848/asr.200056","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56","url":null,"abstract":"Correspondence: Mi Sook Lee, PhD Department of Audiology & Speech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427 Yeoksam-ro, Gangnam-gu, Seoul 06197, Korea Tel: +82-70-8680-6961 Fax: +82-2-3453-6618 E-mail: mslee2018@hallym.ac.kr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the preclinical stage and sign of dementia. It is also important for guidance i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neurological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s on cognitive/communicative and other predictors of MCI patients systematically, and to propose the evidence-based data including effect sizes of them using a meta-analysis method. Fifty-seven researches published since 2010, meet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entered into the analysis. They were analyzed in a methodological and content level, and the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by 3 predictors. Predictive values were pooled from cognitive (10 domains), communicative (9 domains), and other (3 domain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eneral target population for studies was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55, and most studies included at least 2 types of predictors. Secondly, average effect sizes of 3 predictors in MCI were all significant. Thirdly, cognitive predictors like memory and general cognition had significant and high-level effect sizes. Fourthly, communicative predictors including comprehension and word fluency had moderate-level effect sizes significantly. Lastly, all demographic and neuropsychological (age, education, depression) predictors had significant and moderate-level effect sizes. Our results provide the evidence-based information to predict MCI. Especially, specific cognitive and communicative predictors may contribute to increase the diagnostic and prognostic accuracy in MCI.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present clinically available data and increase the effect in intervention for MCI.","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2 1","pages":"276-294"},"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826888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Word-Finding Behaviors of Discourse Production Task in Healthy Elderly Adults 健康老年人话语生成任务的找词行为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64
Hyunjoo Choi
{"title":"Word-Finding Behaviors of Discourse Production Task in Healthy Elderly Adults","authors":"Hyunjoo Choi","doi":"10.21848/asr.200064","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64","url":null,"abstract":"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는 노인들의 이름대기 능력에 손 상을 주며, 이러한 이름대기 능력의 저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언어장애 연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Kim & Kim, 2009). 노화로 인한 이름대기 능력의 변화는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주의력(attention)의 저하, 처리 효율성(processing efficiency)의 감소로 인한 정보 인출의 어려움 등이 원인인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노화로 인한 이름대기의 어려움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면이름대기(confrontational naming)나 구어 유창성(verbal fluency) 과제와 같이 단어 인출 능력을 평가한 연 구들이 대부분이다(Bruda, 2010; Kim & Kim, 2009). 이러한 과제 중 사물이나 그림을 보고 해당 사물의 이름을 말하는 대면 이름대기 검사는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Schmitter-Edgecombe et al., 2000), 이러한 과제로 평가한 연구들의 결과는 노 화로 인해 이름대기 능력이 저하된다는 연구와 보존된다는 연 구가 혼재한다(Choi, 2014). 이렇듯 노인들의 대면이름대기 수 행에 관련된 연구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연구마다 교육년수, 연령에 따른 목표 어휘의 친숙성(familiarity) 등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변수들이 이름대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 기 때문이다(Schmitter-Edgecombe et al., 2000). 실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준화된 대면이름대기 검사인 The Boston Naming Test (Kaplan et al., 1983) 수행의 종단연구 결과 노년 층의 경우 10년마다 약 2%씩 이름대기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nnor et al., 2004). 그러나 이러한 대면이름대기 검사들은 연령에 따른 정확도가 제한적이며(Mortensen et al., 2006), 고학력자들의 경우 이러한 검사들의 민감도가 낮은 것 으로 알려져 있다(Connor et al., 2004). 다음으로 구어 유창성 검사는 어휘목록(lexicon)과 의미기억에 있는 정보를 전략적으 로 탐색, 인출하는 능력을 알아보는 검사로, 주어진 시간(주로 1분)안에 특정 의미 범주(semantic category)와 특정 음소 (phoneme)로 시작되는 어휘를 산출하게 하는 과제이다(Baldo et al., 2006). 노년층의 구어 유창성 과제 수행 능력은 의미기억 및 인지처리과정의 효율성 저하로 인하여 제한된다고 알려져 있다(Kang et al., 2000). Word-Finding Behaviors of Discourse Production Task in Healthy Elderly Adults","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175 1","pages":"347-35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15251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During Reading Paragraph Tasks in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 正常成年男女阅读段落任务的气动特性比较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62
H. Pyo
{"title":"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During Reading Paragraph Tasks in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authors":"H. Pyo","doi":"10.21848/asr.200062","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62","url":null,"abstract":"Ferrand(2012)는 음성장애 환자를 평가할 때 언어재활사 (speech language pathologist, SLP)는 다양한 방법으로 음성 의 음도, 강도, 음질 특징을 평가하고 다양한 상황의 음성산출 방법이나 습관 등을 평가하며 이비인후과 의사는 내시경을 이 용하여 환자의 성대 및 후두를 검사함으로써 후두의 구조적 병 리 혹은 기능의 문제를 발견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음성장 애 환자의 음성 평가에 있어 주로 SLP는 음성과 음성산출에, 의사는 성대 해부생리의 병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 해 SLP는 음향적 평가, 공기역학적 평가, 성대진동 검사 등의 기기적 평가와 청지각적 평가를 통해 환자의 음성 상태를 확인 하고 음성산출의 정상성 여부를 판단한다. 공기역학적 평가는 발화 시 적절한 호흡지지가 이루어지는 시간과 정도를 파악하여 편안한 음성산출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된다. 발화 시 호흡지지는 음성산출 방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기역학적 평가는 환자 의 음성 특성뿐 아니라 평소의 음성산출 습관을 파악하는 데 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음성산출과 관련된 해부생리학적 특징의 단서도 제공한다(Goozée et al., 1998; Schaeffer, 2017). 이 때문에 공기역학적 평가는 음성의 기기적 평가 시 기본적으 로 사용하는 평가방법 중 하나이다. 공기역학적 평가와 같은 기기적 평가를 시행할 때 어떤 과제 를 사용하여 어떤 음성샘플을 분석자료로 사용할 것인가는 Gerratt et al.(2016)이 언급한 것처럼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 는 주제이며, 쉽게 결정할 수 없는 난제 중 하나이다. 특히 기기 를 이용한 평가는 기기가 분석할 수 있는 범위에 맞춰 음성샘 플을 취해야 하므로 평가자가 임의로 음성샘플을 선정할 수 없 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음성분석기기가 연 장모음 산출을 분석재료로 하였다. 유도하기 쉽고 인접한 음소 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 때문에 널리 선호되어왔으나(Gerratt et al., 2016) 일상생활에서 연장모음을 산출할 일이 흔하지 않 은 만큼 항상 일상생활 시 음성사용과의 괴리가 문제점으로 지 적되었다. Maryn & Roy(2012)도 숙련된 청취자로 하여금 39명 의 음성장애 환자의 연장모음과 연속발화에 대한 음성문제의 중증도를 평정하도록 한 결과 같은 화자의 발화여도 연장모음 의 중증도를 연속발화보다 더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평정했다 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During Reading Paragraph Tasks in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54 5","pages":"356-362"},"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24862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学龄前口吃儿童的气质特征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52
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
{"title":"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authors":"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doi":"10.21848/asr.200052","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52","url":null,"abstract":"말더듬은 선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발달적 요인 등의 상호작 용으로 발생하는 다면적인 장애이다(Guitar, 2014; Manning, 2010). 이러한 말더듬의 발생과 진전에 영향을 미치는 선천적인 요인 중의 하나로 기질(temperament)이 제시되었다(Anderson et al., 2003). 기질이란 생의 초기부터 보이는 개인의 특성으로 한 개인의 행동 양식과 정서적 반응을 의미하며, 사회적 상황 에 따라 반응하고 대처하는 기제이다(Rothbart & Derryberry, 1981). 이와 관련하여 Riley & Riley(2000)는 말더듬아동의 진 단에 관한 포괄적인 시각을 포함한 수정된 구성모델(revised component model, RCM)을 제시하였다. 수정된 구성 모델에 따르면 말더듬과 관련있다고 생각되는 요인은 크게 세 가지 구 성요소, 즉 신체적 특질, 기질적 요인, 청자의 반응이며 이러한 다면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전에 종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다. 특히 기질적 요인으로는 높은 자기 기대와 과도한 민감성이 제시되었으며 대략적으로 40~60%의 아동이 이러한 기질적 요 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기질적 특성이 관 찰되는 경우에는 임상가는 아동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아 동의 경험 등을 같이 이야기하는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제시되었다. 즉 기질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이를 적절히 파악하고 임상에 효율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말더듬는 사람의 기질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 되었는데 우선 여러 다양한 집단이 말더듬는 사람들이 기질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말더듬성인은 일반인과 비교, 민감성, 완벽주의, 불안 등과 같은 기질적인 특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 으로 인식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이러한 고정관념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언어재 활사, 말더듬아동의 부모, 언어병리학 전공자 등 다양한 집단에 서 공유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말더듬아동의 부모는 말더듬아동이 요구가 많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 Jeonggwan Bareum Psychology Communication Center, Graduate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44 1","pages":"339-346"},"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658452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Japanese Listeners’ Judgments of Prolongations: With Focus on the Effect of Phonemic Length Contrast 日语听者对延长音的判断:以音位长度对比为中心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10-05 DOI: 10.21848/asr.200047
Mi-gyu Kang, Inkie Chung, Jin Park
{"title":"Japanese Listeners’ Judgments of Prolongations: With Focus on the Effect of Phonemic Length Contrast","authors":"Mi-gyu Kang, Inkie Chung, Jin Park","doi":"10.21848/asr.200047","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47","url":null,"abstract":"Correspondence: Jin Park, PhD Department of Speech Rehabilitation and Counseling, Speech Rehabilitation Clinic Center,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24 Beomil-ro 579beon-gil, Gangneung 25601, Korea Tel: +82-33-649-7737 Fax: +82-33-649-7669 E-mail: gatorade70@cku.ac.k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1) what the absolute minimal duration of the lengthened Japanese sounds /s/, /ss/, /i/, and /i:/ are that are perceived to be abnormal by native speakers of Japanese; 2) what the relative ratio of a stimulus sound’s original length to its absolute perceptual threshold is; 3) whether differences are observed between short and long fricatives and between short and long vowels; and 4) whether phonemic length contrast affects the perceived abnormality of lengthened speech sounds. Methods: Twelve native speakers of Japanese (2 males, 10 females) listened to the Japanese sounds /s/, /ss/, /i/, and /i:/, each of which was lengthened by 0–400 ms in 20 ms increments. The participants rated whether the sound was normal (0) or abnormal (1). The minimal duration for each lengthened sound to be perceived as abnormal by the participants wa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using Youden’s index. Results: The minimal prolongation duration to be perceived as abnormal was 70 ms for /s/, 130 ms for /ss/, 70 ms for /i/, and 170 ms for /i:/. The percentage increases in duration required to be perceived as abnormal were 106% for /s/, 129% for /ss/, 117% for /i/, and 138% for /i:/. Conclusion: Phonemic length contrast affects the minimal prolongation duration and the percentage increase thresholds at which Japanese listeners perceive speech sounds as abnormally long.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further discussed within a diagnostic context of sound prolongation as one of core behaviors of stuttering.","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60 1","pages":"329-338"},"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0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661731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Literature Review of Bimodal Fitting 双峰拟合的文献综述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10-05 DOI: 10.21848/asr.200049
Junghwa Bahng, S. Oh
{"title":"A Literature Review of Bimodal Fitting","authors":"Junghwa Bahng, S. Oh","doi":"10.21848/asr.200049","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49","url":null,"abstract":"review Inclusion & exclusion criteria Removal of duplicates Full-text review Figure 1. Flowchart of the systematic review of bimodal fitting literature. www.e-asr.org 267 J Bahng & S Oh ASR 최종 19개의 바이모달 적합 관련 논문을 결정하였다(Figure 1). 최종 선정된 19개 논문을 검토하고 바이모달 적합 지침 확 립을 위해 본 연구의 관심 항목인 적합 주제, 적합 방법, 평가 도구, 평가 항목, 결과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RESULTS Table 2는 총 19개 바이모달 적합 관련 논문의 내용을 적합 중재, 적합 내용, 검사 방법 및 도구, 결과, 설문지 항목으로 정 리한 결과이다. 19개 문헌 중 바이모달 인공와우 적합 논문은 1개였고 나머지 18개 논문 모두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바이모달 적합 관련 연구가 대부분 보청기 적합 주제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이모달 보청기 적 합과 관련된 18개 연구의 주요 중재 내용은 1) 보청기 적합공 식, 2) 보청기 이득조절, 3) 양 귀 간 음량평형, 4) 보청기 주파수 범위, 5) 보청기 주파수 변이 시스템, 6) 바이모달 적합 프로토 콜에 대한 6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었다. 한편 바이모달 인공 와우 적합에 대한 1개 논문에서는 인공와우 저주파수 대역의 조절에 따른 바이모달 효과를 포함하고 있었다. 다음에서는 바 이모달 적합과 관련된 19개 문헌의 대략적 내용을 설명하였고 Table 2에서 각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보청기 적합공식 바이모달 적합에서 각각 다른 보청기 적합공식의 적용에 따 른 결과를 비교한 연구(Cuda et al., 2019; English et al., 2016; Vroegop et al., 2019)에서는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공식인 Adaptive Phonak Digital Bimodal (APDB)과 일반적인 보청기 적합공식인 Desired Sensation Level version 5, National Acoustics Laboratories Non-Linear version 2(NAL-NL2)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보청기 적합공식에 따른 말지각 측 면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NAL-NL2와 보청기 자체의 적합공식을 사용한 결과를 비교했을 때에도 말지각에 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보청기 적합공식의 차이가 바이모달 말 지각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적 합공식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APDB와 NAL-NL2를 다른 적합공식보다 좀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는 말지각의 측면보다는 주관적인 소리의 질 등으로 보 청기 적합공식을 선호함을 보여주었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보청기 이득조절 보청기 이득조절 및 음량평형과 관련된 연구(Ching et al., 2004; Harris & Hay-McCutcheon, 2010; Veugen et al., 2016a, 2016b; Yehudai et al., 2013)를 살펴보면, 압축 채널의 수와 시 간 측면에서 보청기의 자동이득조절(automatic gain control) 조건을 인공와우의 자동이득조절 조건과 매치했을 때 매치하 지 않았을 때보다 말지각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여, 보청기와 인공와우 두 개 청각기기 간 자동이득조절 조건을 동일하게 했 을 때 바이모달 결과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 다(Veugen et al., 2016b). 또한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에서 보청기 의 이득은 실이측정의 목표 이득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Ching et al., 2004; Harris & Hay-McCutcheon, 2010; Yehudai et al., 2013), 기능이득 결과에서는 보청기 착용 후 저 주파수 대역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보다 이득이 많음을 보였다. 또한 보청기 착용 후 역치 평가가 바이모달 결과가 좋은 사용 자와 그렇지 못한 사용자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Harris & Hay-McCutcheon, 2010) 기능이득만으로 바이모달 보청기 적 합의 최적화를 확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양 귀 간 음량평형 양 귀 간 음량평형 연구와 관련하여 Veugen et al.(2016a)은 광대역 주파수 대역에 근거한 음량평형 방법과 3개 주파수 밴 드로 구분한 주파수 의존적 음량평형 방법을 적용하여 보청기 이득을 조절하고 바이모달 효과를 비교했을 때, 광대역 또는 주파수 의존적 음량평형에 따른 말지각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 (Veugen et al., 2016a). Table 2에 보고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바이모달 적합 시 인공와우와 보청기의 음량평형을 적용하였 으며, 예를 들어 Ching et al.(2004)의 연구에서는 처음에는 인 공와우만 착용한 상태에서 녹음된 이야기를 듣도록 하고 인공 와우와 비교하여 보청기가 동일한 소리 크기로 들릴 수 있도록 보청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음량평형 방법을 제시하였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주파수 범위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의 주파수 대역 설정에 따른 효과를 비교 했을 때(Messersmith et al., 2015; Neuman & Svirsky, 2013; Neuman et al., 2019) 대부분의 연구에서 보청기 주파수 대역 설정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없었으며,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에 서 광대역 주파수의 우선적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Messersmith et al.(2015)의 연구에서는 전기와 음향 자극 주파수 대 역의 중복을 제한하고 와우 사영역(dead region)을 고려하여 Table 1.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is study Inclusion criteria Exclusion criteria Studies of bimodal fitting & fitting outcomes Real bimodal us","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32 1","pages":"265-27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0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9554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Efficacy of Auditory Training Using Video Clips for Older Adults Who Wear Hearing Aids 使用视频片段对佩戴助听器的老年人进行听觉训练的效果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07-31 DOI: 10.21848/asr.200031
Min-Jin Lee, Junghwa Bahng
{"title":"Efficacy of Auditory Training Using Video Clips for Older Adults Who Wear Hearing Aids","authors":"Min-Jin Lee, Junghwa Bahng","doi":"10.21848/asr.200031","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31","url":null,"abstract":"Correspondence: Junghwa Bahng, PhD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427 Yeoksam-ro, Gangnam-gu, Seoul 06197, Korea Tel: +82-70-8680-6933 Fax: +82-2-3453-6618 E-mail: bahng.jh@gmail.com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using the developed videos in terms of speech perception in noise and cognitive ability. Methods: For the training materials, we had 16 video clips edited from new, TV shows, and movies. To evaluate the auditory training effect when using the video clips, a total of 17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the subjects had worn hearing aids for 1 to 3 months. Among the 17 subjects, ten of them completed eight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 of the auditory training, while the other seven subjects did not have any training chance. Sentence recognition in noise tests, cognition tests such as digit span (auditory-only and auditory-visual conditions) attention test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hearing aids were evaluated at both preand post-auditory training.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sentence recognition in noise, attention, and subjective hearing aid satisfaction in the auditory training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igit span after the auditory training. In the non-training group, none of the tests’ scores were significantly changed, other than subjective hearing aid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uditory training with video clip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speech understanding in nois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as well as cognitive ability, attention. However, we did not observe working memory improvement after the training. For future study, we need to examin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especially working memory.","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100 1","pages":"206-216"},"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359647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Checklist Measuring Change in Global Cognition 测量全局认知变化的主观检查表的研制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07-31 DOI: 10.21848/asr.200043
Eunkyung Jeong, JungWan Kim
{"title":"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Checklist Measuring Change in Global Cognition","authors":"Eunkyung Jeong, JungWan Kim","doi":"10.21848/asr.200043","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43","url":null,"abstract":"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인지기능 의 저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지만 아직 치매로 진단할 수 있을 정도로는 심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임상적 진단 기준에 의 하면, MCI 진단에 경미한 기억력 손상부터 일부 초기의 치매 환자들이 포함되어 집단 내에서도 양상과 경과가 이질적이고 중복되어 나타난다(Petersen et al., 2001). MCI에 대한 연구가 깊이 있게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아형들(subtypes)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는데(Petersen, 2003), 기억장애 유무와 손상받 은 영역의 개수에 따라 기억성(amnestic) MCI (aMCI), 다영역 MCI, 비기억성 단일 영역 MCI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aMCI의 경우 퇴행성 질환의 초기 상태로 간주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에 기인한 경도인지장애라는 용 어를 사용하기도 한다(Korea Dementia Association, 2011). aMCI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1)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주관적 기억장애에 대한 호소가 있고, 2) 신경심리검사상 기억 영역에 서 나타나는 객관적인 인지기능 저하가 있으며, 3) 기억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4)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정상이고, 5) 치매로 진단되지 않아야만 한다(Petersen, 2004). aMCI의 진단 기준을 사용할 경우 매년 10~15%의 MCI 환자가 치매로 진행하게 되는데, 정상 노인들의 1~2%만이 매년 치매로 진행하는 것에 비하면 매우 높은 수준을 상회한다(Petersen et al., 2001). 대부분의 임상에서 인지장애는 객관적인 인지검사를 통해 평가된다(Galvin et al., 2006). 그러나 한 가지 검사로 여러 아 형을 포함하고 있는 MCI를 진단할 수 있는 신경심리검사 항목 이나 도구는 없고,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American Psychiatric Aoociation, 2013)이나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Alzheimer’s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Checklist Measuring Change in Global Cognition","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9 6 1","pages":"254-263"},"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378460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