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Dermatology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Leaders" School Innovation Competency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novation 职业高中领导学校创新能力与职业教育体系创新的感知与需求分析研究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35140/kiiedu.2023.48.3.64
Chan Lee, Nakhyun Song, Hyun Jeong Choi
{"title":"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Leaders\" School Innovation Competency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novation","authors":"Chan Lee, Nakhyun Song, Hyun Jeong Choi","doi":"10.35140/kiiedu.2023.48.3.64","DOIUrl":"https://doi.org/10.35140/kiiedu.2023.48.3.64","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직업계고 리더의 학교 혁신역량과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정책보고서를 바탕으로 직업계고 체제혁신을 위한 학교의 혁신역량과 혁신전략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직업계고 CEO 연수과정에 참여한 직업계고 리더를 대상으로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관련 설문 조사를 통해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 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하였다.BR 연구 결과는 첫째, 직업계고의 혁신역량으로 개방성 중 성과추구 역량과 현장성 중 요구반영 역량, 역동성 중 변화관리와 지속성이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전략으로 역량 있는 교원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제고하는 연수전략과 직업계고 인식개선을 위한 전략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과제로 담당 교과 전문성 역량 신장,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및 컨설팅 등 교원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BR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등 직업교육의 체제혁신은 일부 부분적 혁신보다 교육수요자의 요구반영과 학교 역량의 진단 등을 통해 학교 전반의 혁신을 통한 성과를 달성해야 한다. 또한, 직업계고 구성원 전체의 협력으로 학교 체제를 혁신할 수 있는바, 직업계고 리더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구성원 스스로 리더로서 인식하고 성과 달성의 주축이 되어야 한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4 3","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3120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Concern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 中学技术教师对人工智能教育关注的分析与启示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35140/kiiedu.2023.48.3.106
Bang-Hee Kim
{"title":"Analysis and Implications of Concern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authors":"Bang-Hee Kim","doi":"10.35140/kiiedu.2023.48.3.106","DOIUrl":"https://doi.org/10.35140/kiiedu.2023.48.3.106","url":null,"abstract":"","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1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3555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TEM-based Instructional Designing for the ‘Flight Performance of a Helicopter’ Learning Element in ‘Aircraft General’ Subject for 2022 revised curriculum in ‘Mechanics’ subject matter 基于stem的“直升机飞行性能”教学设计,适用于2022年“飞机通用”学科“力学”学科修订课程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35140/kiiedu.2023.48.3.42
Sungbaek Kang, Minsoo Jang
{"title":"STEM-based Instructional Designing for the ‘Flight Performance of a Helicopter’ Learning Element in ‘Aircraft General’ Subject for 2022 revised curriculum in ‘Mechanics’ subject matter","authors":"Sungbaek Kang, Minsoo Jang","doi":"10.35140/kiiedu.2023.48.3.42","DOIUrl":"https://doi.org/10.35140/kiiedu.2023.48.3.42","url":null,"abstract":"","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3587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f Automated Mobility-on-Demand Service Acceptance Rate Based on Stated Preference Survey 基于陈述偏好调查的自动出行按需服务接受率研究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7470/jkst.2023.41.5.538
Juhyoun YOUM, Jeahyung LEE, Jin-Hyuk CHUNG, Jinhee KIM
{"title":"A Study of Automated Mobility-on-Demand Service Acceptance Rate Based on Stated Preference Survey","authors":"Juhyoun YOUM, Jeahyung LEE, Jin-Hyuk CHUNG, Jinhee KIM","doi":"10.7470/jkst.2023.41.5.538","DOIUrl":"https://doi.org/10.7470/jkst.2023.41.5.538","url":null,"abstract":"최근 실시간 빅데이터 처리 기술이 발전하고 다원화된 이용자의 통행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자율주행 수요대응형 대중교통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의 수요대응형 서비스 연구에서는 운영자 관점에서 서비스를 효율화하고 최적의 공급 기준을 마련하여 서비스를 정착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호출 후수락”의 수요대응형 서비스 형태에 초점을 맞추어 이용자가 호출 시 제공받는 통행정보가 서비스 수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Efficient design 방법을 활용하여 3가지 거리별(5km, 10km, 15km)에 따른 두 가지 서비스 대안과 수락 거절 대안으로 잠재선호 선택실험 문항을 설계하였다. 대안 속성으로는 통행요금을 비롯하여 배차시간, 탑승장소까지 접근시간, 차내 이동시간으로 구성하고 4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여 거리별 시나리오 당 32 개의 선택상황을 8개의 Block으로 구성하였다. 이용자는 총 12번 가상 실험선택 상황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효용 최대화 이론에 근거하여 혼합로짓을 통한 서비스 수락율을 추정하였다. 더불어, 자율주행 수요대응형 서비스 대안의 효용함수에 거리별 최소 차내 이동시간 대비 3가지 통행시간(배차시간, 탑승장소까지 접근시간, 추가 차내 이동시간 범위)에 대한 상호작용변수를 포함하여 통행정보의 상대성이 수락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행요금을 비롯하여 탑승장소까지 접근시간과 추가 차내 이동시간 범위는 수락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차량의 배차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한편, 최소 차내 이동시간 대비 접근시간에 대한 상호작용변수가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동일한 접근시간에 대하여 통행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락률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추가 차내 이동시간 범위의 경우 단일변수와 상호작용변수 모두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차내 이동시간의 절대적 증가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증가 가능성 역시 서비스 수락률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5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79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ravel Time Cost Saving Impacts by Installing Bus Bays on Four-Lane Roadway 在四车道道路上设置公交停机位对节省出行时间成本的影响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7470/jkst.2023.41.5.577
Hyeokjun LEE, Jonghan PARK, Joonho KO, Dongsung KIM
{"title":"Travel Time Cost Saving Impacts by Installing Bus Bays on Four-Lane Roadway","authors":"Hyeokjun LEE, Jonghan PARK, Joonho KO, Dongsung KIM","doi":"10.7470/jkst.2023.41.5.577","DOIUrl":"https://doi.org/10.7470/jkst.2023.41.5.577","url":null,"abstract":"최근 코로나로 인해 지하철 혼잡도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버스서비스의 개선을 통한 지하철 수단분담률 집중 완화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버스베이는 대중교통에 대한 교통대책의 일환으로 설치가 장려되고 있는 시설이나 국내 연구사례에서 버스베이의 장단점을 심층적으로 연구한 사례는 드물다. 또한, 차량 통행을 우선시하는 교통정책의 실현 수단으로 설치되고 있어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왕복 4차로 도로를 대상으로 미시 시뮬레이션을 통해 교통류 변화, 통행시간 절감편익 등 정차시간 및 혼잡도에 따른 버스베이 설치의 정량적인 효과를 도출하고 버스베이가 필요한 여건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버스베이 설치시 일반차량의 교통 효율은 향상되는 반면 버스의 교통 효율은 떨어지며 이 효과는 혼잡도가 높을 때 더 크게 나타났다. 버스베이 설치는 혼잡한 교통 상황에 버스 정차시간이 긴 경우 통행시간 절감편익을 발생시키나 그 외 대부분의 경우 통행시간 절감불편익을 발생시켰다. 버스베이가 버스의 교통흐름을 저해하는 점과 통행시간 절감불편익을 발생시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왕복 4차로 도로에서 버스정류장 설치 시 특정한 상황을 제외하면 버스베이 설치가 반드시 편익을 가져오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31 10","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795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Development of OJT Skill Check Teaching- Learning Materials for NCS Based System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Equipment of Practical Education 基于NCS系统的半导体制造工艺装备实践教育OJT技能考核教材的开发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35140/kiiedu.2023.48.3.82
Yeong-Dae Lim, Dong-Yeon Kim
{"title":"Development of OJT Skill Check Teaching- Learning Materials for NCS Based System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Equipment of Practical Education","authors":"Yeong-Dae Lim, Dong-Yeon Kim","doi":"10.35140/kiiedu.2023.48.3.82","DOIUrl":"https://doi.org/10.35140/kiiedu.2023.48.3.82","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NCS 기반의 반도체 이론적 문헌을 고찰, 분석하여 NCS 기반 시스템 반도체 제조공정 설비 장비의 실무교육을 위한 OJT Skill Check 교수·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과 방법은 국내 반도체 장비의 세분류를 조사, 분석하여 PDIE 모형에 근거하여 교수·학습 자료를 수준별(L5, L4, L3)로 각각 1개씩 설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연구 대상자(6명)에게 질적 연구(FGI, BEI) 방법을 적용하였고, 연구 결과를 OJT Skill Check 교수·학습 자료에 모두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내용 전문가(11명)에게 타당도를 검증, 확인하였다.BR 연구결과는 첫째, 국내 NCS 기반 반도체 장비의 세분류를 분석하였다. 둘째, NCS 학습모듈에 기초 수준별(L5, L4, L3) NCS 기반 OJT Skill Check 교수·학습 자료(안)를 각각 1개씩 개발하였다. 셋째, 교수·학습 자료를 교육 대상자(6명)에게 집체 교육(이론과 실무)을 실시한 후 질적 연구(FGI, BEI)를 실시하였다. 넷째, 질적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교수·학습 자료를 수정, 보완하고,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NCS 기반 OJT Skill Check 교수·학습 자료를 최종 개발하였다.BR 따라서 NCS 기반 OJT Skill Check 교수·학습 자료는 시스템반도체 제조공정 기업의 신규직원, 재직근로자 직무수행능력 향상 및 관련 교육기관에서의 교수·학습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4 2","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3120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tress-Inducing Scenarios for Elderly Drivers: A Text Mining Approach Utilizing FGI-Based Analysis 老年司机的压力诱导情景:利用基于fgi的分析的文本挖掘方法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7470/jkst.2023.41.5.525
Nakhyeon CHOI, Junghwa KIM
{"title":"Stress-Inducing Scenarios for Elderly Drivers: A Text Mining Approach Utilizing FGI-Based Analysis","authors":"Nakhyeon CHOI, Junghwa KIM","doi":"10.7470/jkst.2023.41.5.525","DOIUrl":"https://doi.org/10.7470/jkst.2023.41.5.525","url":null,"abstract":"최근 고속도로에서 65세 이상 운전자에 의한 사고 건수는 매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고령 운전자의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는 사고의 종합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령 운전자 사고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상황을 규명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뇌 · 심혈관계 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를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FGI)를 통해 실시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에 대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FGI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주행 시 스트레스를 느끼는 원인의 토픽을 주요 키워드, 스트레스를 받을 때의 교통상황을 상황 키워드로 분류하여 총 5가지의 고령 운전자 스트레스 유발상황 유형을 도출하였다. 고령 운전자 스트레스 유발상황 시나리오는 5가지 유형의 주요 키워드와 상황 키워드를 결합하여 구축했지만, 시나리오 구축에 필요한 상황 키워드의 부재로 한국의 고속도로 교통사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교통사고분석 시스템(TAAS)의 고속도로 사고 데이터에서 고령 운전자 사고만 추출하여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지식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추가 구축한 지식베이스는 사고 건수가 많은 이유로 시나리오 유발상황 유형 주요 키워드와 적절한 상황 키워드 보완을 위해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를 실시하여 3개의 교통사고 그룹을 생성하고 고령 운전자 스트레스 유발상황 유형의 주요 키워드와 일치하는 토픽이 있는 사고그룹을 찾아 상황 키워드를 보완함으로써 최종적인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290 14","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11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Factors Influencing Road Complaint Processing Time Using Survival Analysis 基于生存分析的道路投诉处理时间影响因素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7470/jkst.2023.41.5.509
Woo Hoon JEON, Yusung MIN, Jinguk KIM, Gunwoo LEE
{"title":"Factors Influencing Road Complaint Processing Time Using Survival Analysis","authors":"Woo Hoon JEON, Yusung MIN, Jinguk KIM, Gunwoo LEE","doi":"10.7470/jkst.2023.41.5.509","DOIUrl":"https://doi.org/10.7470/jkst.2023.41.5.509","url":null,"abstract":"정부에서는 시민들의 편리한 민원 접수를 위해 도로의 위험요소 및 불편사항의 상시 신고가 가능한 척척해결서비스를 개발하여 2014년부터 시행중이다. 척척해결서비스는 24시간 내 신고사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민원의 배정 및 이관 절차로 인해 모든 민원이 24시간 내에 처리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의 위험요소는 시민들의 만족도 향상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신속한 처리가 필요하다. 민원 처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처리시간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나,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척척해결서비스 민원의 처리시간에 영향의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19년 1월부터 ‘22년 6월까지 척척해결서비스를 통해 접수된 민원신고 이력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존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신고 유형과 신고 지역이 민원 처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 유형 중 로드킬 및 낙석 유형으로 접수된 민원은 다른 유형에 비해 민원 처리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 지역 중 서울시와 부산시는 민원 처리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종시와 전라남도는 민원 처리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향후 민원 처리시간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365 2","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1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valuation of Lateral Driving Safety for Manual Vehicles Following Autonomous Vehicles at Urban Roundabouts 城市环形交叉口手动车辆跟随自动驾驶车辆横向行驶安全性评价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7470/jkst.2023.41.5.593
Hojae KIM, Sangjae LEE, Young JO, Juneyoung PARK, Cheol OH
{"title":"Evaluation of Lateral Driving Safety for Manual Vehicles Following Autonomous Vehicles at Urban Roundabouts","authors":"Hojae KIM, Sangjae LEE, Young JO, Juneyoung PARK, Cheol OH","doi":"10.7470/jkst.2023.41.5.593","DOIUrl":"https://doi.org/10.7470/jkst.2023.41.5.593","url":null,"abstract":"자율차(Autonomous Vehicle, AV) 및 비자율주행차량(Manually-Driven Vehicle, MV)이 혼재된 혼합교통류에서 자율차의 거동 특성은 비자율차의 주행행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행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회전교차로를 대상으로 자율차를 추종하는 비자율차의 횡방향 안전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전성 취약구간을 추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주행 시뮬레이션인 SCANeRTM을 활용하여 실도로 기반 가상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자율차의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율차 거동을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험 수행 시 비자율차 운전자는 선행 자율차를 추종하도록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횡방향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횡방향 가속도, 조향각속도, Lane position을 선정하였으며,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 단위 구간 평가를 통해 평가지표별 안전성 취약구간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평가지표에서 공통적으로 안전성이 취약한 구간을 종합하여 공통 안전성 취약구간을 식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론은 수원시 팔달구에 위치한 팔달문 로터리에 적용하였다. 횡방향 가속도 및 Lane position 분석 결과 안전성 취약구간은 팔달문 로터리의 진출부 직전 구간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진출부를 포함한 구간에서의 조향각속도 표준편차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진출부로부터 상류부 11m에서 24m구간이 공통 안전성 취약구간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율 및 비자율 차량추종 환경에서 회전교차로의 안전성 취약 구간을 식별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도출된 안전성 취약 구간에 대한 개선안 적용 시 교통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290 13","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796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alysis of Driving Behavior and Capacity Estimation Using Actual Traffic Data of Autonomous Vehicl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基于信号交叉口实际交通数据的自动驾驶汽车驾驶行为分析与容量估计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Pub Date : 2023-10-31 DOI: 10.7470/jkst.2023.41.5.624
Seongkil CHOI, Chihyun SHIN
{"title":"Analysis of Driving Behavior and Capacity Estimation Using Actual Traffic Data of Autonomous Vehicl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authors":"Seongkil CHOI, Chihyun SHIN","doi":"10.7470/jkst.2023.41.5.624","DOIUrl":"https://doi.org/10.7470/jkst.2023.41.5.624","url":null,"abstract":"운전자가 필요 없는 자율주행자동차(Autonomous Vehicles, AV)의 도입으로 인해 도로의 용량은 변화할 것으로 분석된다. AV는 사전에 정의된 알고리즘에 따라 체계적인 행동으로 인해 도로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혼재된 초기에는 비자율주행자동차(Human Driving Vehicles, HDV)와의 주행행태 차이로 인하여 교통 혼잡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도로 용량, 지체, 통행시간 등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적용된 AV의 주행행태는 이상적인 값을 이용한 연구들이 대부분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V의 상용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 AV의 혼입에 따른 신호교차로의 용량을 산정하기 위해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에서 운행되고 있는 AV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영상기록장치, 드론, probe car, 동승 조사를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와 자율주행 기록장치 데이터를 통해 주행행태 값을 도출하고 AV와 HDV의 주행행태를 비교 ·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V는 정지선에서 신호에 반응하여 출발하는 인지반응시간을 제외한 주행행태 값은 HDV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 인해 신호교차로에서 AV의 구성 비율이 0%에서 80%로 증가하였을 때 포화교통류율은 23.02% 감소하고 용량은 28.31%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운행 중인 AV가 안전성을 최우선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행태를 보수적으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AV의 주행행태가 개선되고 보급률이 증가한다면, 신호교차로의 용량은 크게 증대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AV 보급률의 규모 있는 증가는 상당한 시간의 경과를 수반하고, 그 시간의 경과는 AV 차량의 성능과 운행 파라미터의 값의 개선 및 향상을 의미하기 때문이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79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