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职业高中领导学校创新能力与职业教育体系创新的感知与需求分析研究","authors":"Chan Lee, Nakhyun Song, Hyun Jeong Choi","doi":"10.35140/kiiedu.2023.48.3.64","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직업계고 리더의 학교 혁신역량과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정책보고서를 바탕으로 직업계고 체제혁신을 위한 학교의 혁신역량과 혁신전략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직업계고 CEO 연수과정에 참여한 직업계고 리더를 대상으로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관련 설문 조사를 통해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 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하였다.BR 연구 결과는 첫째, 직업계고의 혁신역량으로 개방성 중 성과추구 역량과 현장성 중 요구반영 역량, 역동성 중 변화관리와 지속성이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전략으로 역량 있는 교원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제고하는 연수전략과 직업계고 인식개선을 위한 전략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과제로 담당 교과 전문성 역량 신장,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및 컨설팅 등 교원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BR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등 직업교육의 체제혁신은 일부 부분적 혁신보다 교육수요자의 요구반영과 학교 역량의 진단 등을 통해 학교 전반의 혁신을 통한 성과를 달성해야 한다. 또한, 직업계고 구성원 전체의 협력으로 학교 체제를 혁신할 수 있는바, 직업계고 리더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구성원 스스로 리더로서 인식하고 성과 달성의 주축이 되어야 한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4 3","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Leaders\\\" School Innovation Competency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novation\",\"authors\":\"Chan Lee, Nakhyun Song, Hyun Jeong Choi\",\"doi\":\"10.35140/kiiedu.2023.48.3.64\",\"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직업계고 리더의 학교 혁신역량과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정책보고서를 바탕으로 직업계고 체제혁신을 위한 학교의 혁신역량과 혁신전략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직업계고 CEO 연수과정에 참여한 직업계고 리더를 대상으로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관련 설문 조사를 통해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 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하였다.BR 연구 결과는 첫째, 직업계고의 혁신역량으로 개방성 중 성과추구 역량과 현장성 중 요구반영 역량, 역동성 중 변화관리와 지속성이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전략으로 역량 있는 교원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제고하는 연수전략과 직업계고 인식개선을 위한 전략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과제로 담당 교과 전문성 역량 신장,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및 컨설팅 등 교원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BR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등 직업교육의 체제혁신은 일부 부분적 혁신보다 교육수요자의 요구반영과 학교 역량의 진단 등을 통해 학교 전반의 혁신을 통한 성과를 달성해야 한다. 또한, 직업계고 구성원 전체의 협력으로 학교 체제를 혁신할 수 있는바, 직업계고 리더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구성원 스스로 리더로서 인식하고 성과 달성의 주축이 되어야 한다.\",\"PeriodicalId\":34983,\"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volume\":\"4 3\",\"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140/kiiedu.2023.48.3.6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Dermat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140/kiiedu.2023.48.3.6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项研究的目的是调查职业高中领导对学校革新力量和职业教育体制革新的认识及要求,分析其结果,得出启示。为此,以先行研究和政策报告书为基础,导出了职业高中体制革新的学校革新力量和革新战略及课题。以参加职业高中CEO研修课程的职业高中领导为对象,通过对职业教育体制革新的认识及要求相关的问卷调查,进行了技术统计及对应标本t验证、Borich要求分析、The Locus for Focus模型分析。BR研究结果显示,第一,作为职业高中的革新力量,应该改善开放性中追求成果的力量和现场性中反映要求的力量,活力中变化管理和持续性。第二,通过职业高中体制革新战略,确保有能力的教师,提高专业性的研修战略和改善职业高中认识的战略是当务之急。第三,作为职业高中体制革新课题,提高负责科目的专业性力量、改善教授学习方法及咨询等加强教师力量被选为最紧急、最重要的因素。对BR研究结果的建议如下。中等职业教育的体制创新,比起部分创新,更应该通过反映教育需求者的要求和学校力量的诊断等来实现学校整体创新的成果。另外,职业高中全体成员的合作可以革新学校体制,以职业高中领导的领导能力为基础,成员自己认识为领导,成为达成成果的主轴。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Leaders" School Innovation Competency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novation
이 연구는 직업계고 리더의 학교 혁신역량과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정책보고서를 바탕으로 직업계고 체제혁신을 위한 학교의 혁신역량과 혁신전략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직업계고 CEO 연수과정에 참여한 직업계고 리더를 대상으로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관련 설문 조사를 통해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 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하였다.BR 연구 결과는 첫째, 직업계고의 혁신역량으로 개방성 중 성과추구 역량과 현장성 중 요구반영 역량, 역동성 중 변화관리와 지속성이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전략으로 역량 있는 교원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제고하는 연수전략과 직업계고 인식개선을 위한 전략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과제로 담당 교과 전문성 역량 신장,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및 컨설팅 등 교원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BR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등 직업교육의 체제혁신은 일부 부분적 혁신보다 교육수요자의 요구반영과 학교 역량의 진단 등을 통해 학교 전반의 혁신을 통한 성과를 달성해야 한다. 또한, 직업계고 구성원 전체의 협력으로 학교 체제를 혁신할 수 있는바, 직업계고 리더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구성원 스스로 리더로서 인식하고 성과 달성의 주축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