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Awareness on the Establishing and Operation of the Makerspaces in School Libraries 浅谈学校图书馆创客空间的创建与运营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8-01 DOI: 10.4275/KSLIS.2018.52.3.171
강봉숙, 정영미
{"title":"Awareness on the Establishing and Operation of the Makerspaces in School Libraries","authors":"강봉숙, 정영미","doi":"10.4275/KSLIS.2018.52.3.171","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3.171","url":null,"abstract":"메이커 운동의 확산과 함께 21세기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표준과 메이커 역량이 상당부분 일치하면서 학교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조성과 메이커 교육에 대한 사회적 시대적 요구가 있다.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에 앞서,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담당 인력의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검토에 기반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웹 질문지를 통해 학교도서관 담당 인력 171명의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PSS window 19.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고 자유 기술 문항에 대해서는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설치 여부 및 인지도,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에 대한 필요성, 이유, 어려움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설치 여부는 2.3%로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도서관 담당 인력들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지도는 보통 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대체로 메이커스페이스 설치 장소로 학교도서관이 적합한 장소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측면에서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소수 개진되었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23734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탐색 :에코 세대를 중심으로 通过公共图书馆文化项目探索对公共图书馆的认识:以生态一代为中心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8-01 DOI: 10.4275/KSLIS.2018.52.3.335
이경아, 김기영
{"title":"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탐색 :에코 세대를 중심으로","authors":"이경아, 김기영","doi":"10.4275/KSLIS.2018.52.3.335","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3.33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에코 세대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 및 인식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에코 세대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및 그 분석을 통해 문화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그 기저에서 드러나는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프로그램 비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이 타 기관의 프로그램과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가능성 높은 원인으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의 결여가 지목되었다. 따라서 문화프로그램의 도서관 정체성 강화를 위한 향후 연구,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협력, 지역 내 문화 관련 기관과의 협의 및 정책관점에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93914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사서교사와 타 비교과 교사의 배치 비교를 통한 사서교사 배치 개선방안 연구 通过对图书管理员教师与其他非教学教师的分配进行比较的图书管理员教师分配改善方案研究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5-01 DOI: 10.4275/KSLIS.2018.52.2.027
강봉숙
{"title":"사서교사와 타 비교과 교사의 배치 비교를 통한 사서교사 배치 개선방안 연구","authors":"강봉숙","doi":"10.4275/KSLIS.2018.52.2.027","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2.027","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 자격 제도가 가진 한계와 개선방안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와 다른 비교과 교사의 배치기준과 현황을 비교하는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서교사 배치 관련 문제점의 핵심은 사서교사 배치를 위한 정원 산정 기준에 사서교사 · 실기교사나 사서 모두를 포함한 인원을 기준으로 학생 1,500명당 1명의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을 배치한다는 데에 있다. 이로 인해 교원 정원을 산정하는 기준인 국가공무원 정원 배정 기준에 공립학교 사서교사 1인당 학생 수가 5,616명으로 배정되어 있다. 타 비교과 교사의 정원은 사서교사에 비해 많게는 9배 가까이 높게 배정되고 배치율도 사서교사와는 극명히 대비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첫째, 사서교사와 사서의 정원 분리와 역할 명확화가 필요하다. 둘째, 현재 교당 학생 수가 500명 내외인 점, 타 비교과 교사 배치기준이 학교 규모와 학교 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예측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사서교사 자격 양산이 보다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양성기관에 대해 융통성을 인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립학교에도 사서교사 배치가 될 수 있도록 사서교사 정원을 증치해야 한다. 사서교사배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고찰한 본 연구를 통해 안정적인 사서교사 배치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1278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공공도서관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 인식 비교 연구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图书馆员与使用者对公共图书馆认识的比较研究:以首尔市教育厅所属的公共图书馆为对象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5-01 DOI: 10.4275/KSLIS.2018.52.2.221
표순희, 차미경
{"title":"공공도서관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 인식 비교 연구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authors":"표순희, 차미경","doi":"10.4275/KSLIS.2018.52.2.221","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2.221","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와 이용자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발전방안 수립 및 서비스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 각각 270명, 820명을 대상으로 현재 도서관의 환경, 미래 도서관의 역할 및 위상, 도서관 정책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사서들은 오랜 역사와 축적된 자원을 가장 큰 강점으로 인식하는 반면, 이용자들은 인적자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미래의 위상에 대해서는 사서와 이용자 모두 독서와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두 집단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공통된 기대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래 도서관의 정책 방안으로 사서는 노후시설의 개선과 사서의 재교육을 제시한 반면, 이용자는 장서 확충과 열람실 이용 확대를 원하는 등 두 집단사이의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인식 차이를 고려한 공공도서관 정책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86705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도서관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 关于第四次产业革命时代构建未来图书馆战略的研究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3-01 DOI: 10.4275/KSLIS.2018.52.2.073
한희정, 박태연, 서진원, 양동민
{"title":"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도서관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authors":"한희정, 박태연, 서진원, 양동민","doi":"10.4275/KSLIS.2018.52.2.073","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2.07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이 인류 지식의 보고이자 중심축으로서 역할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고, 미래지속가능한 발전을 해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4차 산업혁명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 및 추진사례, 국내외 도서관계 동향 및 정보서비스 사례 등을 토대로 PEST 분석을 시도하였다. PEST 분석을 토대로 도서관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요인들의 현황과 변화추세를 파악하여 미래 도서관의 방향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새롭게 정립한 후 미래도서관 구축 전략을 제안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시대 선도적 대응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17941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ducational Effect of American School Libraries: An Analytical Literature Review 美国学校图书馆的教育效果:分析性文献综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2-01 DOI: 10.4275/KSLIS.2018.52.1.133
Juhyeon Park
{"title":"Educational Effect of American School Libraries: An Analytical Literature Review","authors":"Juhyeon Park","doi":"10.4275/KSLIS.2018.52.1.133","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1.133","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를 연구한 문헌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국내 학교도서관의 효과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분석 문헌으로 37개를 선정하였고, 선정한 문헌들을 연구 내용과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문헌들이 다루고 있는 학교도서관 변인을 추출하고 종합하였다. 분석결과, 미국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 연구들은 다양한 대상들을 다양한 변인으로 분석하였고, 이중에서도 사서교사를 가장 중요한 학교도서관 변인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들은 사서교사의 직무를 정보활용교육과 독서교육 및 협력교육으로 나타냈다. 국내에서도 장애학생, 다문화 가정, 경제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학교도서관의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도서관 기준을 학생들의 성취도를 측정하는 학교도서관 효과 연구와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8060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Future of Librar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第四次工业革命时代图书馆员对图书馆未来的认知研究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2-01 DOI: 10.4275/KSLIS.2018.52.1.203
박태연, 강주연, 김용, 김태경, 오효정
{"title":"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Future of Librar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authors":"박태연, 강주연, 김용, 김태경, 오효정","doi":"10.4275/KSLIS.2018.52.1.203","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1.203","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에 대한 현장 사서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현황과 미래상을 알아보고 미래 변화에 대한 바람직한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의 변화를 맞이한 타 분야의 선행 연구들과 도서관 분야의 쟁점들을 살펴보았으며, 국가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포함한 다양한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높은 관심과 상당 수준의 인지 정도를 보이는 반면, 도서관 현장의 신기술 도입 수준을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도서관 업무에 있어 사서들은 데스크톱 PC와 모바일폰, RFID와 QR코드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사서들은 지능정보화 서비스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으나, 소속 도서관에서는 지능정보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사서들은 4차 산업혁명이 도서관의 미래 변화에 긍정적인 미래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들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며, 특히 기술 관련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또한 온라인 서비스의 영역과 단순반복 업무에 기술의 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6626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 변화와 사서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对第四次产业革命时代图书馆变化与图书馆教育方向的考察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2-01 DOI: 10.4275/KSLIS.2018.52.1.285
박옥남
{"title":"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 변화와 사서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authors":"박옥남","doi":"10.4275/KSLIS.2018.52.1.285","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1.285","url":null,"abstract":"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시대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도서관은 기술혁신의 도서관 적용을 고민하고 기술·인간·도서관이 결합하고 대응해야 할 방안이 필요하며 그 고민의 출발은 교육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사서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의 본질, 도서관의 변화, 4차 산업혁명의 교육적 함의, 사서교육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사서교사 교육의 방향성을 사서의 인재상, 교육내용, 교육방법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4604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공간으로서의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作为数码素养教育空间的大学图书馆制造者空间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2-01 DOI: 10.4275/KSLIS.2018.52.1.425
장윤금
{"title":"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공간으로서의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authors":"장윤금","doi":"10.4275/KSLIS.2018.52.1.425","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1.425","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의 초기 단계인 현 시점에서 메이커스페이스가 대학도서관의 지속가능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공간 및 서비스로 발전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와 관련된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재정지원, 교육 효과 및 디지털리터러시와 평생학습 등의 도서관 목적과의 연계성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필요성, 효과성, 활용성에 대한 사서의 인식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가 단순한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 등의 새로운 기기를 제공하는 창조 및 협업공간을 넘어 메이커스페이스의 구축이 대학도서관의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목표에 어떻게 부합되는지의 이슈와 더 나아가서 대학의 근원적 사명인 ‘창의적인 인재 양성’이란 교육적 사명과 연계할 수 있는 운영방안이 제시되었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36373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연구 …美国公共图书馆对成人数字素养教育的研究。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 Date : 2018-02-01 DOI: 10.4275/KSLIS.2018.52.1.359
정영미
{"title":"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연구","authors":"정영미","doi":"10.4275/KSLIS.2018.52.1.359","DOIUrl":"https://doi.org/10.4275/KSLIS.2018.52.1.359","url":null,"abstract":"디지털 리터러시는 ICT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디지털 사회에서 일의 능률을 높이고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 된다. 세계의 선진 국가들은 국민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수행해왔다. 본 논문은 이들 중 노인을 포함한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조사․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우수사례 도서관을 중심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유형, 교육 방식 및 내용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담당사서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다수의 교육 프로그램이 기본적인 컴퓨터나 인터넷 기술에 관한 것이었고 Micro Office, 이메일, 소셜미디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비중도 높게 나타났다. 가장 빈번하고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방식은 비공식적인 현장교육이었고 그것의 교육 내용과 수준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추가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공공도서관 담당사서들은 사서의 디지털 역량과 이를 위한 재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운영에 적합한 도서관 시설과 최신 장비 도입, 시기적절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의 중요성도 함께 제기하였다.","PeriodicalId":17959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00672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