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수정기사: 요추 수술 실패 증후군에 대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authors":"심 대무, 김 태균, 오 성균, 송 승엽, 장 봉준, 김 유미","doi":"10.4055/JKOA.2019.54.1.90","DOIUrl":"https://doi.org/10.4055/JKOA.2019.54.1.90","url":null,"abstract":"","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54928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제2형 당뇨 및 골관절염을 동반한 환자에서 발생한 Klebsiella pneumoniae균에 의한 화농성 관절염","authors":"하 중원, 이 상현, 박 상훈, 김 태엽","doi":"10.4055/JKOA.2019.54.1.67","DOIUrl":"https://doi.org/10.4055/JKOA.2019.54.1.67","url":null,"abstract":"","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6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70260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alvage with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after the Failure of Proximal Humeral Tumor Treatment","authors":"D. Jeon, W. Cho, Bum Suk Kim, H. Park","doi":"10.4055/JKOA.2018.53.6.505","DOIUrl":"https://doi.org/10.4055/JKOA.2018.53.6.505","url":null,"abstract":"“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3 Number 6 2018 Received May 27, 2017 Revised October 3, 2017 Accepted January 3, 2018 Correspondence to: Dae-Geun Jeo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75 Nowon-ro, Nowon-gu, Seoul 01812, Korea TEL: +82-2-970-1242 FAX: +82-2-970-2403 E-mail: dgjeon@kcch.re.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3442-005X 근위 상완골 종양 치료 실패 후 역 견관절 전치환물을 이용한 구제술","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87651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tener-Like Lesions in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e Fingers","authors":"Sanglim Lee, E. Jung, Jihae Lee, S. Jeon","doi":"10.4055/JKOA.2018.53.6.547","DOIUrl":"https://doi.org/10.4055/JKOA.2018.53.6.547","url":null,"abstract":"무지의 중수수지 관절의 측부 인대 파열은 흔한 손상이지만 무지 를 제외한 기타 수지의 중수수지 관절은 인접 수지와 중수간 인 대(intermetacarpal ligament), 수장 판(volar plate) 등으로 만들어진 해부학적 구조물에 의해 안정되어 있고 인접 수지에 의해 보호되 고 있어 측부 인대 파열은 흔하지 않으며, 발생하는 경우에는 측 면의 수지인 제5 수지의 요측 측부 인대(radial collateral ligament) 에서 가장 호발한다. 무지의 중수수지 관절에서 파열된 척측 측 부 인대(ulnar collateral ligament) 사이에 무지 내전근막(adductor aponeurosis)이 끼는 Stener 병변과 유사하게 무지의 요측 측부 인 대가 파열되고 근위로 전위되어 외전근막(abductor aponeurosis) 의 표면에 존재하거나 다른 수지의 중수수지 관절이나 근위 지 간 관절에서도 유사한 병변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저자들은 다른 수지의 중수수지 관절에서 발견된 Stener 유사 병변 3예와 이와 유사한 임상 소견을 나타냈던 제1 배측 골간근(dorsal interosseous muscle) 원위 부착부 파열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04151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Byoung-Kook Kim, Yong-Gun Kim, H. Lee, D. Choi, Jinmyoung Dan
{"title":"Multiple Sequential Physeal Injuries with Vitamin D Deficiency","authors":"Byoung-Kook Kim, Yong-Gun Kim, H. Lee, D. Choi, Jinmyoung Dan","doi":"10.4055/JKOA.2018.53.6.552","DOIUrl":"https://doi.org/10.4055/JKOA.2018.53.6.552","url":null,"abstract":"소아, 청소년기의 성장판 주위 골절은 일반적으로 낙상과 사소한 외상으로 발생하며, 신체 활동 부족 같은 환경적 요소와 골대사 에 필요한 영양 부족에 의한 불량한 뼈 건강과도 연관되어 있다. 골대사에 필요한 비타민 D는 위장관에서 칼슘 흡수를 조절하는 호르몬의 전구 물질로, 칼슘 항상성, 골의 재형성 및 발달에 필수 적이다. 비타민 D 겹핍에 의한 구루병은 지난 세기, 영양 실조로 고통받는 어린이들에게 휜 다리와 변형 등의 다양한 임상증상을 가진 질병이었으나 최근에는 낙후된 국가와 지역을 제외한 대다 수의 국가에서는 소아, 청소년에 대한 영양의 적절한 공급이 이 루어져 구루병의 발병률이 크게 감소되어 많은 정형외과 의사들 은 소아의 반복되는 다발성 골절과 골절의 회복에 중요한 인자로 비타민 D 결핍증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 여 러 역학조사에서 저비타민증 D (hypovitaminosis D)에 대한 유병 률이 증가하고, 여러 신체 기관에 비타민 D의 다양한 역할이 규 명되어 임상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형외과 영역에서도 구루 병의 전형적인 증상보다 골절 위험 및 치유에 대한 비타민 D 결 핍의 영향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46339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authors":"Hwa-Jae Jeong, Y. Park, Han-Jun Lee","doi":"10.4055/JKOA.2018.53.6.478","DOIUrl":"https://doi.org/10.4055/JKOA.2018.53.6.478","url":null,"abstract":"슬관절 전치환술은 관절염 환자에서 통증의 감소와 기능 회복에 유용한 치료법이다. 하지만 부적절한 치환물의 위치 및 하지의 부정 정렬은 통증을 유발하고 기능을 감소시키며 편측 부하를 유 발하고 치환물의 해리 및 불안정성을 초래하여 재치환술의 빈도 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5년 이내의 조기 실패의 흔한 원인은 수술 술기의 부족으로 인한 하지의 부 정 정렬 및 부적절한 치환물의 위치이다. 따라서 슬관절 전치환 술 후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역학적 축의 회복 및 정확한 치환물의 위치 및 정렬이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역학적 축의 범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내반 3° 에서 외반 3°까지의 허용 범위를 가진 경우 좋은 결과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고식적인 방법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은 내반 3°에서 외반 3° 이상의 불량(outlier)을 가지는 빈도가 20%-30%로 매우 높다는 연구 보고들도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수술방법(computer-assisted orthopedic surgery, CAOS)은 슬관절 전치환술 시 하지의 부정 정렬 및 부정확 한 치환물의 삽입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시 오차 범위를 1° 미 만으로 유지할 수 있어 수술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 고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슬관절 전치환술 시 내비게이션 장치 의 이용은 재현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며, 골수강 내 지침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출혈량 및 색전증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 478","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88819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Ho Hyun Yun, Jiyeon Cheong, Hyun Bo Sim, Jae Hong Park
{"title":"세라믹 대퇴 골두 및 교차결합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이용한 65세 이상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5년 중기 추시 결과","authors":"Ho Hyun Yun, Jiyeon Cheong, Hyun Bo Sim, Jae Hong Park","doi":"10.4055/JKOA.2018.53.6.490","DOIUrl":"https://doi.org/10.4055/JKOA.2018.53.6.490","url":null,"abstract":"“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3 Number 6 2018 Received November 4, 2017 Revised December 3, 2017 Accepted December 7, 2017 Correspondence to: Ho Hyun Yu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VHS Medical Center, 53 Jinhwangdo-ro 61-gil, Gangdong-gu, Seoul 05368, Korea TEL: +82-2-2226-1114 FAX: +82-2-2226-1910 E-mail: 3188yun@naver.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3-3626-9047 세라믹 대퇴 골두 및 교차결합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이용한 65세 이상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5년 중기 추시 결과","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9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41698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Intraoperative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Repair of a Ruptured Achilles Tendon: A Comparative Study with Open Repair","authors":"D. Kang, Chan Kang, D. Hwang, J. Song, B. Choi","doi":"10.4055/JKOA.2018.53.6.522","DOIUrl":"https://doi.org/10.4055/JKOA.2018.53.6.522","url":null,"abstract":"","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35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44415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K. J. Bae, Jihyeung Kim, Chan Yoon, S. Hong, H. Gong, G. Baek
{"title":"Multimodal Diagnostic Approach for Synovitis of the Wrist","authors":"K. J. Bae, Jihyeung Kim, Chan Yoon, S. Hong, H. Gong, G. Baek","doi":"10.4055/JKOA.2018.53.6.540","DOIUrl":"https://doi.org/10.4055/JKOA.2018.53.6.540","url":null,"abstract":"수근관절 활액막염은 활액막의 증식 및 염증 세포의 침윤으로 인 해 수근관절의 동통, 관절 운동 제한, 부종 및 국소 열감 등의 증상 을 초래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대표적인 원인 질환으로는 류마티 스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이 있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기 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수근관절의 만성 단관절 관절염(monoarticular arthritis)에서도 수근관절 활액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류마 티스 관절염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1987년도에 개정된 미 국류마티스학회의 류마티스 관절염의 분류 기준은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있어, 미국류마티스학회와 유럽류마티스학회에서는 2010년 9월에 류마티스 관절염 분류 기준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수근관절은 상지 관절 중 가장 흔하게 침범 되는 관절로 약 75%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수근관절 증상 이 나타난다고 한다. 수근관절은 류마티스 관절염 초기 단계에 관절염이 발생하게 되며, 관절염이 한 번 발생하게 되면 급격하게 진행하기 때문에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 조기 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백혈구 스캔 검사 및 골 스캔 검사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활액막 및 관절의 염증 유무 및 염증의 활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로 류마티스 관절염의 조기 진단 에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다.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 540","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4674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