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Dance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A Comparative Study on the Uniformity of LED Lighting on Achromatic Costume Color during Ballet Movement 芭蕾运动中服装消色差色彩LED照明均匀性的比较研究
Korean Journal of Dance Pub Date : 2018-08-01 DOI: 10.26743/KAOD.2018.18.2.001
So-jung Chang, KimGeungSoo
{"title":"A Comparative Study on the Uniformity of LED Lighting on Achromatic Costume Color during Ballet Movement","authors":"So-jung Chang, KimGeungSoo","doi":"10.26743/KAOD.2018.18.2.001","DOIUrl":"https://doi.org/10.26743/KAOD.2018.18.2.001","url":null,"abstract":"","PeriodicalId":232848,"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ance","volume":"102 6","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8697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대학 무용교육전문인 양성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 以国家能力标准(NCS)为基础的大学舞蹈教育专业人才培训课程评估标准开发研究
Korean Journal of Dance Pub Date : 2016-04-01 DOI: 10.26743/KAOD.2019.19.2.005
김보미, 박원비, 김상우
{"title":"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대학 무용교육전문인 양성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authors":"김보미, 박원비, 김상우","doi":"10.26743/KAOD.2019.19.2.005","DOIUrl":"https://doi.org/10.26743/KAOD.2019.19.2.00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국가사회적 흐름과 변화에 부응하는 우리나라 대학 무용계열학과의 무용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교육과정 기준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 동안 대학의 무용분야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채 전통적인 무용실기분야를 중심으로 대학의 무용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NCS기반 대학무용 교육전문인 양성교육과정 기준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용 분야 및 교육과정 분야에 관한 전문 지식과 능력을 갖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둘째, 명목집단법(nominal group technique)을 통해 무용교육 전문인 양성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파악하였다. 첫 번째 연구결과, 무용교육전문인 양성 교육과정 기준을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교육과정 목표는 사회현장에서 요구되는 무용교육전문인의 모습으로 목표를 재설정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은 산업현장의 직무유형에 따라 공통 필수 과목과 전공 선택 과목을 맞춤형으로 안내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은 무용교육 전공학생들의 능력과 요구에 따라 실무역량이 갖추어질 수 있는 모의시연이나 시뮬레이션 수업, 현장수업, 참여형 수업 등으로 제안하고 있다. 교육과정 평가는 직무유형에 따라 실무역량을 잘 갖추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참평가(또는 수행평가)로 제시하였다. 두 번째 연구결과, 직무역량을 갖춘 무용교육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해 세부 전공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즉, 무용교육과정의 총괄 성격과 총괄 목표를 제시하고, 과목별 교육과정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와 더불어 구성항목의 수행준거(performance criteria)인 지식(knowledge), 기술(skill), 태도(attitude)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무용교육 전공학생들의 실무역량을 길러 산업현장에 진출한 후 각자의 역량을 전문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사회수요형 무용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232848,"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ance","volume":"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69146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케이팝(K-Pop) 걸그룹 댄스의 단일·복합 동작 분석 韩国流行音乐女子组合舞蹈的单一、复合动作分析
Korean Journal of Dance Pub Date : 2013-06-01 DOI: 10.26743/kaod.2019.19.3.005
심두보
{"title":"케이팝(K-Pop) 걸그룹 댄스의 단일·복합 동작 분석","authors":"심두보","doi":"10.26743/kaod.2019.19.3.005","DOIUrl":"https://doi.org/10.26743/kaod.2019.19.3.00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최근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케이팝의 생산과 수용의 문제를 미디어 문화연구의 시각에서 논의한다. 미디어연구는 과거에 생산연구 중심, 혹은 수용연구 중심으로 분절적으로 나뉘어 있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전체론적인 시각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생산, 소비, 규제, 재현, 정체성 등 미디어와 대중문화의 의미를 구성하는 제요소를 전체론적으로 탐구하는 “문화의 회로”(circuit of culture) 모델을 차용한다. 이를 통해 한류 현상이 국내 아이돌 시스템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으며, 아이돌 활동의 다변화와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변화·발전이 팬덤의 수용 양식을 어떻게 바꾸었는지를 검토한다. 이에 더해, 미국의 “강남스타일” 현상 보도의 문제점과 동남아시아의 한류 담론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근대성 개념이 한국, 미국, 동남아시아에서 한류와 각기 어떤 방식으로 접합하고 의미를 구성하는지를 탐구한다.","PeriodicalId":232848,"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ance","volume":"7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3-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28171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