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대학 무용교육전문인 양성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authors":"김보미, 박원비, 김상우","doi":"10.26743/KAOD.2019.19.2.00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국가사회적 흐름과 변화에 부응하는 우리나라 대학 무용계열학과의 무용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교육과정 기준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 동안 대학의 무용분야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채 전통적인 무용실기분야를 중심으로 대학의 무용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NCS기반 대학무용 교육전문인 양성교육과정 기준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용 분야 및 교육과정 분야에 관한 전문 지식과 능력을 갖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둘째, 명목집단법(nominal group technique)을 통해 무용교육 전문인 양성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파악하였다. 첫 번째 연구결과, 무용교육전문인 양성 교육과정 기준을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교육과정 목표는 사회현장에서 요구되는 무용교육전문인의 모습으로 목표를 재설정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은 산업현장의 직무유형에 따라 공통 필수 과목과 전공 선택 과목을 맞춤형으로 안내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은 무용교육 전공학생들의 능력과 요구에 따라 실무역량이 갖추어질 수 있는 모의시연이나 시뮬레이션 수업, 현장수업, 참여형 수업 등으로 제안하고 있다. 교육과정 평가는 직무유형에 따라 실무역량을 잘 갖추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참평가(또는 수행평가)로 제시하였다. 두 번째 연구결과, 직무역량을 갖춘 무용교육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해 세부 전공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즉, 무용교육과정의 총괄 성격과 총괄 목표를 제시하고, 과목별 교육과정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와 더불어 구성항목의 수행준거(performance criteria)인 지식(knowledge), 기술(skill), 태도(attitude)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무용교육 전공학생들의 실무역량을 길러 산업현장에 진출한 후 각자의 역량을 전문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사회수요형 무용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232848,"journal":{"name":"Korean Journal of Dance","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Danc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743/KAOD.2019.19.2.0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사회적 흐름과 변화에 부응하는 우리나라 대학 무용계열학과의 무용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교육과정 기준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 동안 대학의 무용분야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채 전통적인 무용실기분야를 중심으로 대학의 무용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NCS기반 대학무용 교육전문인 양성교육과정 기준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용 분야 및 교육과정 분야에 관한 전문 지식과 능력을 갖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둘째, 명목집단법(nominal group technique)을 통해 무용교육 전문인 양성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파악하였다. 첫 번째 연구결과, 무용교육전문인 양성 교육과정 기준을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교육과정 목표는 사회현장에서 요구되는 무용교육전문인의 모습으로 목표를 재설정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은 산업현장의 직무유형에 따라 공통 필수 과목과 전공 선택 과목을 맞춤형으로 안내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은 무용교육 전공학생들의 능력과 요구에 따라 실무역량이 갖추어질 수 있는 모의시연이나 시뮬레이션 수업, 현장수업, 참여형 수업 등으로 제안하고 있다. 교육과정 평가는 직무유형에 따라 실무역량을 잘 갖추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참평가(또는 수행평가)로 제시하였다. 두 번째 연구결과, 직무역량을 갖춘 무용교육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해 세부 전공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즉, 무용교육과정의 총괄 성격과 총괄 목표를 제시하고, 과목별 교육과정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와 더불어 구성항목의 수행준거(performance criteria)인 지식(knowledge), 기술(skill), 태도(attitude)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무용교육 전공학생들의 실무역량을 길러 산업현장에 진출한 후 각자의 역량을 전문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사회수요형 무용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本研究的目的是开发适应国家社会潮流和变化的我国大学舞蹈系列学科的舞蹈教育课程所必需的教育课程标准。一直以来,大学的舞蹈领域未能反映产业现场的要求,以传统的舞蹈技能领域为中心组成了大学的舞蹈教育课程。为了改善这一情况,本研究使用了两种研究方法。一是为探索以NCS为基础的大学舞蹈教育专业人才培训课程标准,组成具有舞蹈领域及教育课程领域专业知识和能力的专家群体,进行焦点小组访谈。第二,通过名义集体法(nominal group technique)掌握培养舞蹈教育专业人才所需的教育课程。第一项研究结果,将舞蹈教育专业人才培养教育课程标准分为目标,内容,教学-学习方法,评价等领域进行探索。教育课程目标重新设定为社会现场所要求的舞蹈教育专家的形象。教育课程的内容是,根据产业现场的职务类型,对共同必修科目和专业选择科目进行针对性介绍。教育课程的教授-学习方法是,根据舞蹈教育专业学生的能力和要求,提议进行能够具备实务能力的模拟试演或模拟授课、现场授课、参与型授课等。教育课程评价根据职务类型,作为能够确认是否具备实务能力的真正评价(或修行评价)提出。第二项研究结果,为培养具有职务能力的舞蹈教育专业人才,提出了设置细节专业的建议。即,提出了舞蹈教育课程的总体性质和总体目标,并提出了各科目的教育课程目标、内容、教学-学习方法、评价以及构成项目的执行依据(performance criteria)——知识(knowledge)、技术(skill)、态度(attitude)。这样的结果可以培养大学舞蹈教育专业学生的实务能力,进入产业现场后,在设计专门发挥各自力量的社会需要型舞蹈教育课程上起到指导作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