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한국 셰익스피어 르네상스 Part II (2012~2018) 莎士比亚文艺复兴第二期(2012 - 2018)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11-01 DOI: 10.18396/ktsa.2019.1.72.004
Hyon-u Lee
{"title":"한국 셰익스피어 르네상스 Part II (2012~2018)","authors":"Hyon-u Lee","doi":"10.18396/ktsa.2019.1.72.004","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2.004","url":null,"abstract":"","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8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21730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포스트소비에트(Post-Soviet)와 다큐멘터리 극장의 등장 - 극장 Doc의 ‘증언의 연극’을 중심으로 后苏维埃(Post-Soviet)与纪录片剧场的登场——以剧场Doc的《证词的戏剧》为中心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18396/ktsa.2019.1.71.006
전정옥
{"title":"포스트소비에트(Post-Soviet)와 다큐멘터리 극장의 등장 - 극장 Doc의 ‘증언의 연극’을 중심으로","authors":"전정옥","doi":"10.18396/ktsa.2019.1.71.006","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1.006","url":null,"abstract":"소련연방 해체를 전후로 연극의 다양한 실험과 혁신의 과정에 몸담았던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미하일 우가로프(М. Угаров)가 젊은 동시대 극작가들과 함께 발기한 다큐멘터리희곡극장(극장 Doc)은 소비에트의 종막과 함께 연극에 도래한 위기의식을 스스로의 문제로 끌어안으며 반상업적이고 독립적인 공동창작프로젝트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이들은 모든 종교적이고 정치적인 시스템을 거부하며 탈연극적 연극을 선언하였으며, 다큐멘터리 연극의 한 양식으로서의 버바텀(Verbatim)을 창작 방법론으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혼란기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에서 벌어진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충격적인 실제의 사건들을 무대로 차출해 연극이 사회에 이바지하는 새로운 방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극장 Doc의 역사적 출범 상황을 확인하고, 그들이 다큐멘터리 연극의 가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고수해 나갔으며 이를 통해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의 다양성을 어떤 식으로 확보했는지 그 실험의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극장 Doc에 관한 연구는 그들이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에 새로운 연극적 대안으로 가지고 온 다큐멘터리 연극, 그것이 의도한 연극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다큐멘터리에 대한 계보적 맥락 위에 얹어 이들의 다큐멘터리가 어떠한 좌표 위에 올려질 수 있을지에 관한 연구는 차후의 문제인 셈이다. 다큐멘터리 연극, 그중에서도 버바텀 연극이 영국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확장되며 이론적 시스템을 마련해 나갈 때, 소비에트 패망이라는 정치 사회적 혼란기를 지나던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에 있어 다큐멘터리 연극은 창작의 시스템이라기보다는 혼란한 사회 현실에 가까이 가기 위한 수단이었다. 이에, 러시아의 다큐멘터리 연극은 오히려 형식의 문제에서 자유로웠다고 보는 것이 옳은데, “허구적인 것과 비허구적인 것을 구분하는 것은 형식이나 스타일이 아니라 오히려 의도나 맥락이다”라는 폴 워드의 다큐멘터리에 대한 폭넓은 시선은 우가로프와 극장 Doc의 다큐멘터리 연극에 대한 가장 명확한 설명일 것이다.","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8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71408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2019 세계연극학의 연구와 실천 동향 - 상하이 학술대회 주제 ‘연극, 퍼포먼스, 도시’를 중심으로 2019世界戏剧学研究与实践动向-以上海学术大会主题“话剧、表演、城市”为中心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18396/ktsa.2019.1.71.008
이혜경
{"title":"2019 세계연극학의 연구와 실천 동향 - 상하이 학술대회 주제 ‘연극, 퍼포먼스, 도시’를 중심으로","authors":"이혜경","doi":"10.18396/ktsa.2019.1.71.008","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1.008","url":null,"abstract":"","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8988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Role of Theater as a Communication Tool of Community - A Study on the Model of University Curriculum by Applying Drama Bicycle 戏剧作为社区交流工具的作用——运用戏剧自行车对大学课程模式的研究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18396/KTSA.2019.1.71.004
Y. Ra
{"title":"The Role of Theater as a Communication Tool of Community - A Study on the Model of University Curriculum by Applying Drama Bicycle","authors":"Y. Ra","doi":"10.18396/KTSA.2019.1.71.004","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1.004","url":null,"abstract":"","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1054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개혁개방 40년 중국 동시대 연극 지형변화 고찰 改革开放40年考察中国同时代话剧格局的变化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18396/ktsa.2019.1.71.009
장희재
{"title":"개혁개방 40년 중국 동시대 연극 지형변화 고찰","authors":"장희재","doi":"10.18396/ktsa.2019.1.71.009","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1.009","url":null,"abstract":"지난 개혁개방 40여 년 간, 중국 연극계는 정부 정책과 사회양식의 변화, 그리고 급진적 연극인들의 돌파와 시도의 상호작용 속에 변화해왔다. 본 글은 양국 연극교류가 더 다각화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현재 중국연극계의 다원화된 지형과 그 형성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80년대 국공립 단체는 유일한 연극 생태로서 문화대혁명이 남긴 폐쇄적이고 경직된 문화에 대항하여 혁신과 변화를 추구하였다. 90년대는 국공립단체와 연극시장으로 이원화되며 국가 정책의 견인, 그리고 국가역량과 민간 역량의 대결 구도 속에 독립제작자가 출현하며 연극시장이 형성된다. 21세기에는 다원화되어 국가와 민간극단, 독립연극으로 연극적 지향이 분화되며, 연극제가 활성화된다.","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8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9404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연기의 근본―몸의 자연성 演技之本-身体的自然性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18396/ktsa.2019.1.71.003
Park Jae Wan
{"title":"연기의 근본―몸의 자연성","authors":"Park Jae Wan","doi":"10.18396/ktsa.2019.1.71.003","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1.003","url":null,"abstract":"","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1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92061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이주 작가, 와즈디 무아와드의 분신적 인물 양상 연구 - 작품 , 을 중심으로 《移民作家瓦兹迪·穆阿瓦德的自焚形象研究》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18396/ktsa.2019.1.71.005
한명숙
{"title":"이주 작가, 와즈디 무아와드의 분신적 인물 양상 연구 - 작품 , 을 중심으로","authors":"한명숙","doi":"10.18396/ktsa.2019.1.71.005","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1.005","url":null,"abstract":"이 논문에서는 웹툰이 21세기 독자들에게 문학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다는 인식의 토대 위에서 웹툰의 문학적 기능을 밝히며 문학교육의 대비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문학의 기능을 고전적인 관점부터 사회적 관점까지 살펴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그에 따라 웹툰 작품이 보이는 문학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논의는 완결 웹툰 (글, 그림 보리)을 중심으로 그에 대한 독자 반응 및 그림과 서사를 분석하여 전개하였다. 아울러 우리 문학교육이 과거에 다루지 않던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2007’과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 ‘국어 자료의 예’ 등으로 제시한 양상을 살펴, 교육과정이나 교육의 장면에서 웹툰을 수용하여 학생들의 독서교육과 문학교육을 확장하고, 활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거론하였다.","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77844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report on Karumegi, a collaborative work between Korea and Japan 这是关于韩国和日本合作的作品《Karumegi》的报道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18396/KTSA.2019.1.71.007
Sung Kiwoong
{"title":"A report on Karumegi, a collaborative work between Korea and Japan","authors":"Sung Kiwoong","doi":"10.18396/KTSA.2019.1.71.007","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1.007","url":null,"abstract":"","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91939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연출가 이해랑의 사실주의 연극 인식에 관한 일고찰 导演李海朗对现实主义戏剧的认识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18396/ktsa.2019.1.71.002
남지수
{"title":"연출가 이해랑의 사실주의 연극 인식에 관한 일고찰","authors":"남지수","doi":"10.18396/ktsa.2019.1.71.002","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1.002","url":null,"abstract":"한국 근대극 일백 년의 역사는 사실주의(realism)와 고군분투했던 시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세기 초 일본을 통해 서구 사실주의를 유입했지만, 그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오랫동안 개념적 오해를 쌓아왔기 때문이다. 서양에서는 19세기 후반 인간의 유전적 측면과 환경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췄던 복제적 사실주의(facsimile realism)가 20세기로 접어들며 작품의 내적 리얼리티를 강조하는 심리적 사실주의(psychological realism)로 이어졌고, 1940년대 이후에는 등장인물의 주관적 환상과 꿈이 가미된 수정 사실주의(modified realism) 등으로 그 개념이 유연하게 진화해 가며 사실주의 담론을 확장시켜 갔던 반면, 1920년대부터 1950년대 초까지 대부분 일본을 통해 서양연극을 간접수용해 왔던 우리는 사실주의의 원리와 본질에 대해 깊이 이해하지 못했다. 게다가 우리 연극계는 1970년대부터 반사실주의적 연극실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이것은 사실주의 연극을 충분히 접해보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실험들이기도 했다.\u0000이로 인해 우리 연극사 내지 비평사에서는 사실주의와 관련하여 논쟁적인 담론을 형성한 기록들을 종종 찾아볼 수 있고, 이러한 논쟁의 중심에는 늘 이해랑의 사실주의 연극론에 관한 문제제기가 이루어졌다. 이해랑은 홍해성, 유치진으로 이어지는 신극 연출 계보를 잇는 해방 후 연출가이지만, 신파극 연출가로서 대중적 취향까지 수용했던 홍해성이나 한국 전통연희나 미국 뮤지컬까지도 관심을 확장했던 유치진과 비교해 보자면, 그는 정극(正劇) 개념으로서 사실주의의 정통성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한국 사실주의 연극의 기치를 세운 중심인물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 연극에서의 사실주의 개념의 유입과 전개과정 추적하고, 사실주의 연극을 정착시키는데 큰 획을 그었던 이해랑의 사실주의 연극이념을 고찰해 봄으로써 근대 사실주의 연극에서 이해랑의 위치를 비판적으로 점검해 보고자 한다.","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80309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아시아 영어 연극학의 현재: 2019 IFTR 아시아 워킹그룹 학회 발표를 중심으로 亚洲英语戏剧学的现状:2019 IFTR亚洲工作小组学会发表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Pub Date : 2019-05-01 DOI: 10.18396/KTSA.2019.1.70.006
Lee Mee Won
{"title":"아시아 영어 연극학의 현재: 2019 IFTR 아시아 워킹그룹 학회 발표를 중심으로","authors":"Lee Mee Won","doi":"10.18396/KTSA.2019.1.70.006","DOIUrl":"https://doi.org/10.18396/KTSA.2019.1.70.006","url":null,"abstract":"","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93036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