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Reformed Journal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Awakenings and Sociocultural Change 觉醒与社会文化变迁
Korean Reformed Journal Pub Date : 2023-09-30 DOI: 10.57228/krj.65.1
Sang Gyoo Lee
{"title":"Awakenings and Sociocultural Change","authors":"Sang Gyoo Lee","doi":"10.57228/krj.65.1","DOIUrl":"https://doi.org/10.57228/krj.65.1","url":null,"abstract":"","PeriodicalId":473051,"journal":{"name":"Korean Reformed Journal","volume":"3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70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Liturgical Proposal for Recovering the Next Generation: Reformed Family Worship based on ‘the Directory for Family Worship’ 恢复下一代的礼仪建议:基于“家庭敬拜指南”的改革宗家庭敬拜
Korean Reformed Journal Pub Date : 2023-09-30 DOI: 10.57228/krj.65.4
Jong Hun Joo
{"title":"Liturgical Proposal for Recovering the Next Generation: Reformed Family Worship based on ‘the Directory for Family Worship’","authors":"Jong Hun Joo","doi":"10.57228/krj.65.4","DOIUrl":"https://doi.org/10.57228/krj.65.4","url":null,"abstract":"이 글은 오늘날 디지털 사회에서 교회로부터 멀리하는 다음 세대를 위한 가정의 책임과 역할에 대해 예전적 대안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신앙 형성을 위한 가정의 위치와 역할 그리고 실천적 과제를 다루고 제시하는 것은 주로 가정예배의 성경적 근거와 정당성, 가정예배의 구성요소와 실천 방식에 대한 원론적 제시에 집중해 왔다. 개혁주의 전통도 가정에서의 신앙 형성과 교육을 위한 목회적 실천적 과제를 강조한다. 역사적으로 성경의 가르침에 따른 가정 중심의 신앙 실천의 표준을 제시한 문헌 가운데 ‘가정예배지침’(Directory for Family Worship)은 오늘날 목회적 수용을 위해 실천적 의미를 제시해 준다. ‘가정예배지침’은 성경의 가르침에 따른 가정 중심의 신앙 형성을 강조하고 가정예배의 구성에 대한 명확한 안내를 제시해 준다. 이 글이 ‘가정예배지침’에 기초해서 오늘날 변화하는 사회, 디지털 기술에 지배되는 환경에서 다시 주목할 가정 중심의 사역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는 가정 중심의 신앙 형성을 위한 가정예배 실천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둘째, 가정에서의 경건한 대화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셋째, 공예배와 같은 규칙적인 리듬에 따라 실천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넷째, 전세대가 함께 교회와 가정에서 예배할 수 있는 방식을 명확히 제시하는 핵심 역할을 감당하는 것이다. 가정의 우선적 회복은 다음 세대를 위해 교회의 부흥과 회복을 위한 불가피한 사역의 과제이며, 목회자들이 다시금 집중해야 할 영역이다.","PeriodicalId":473051,"journal":{"name":"Korean Reformed Journal","volume":"20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7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Reformed Assessment on the Th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Cyril of Alexandria and Nestorius 对亚历山大的西里尔与聂斯脱里神学差异的改革评价
Korean Reformed Journal Pub Date : 2023-09-30 DOI: 10.57228/krj.65.2
Yong Jun Kim
{"title":"A Reformed Assessment on the Th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Cyril of Alexandria and Nestorius","authors":"Yong Jun Kim","doi":"10.57228/krj.65.2","DOIUrl":"https://doi.org/10.57228/krj.65.2","url":null,"abstract":"키릴과 네스토리우스 사이의 문제는, 비록 데오토코스라는 용어가 문제의 발단이 되기는 했지만, 근본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데오토코스에 대한 집중은 결국 둘 사이의 신학적 이해를 바르게 하지 못하도록 했다. 데오토코스는 공의회에서 승인된 용어이며, 문제는 키릴과 네스토리우스 사이의 신학적인 문제에 있다. 첫째, physis와 hypostasis의 문제인데, 키릴은 아폴리나우스주의자가 아니었지만, 키릴의 실수에 대한 네스토리우스의 비난에 근거하여 하르낙은 키릴을 아폴리나리우스주의자로 비판하였다. 둘째, 연합에 대한 문제에서 둘은 서로 다른 용어와 의미를 사용하였다. 키릴은 ‘헤노시스’를 네스토리우스는 ‘쉰아페이아’였다. 그러나 쉰아페이아는 ‘위격적 연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두 가지 전혀 다른 실체들의 연합을 의미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셋째, 그리스도의 수난의 이해. 네스토리우스의 수난의 문제 역시 ‘두 우시아이와 두 페르조나이’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네스토리우스는 키릴이 주장한 그리스도의 수난에 대한 문제를 ‘성부수난설’로 비판하였으나, 도리어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의 문제점이 여기서 등장하게 되는데, 그리스도의 수난은 그리스도가 취한 한 사람이 받은 수난(네스토리우스)이 아니라, 로고스가 그리스도로서 받으신 수난(키릴)이라는 측면에 대한 문제이다. 결론적으로 키릴과 네스토리우스 사이의 신학의 문제는 ‘데오토코스’의 문제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연합에 대한 신학적 문제였다. 따라서 개혁신학은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을 수용하지 않았다.","PeriodicalId":473051,"journal":{"name":"Korean Reformed Journal","volume":"6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5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Seven Theories of Happiness in Ignatius' Values: Focusing on the seven epistles of Ignatius : Focusing on the seven epistles of Ignatius" 《伊格那丢价值观中的七种幸福理论:以伊格那丢的七封书信为中心》
Korean Reformed Journal Pub Date : 2023-09-30 DOI: 10.57228/krj.65.3
YounHo Jo
{"title":"\"The Seven Theories of Happiness in Ignatius' Values: Focusing on the seven epistles of Ignatius : Focusing on the seven epistles of Ignatius\"","authors":"YounHo Jo","doi":"10.57228/krj.65.3","DOIUrl":"https://doi.org/10.57228/krj.65.3","url":null,"abstract":"행복이란? 이 물음에 대해 한 가지로 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행복은 각자의 형편과 환경에 따라 각각의 모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두 가지 방향에서 찾고 있다. 하나는 ‘신적 요소’를 통해 주어지는 것이다. 또 하나는 학습과 훈련 등 ‘사람의 요소’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아우구스티누스는 행복을 ‘신적 섭리’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그나티우스의 행복론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추구하는 쪽에서 설명하고 있다. 반면 이그나티우스는 행복의 근원을 신앙과 연결하고 있다. 이것은 행복의 근원이 하나님으로부터라는 고백을 담고 있다. 그는 이것을 세 가지의 가치관으로 증거한다. (1) 신앙의 가치관 (2) 역할의 가치관 (3) 참된 고난의 가치관이다. 행복은 찾거나 발견하는 것이 아니다. 이그나티우스는 여기에 대해 우리에게 명확한 답을 주고 있다. 그의 세 가지 가치관 속에 나타나고 있는 일곱 가지 행복론은 이것을 잘 표현하고 있다(‘하나님의 자랑거리가 되는 가치관’, ‘그리스도와 연합의 가치관’, ‘신앙의 확신에 따른 가치관’, ‘함께 동역하는 가치관’, ‘한마음을 이루는 가치관’, ‘택함 받은 자로서’, ‘부활의 확신’). 이그나티우스의 가치관 속에 나타난 행복론은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제자도’와 ‘십자가의 신앙’을 통해 종합적으로 설명된다. 이런 그의 행복론을 그가 쓴 일곱 서신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사상과 그의 행복론이 가지는 참된 가치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일곱 가지 행복론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을 향한 신앙이 왜 중요한지 알게 된다.","PeriodicalId":473051,"journal":{"name":"Korean Reformed Journal","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35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