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ven Theories of Happiness in Ignatius' Values: Focusing on the seven epistles of Ignatius : Focusing on the seven epistles of Ignatius"

YounHo Jo
{"title":"\"The Seven Theories of Happiness in Ignatius' Values: Focusing on the seven epistles of Ignatius : Focusing on the seven epistles of Ignatius\"","authors":"YounHo Jo","doi":"10.57228/krj.65.3","DOIUrl":null,"url":null,"abstract":"행복이란? 이 물음에 대해 한 가지로 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행복은 각자의 형편과 환경에 따라 각각의 모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두 가지 방향에서 찾고 있다. 하나는 ‘신적 요소’를 통해 주어지는 것이다. 또 하나는 학습과 훈련 등 ‘사람의 요소’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아우구스티누스는 행복을 ‘신적 섭리’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그나티우스의 행복론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추구하는 쪽에서 설명하고 있다. 반면 이그나티우스는 행복의 근원을 신앙과 연결하고 있다. 이것은 행복의 근원이 하나님으로부터라는 고백을 담고 있다. 그는 이것을 세 가지의 가치관으로 증거한다. (1) 신앙의 가치관 (2) 역할의 가치관 (3) 참된 고난의 가치관이다. 행복은 찾거나 발견하는 것이 아니다. 이그나티우스는 여기에 대해 우리에게 명확한 답을 주고 있다. 그의 세 가지 가치관 속에 나타나고 있는 일곱 가지 행복론은 이것을 잘 표현하고 있다(‘하나님의 자랑거리가 되는 가치관’, ‘그리스도와 연합의 가치관’, ‘신앙의 확신에 따른 가치관’, ‘함께 동역하는 가치관’, ‘한마음을 이루는 가치관’, ‘택함 받은 자로서’, ‘부활의 확신’). 이그나티우스의 가치관 속에 나타난 행복론은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제자도’와 ‘십자가의 신앙’을 통해 종합적으로 설명된다. 이런 그의 행복론을 그가 쓴 일곱 서신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사상과 그의 행복론이 가지는 참된 가치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일곱 가지 행복론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을 향한 신앙이 왜 중요한지 알게 된다.","PeriodicalId":473051,"journal":{"name":"Korean Reformed Journal","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Reformed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7228/krj.6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행복이란? 이 물음에 대해 한 가지로 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행복은 각자의 형편과 환경에 따라 각각의 모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두 가지 방향에서 찾고 있다. 하나는 ‘신적 요소’를 통해 주어지는 것이다. 또 하나는 학습과 훈련 등 ‘사람의 요소’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아우구스티누스는 행복을 ‘신적 섭리’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그나티우스의 행복론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추구하는 쪽에서 설명하고 있다. 반면 이그나티우스는 행복의 근원을 신앙과 연결하고 있다. 이것은 행복의 근원이 하나님으로부터라는 고백을 담고 있다. 그는 이것을 세 가지의 가치관으로 증거한다. (1) 신앙의 가치관 (2) 역할의 가치관 (3) 참된 고난의 가치관이다. 행복은 찾거나 발견하는 것이 아니다. 이그나티우스는 여기에 대해 우리에게 명확한 답을 주고 있다. 그의 세 가지 가치관 속에 나타나고 있는 일곱 가지 행복론은 이것을 잘 표현하고 있다(‘하나님의 자랑거리가 되는 가치관’, ‘그리스도와 연합의 가치관’, ‘신앙의 확신에 따른 가치관’, ‘함께 동역하는 가치관’, ‘한마음을 이루는 가치관’, ‘택함 받은 자로서’, ‘부활의 확신’). 이그나티우스의 가치관 속에 나타난 행복론은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제자도’와 ‘십자가의 신앙’을 통해 종합적으로 설명된다. 이런 그의 행복론을 그가 쓴 일곱 서신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사상과 그의 행복론이 가지는 참된 가치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일곱 가지 행복론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을 향한 신앙이 왜 중요한지 알게 된다.
《伊格那丢价值观中的七种幸福理论:以伊格那丢的七封书信为中心》
什么是幸福?对于这个问题,不可能只回答一个问题。因为幸福会根据各自的情况和环境,以各自的面貌出现。亚里士多德从两个方向寻找幸福。一是通过“神的要素”得到的。另一个是通过学习和训练等“人的要素”形成的。奥古斯丁通过“神的法则”解释了幸福。伊格纳提乌斯的幸福论与自己所具有的价值观紧密相连。亚里士多德从追求幸福的角度进行了说明。相反,伊格纳提乌斯将幸福的根源与信仰联系在一起。这包含着幸福的根源来自上帝的告白。他以三种价值观来证明这一点。(1)信仰的价值观(2)作用的价值观(3)真正苦难的价值观。幸福不是寻找或发现的。伊格纳提乌斯给了我们一个明确的答案。他的三种价值观里有出现,这七种幸福论表现着(“上帝的最骄傲的价值观”,“与基督联合的价值观”、“信仰的信心带来的价值观”、“一起洞》的价值观”,“一心形成的价值观”,“选择舰作为接受”、“复活的确信”)。伊格纳提乌斯价值观中的幸福论可以通过越来越像基督的“弟子图”和“十字架的信仰”进行综合说明。以他写的七封书信为中心研究他的幸福论是值得的。在这里,我们遇到了他的思想和他的幸福论所具有的真正价值。通过七种幸福论,我们知道了对上帝的信仰为什么重要。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