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RSP 모형 기반의 비행기 제작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학업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基于RSP模型的飞机制造活动对小学生创意学业完成效能感的影响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12-01 DOI: 10.20972/KJEE.28.4.201712.271
신동인, Seong-sik Moon
{"title":"RSP 모형 기반의 비행기 제작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학업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authors":"신동인, Seong-sik Moon","doi":"10.20972/KJEE.28.4.201712.271","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4.201712.271","url":null,"abstract":"이 연구는 RSP 모형을 기반으로 한 비행기 제작활동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학업 수행 효능감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발명과 항공의 기초, 핸드런치 글라이더, 콘덴서 비행기, 나만의 창작 비행기를 주제로 한 14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RSP 모형 기반의 비행기 제작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학업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박소연(2015)이 개발한 초등학생용 창의적 학업 효능감 척도를 서울시 C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적 학업수행 효능감의 총점을 살펴보면,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수행 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창의적 학습효능감(p<0.01), 창의적 사고 효능감(p<0.01), 창의적 문제해결 효능감(p<0.01)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RSP모형 기반의 비행기 제작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수행 효능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90763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일본 사회과 문제해결학습의 특징과 전개 유형 日本社会学科问题解决学习的特征和展开类型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12-01 DOI: 10.20972/kjee.28.4.201712.33
남경희
{"title":"일본 사회과 문제해결학습의 특징과 전개 유형","authors":"남경희","doi":"10.20972/kjee.28.4.201712.33","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4.201712.33","url":null,"abstract":"일본에서는 최근 액티브 러닝이 강조되면서 학습방법의 하나로 문제해결학습이 적극 추구되고 있다. 듀이의 반성적 탐구과정으로서 문제해결학습은 학습자의 주체성이나 자기학습력 등과 연계되면서 일본 사회과에서의 주된 학습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초기 사회과에서의 문제해결학습은 패전 후 일본 사회와 학생들이 직면한 현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인식 주체의 사고과정과 방법을 강조하였다. 시대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문제해결학습의 추구 관점도 바뀌어 육성하고자 하는 능력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 변화의 사회적 배경으로는 1980년대에 들어와서 야기된 심각한 청소년 문제에 대한 대처, 21세기 국제화 및 평생학습시대에 대비하여 1996년의 교육개혁 문서에서 제시된 ‘살아가는 힘‘의 육성 및 2000년 이후 피사형 학력과 핵심역량 교육의 강화를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문제해결학습으로는 초기 사회과형, 인간중심형, 발신형(사회참가형), 액티브 러닝형의 4가지 유형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4가지 유형의 문제해결학습은 추구하는 관점과 전개 방식은 달리하고 있으나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주체적으로 문제를 추구하는 학습주체의 사고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은 공통적이다. 문제해결학습의 특징으로서는 자기교육력, 절실성, 주체성, 교류 및 연속성을 들 수 있다. 주체적으로 배우는 의지, 태도, 능력인 자기교육력과 더불어 학습자에게 절실성이 있을 때 학습문제로 성립되고, 주체성을 가질 때 상호 교류와 연속적인 추구가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현대사회에서 공감과 가치 규명, 자기결정과 발신을 중시하는 관점으로 문제해결학습이 진화해가고 있다는 것은 이의 구성과 전개에 많은 시사를 주고 있다.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 방식을 벗어나서 학생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체적이고 대화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생각과 관점을 교류하고, 이를 통해 최종 인지한 해결 방안을 외계로 표현하고 전달하는 발신 활동을 보장하는 교수-학습 환경이 적극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01289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처반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小学生的学业压力与社会定向完美主义对学业消耗的影响:以应对反应的媒介效果为中心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12-01 DOI: 10.20972/kjee.28.4.201712.201
김정주, 홍상황
{"title":"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처반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authors":"김정주, 홍상황","doi":"10.20972/kjee.28.4.201712.201","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4.201712.201","url":null,"abstract":"이 연구는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대처반응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과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5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회피적 대처반응, 학업소진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적 대처반응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는 정적 상관, 학업소진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나 학업스트레스와의 상관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대처반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접근적 대처반응과 회피적 대처반응은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4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4005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ffects of Meditation Program on Mathematical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冥想课程对小学数学学习动机及课堂成绩的影响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12-01 DOI: 10.20972/kjee.28.4.201712.93
윤영미, Shin Hang Kyun
{"title":"Effects of Meditation Program on Mathematical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authors":"윤영미, Shin Hang Kyun","doi":"10.20972/kjee.28.4.201712.93","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4.201712.93","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학급단위 명상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명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자들의 수학 학습동기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명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명상이 주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고학년 학습자의 발달 단계와 흥미에 맞는 명상의 요소를 정선하여 명상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학급단위 명상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자들의 수학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33488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연극’단원의 구성 방향 : 드라마(drama)와 씨어터(theatre)의 통합에 기반을 둔 드라마 예술 형식 2015年修订教育课程国语课“话剧”单元的构成方向:以电视剧(drama)和剧场(theatre)相结合为基础的电视剧艺术形式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12-01 DOI: 10.20972/kjee.28.4.201712.49
김주연
{"title":"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연극’단원의 구성 방향 : 드라마(drama)와 씨어터(theatre)의 통합에 기반을 둔 드라마 예술 형식","authors":"김주연","doi":"10.20972/kjee.28.4.201712.49","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4.201712.49","url":null,"abstract":"종래, 초중등 국어 과목의 ‘문학’ 영역에 희곡으로 배치되어 다루어졌던 연극은, 2015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연극’이라는 명칭으로 포함되었다. 그동안 희곡을 매개로 문학영역에 포함되었던 연극이 중심부로 배치되면서, 문학 영역과의 새로운 관계설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문학 영역을 새로운 매체 언어를 포용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연극은 문학 영역 안에 머무를 수 있게 되며, 연극의 매체언어적 성격 즉 예술 형식을 강조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연극을 예술 형식 차원에서 수용할 경우, 고등학교 ‘연극’ 과목에 연계되어 학년별 교과 연계성도 확보할 수 있다. \u0000연극을 예술 형식으로 해석할 경우, 기존의 전문 연극 교과에서 다루던 연극 역사나 연기술, 무대 기술을 가져오는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가능하다, 교육연극과 연극 교육계에서 공통적으로 발달시킨 예술 양식을 가져올 것을 제안한다. 허구성, 간략화, 외부로 재현하기, 다층적 의미 발견, 배우이자 관객인 참가자들의 성격과 같은 예술 형식을 들여올 필요가 있다. 이들은 연극놀이나 즉흥극, 과정드라마에 내용의 깊이를 더해주면서, 공연 만들기에서도 공연의 완성도를 높인다. 드라마 예술 형식은 학습자의 경험을 중시하면서 드라마의 내용과 형식을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내용과 형식에 깊이를 더해준다. 또한 무의미하게 진행될 수 있는 공연에도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여 공연이 하나의 의미 있는 체험이 되게 한다. 따라서 교육연극의 방법과 연극교육의 방법에서 공통적으로 발달시킨 드라마 예술 형식을 연극 단원의 내용 요소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u0000드라마 예술 형식이 실제 적용되는 양상은 지향점에 따라 만들어보기(making), 공연하기 (performing), 감상하기(responding)로 나타난다. 호주의 교육 과정은 드라마예술 형식을 만들어 보기, 공연하기, 감상하기에 적용하여, 학년별로 배치한 좋은 사례이다. 학년별 발달 단계에 맞춰 드라마 내용과 형식을 조절하고, 그에 맞게 연극놀이, 즉흥극, 공연 등의 여러 방법들을 배치하였다. 만들어보기, 공연하기, 감상하기는 드라마 예술 형식을 구현할 수 있는 적절한 적용방법이다.","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7569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초등발명교육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小学发明教育近期研究动向分析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12-01 DOI: 10.20972/KJEE.28.4.201712.67
박동현, 홍영식
{"title":"초등발명교육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authors":"박동현, 홍영식","doi":"10.20972/KJEE.28.4.201712.67","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4.201712.6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국회도서관, 디비피아, 한국학술정보(KISS), 한국실과 교육학회,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기술교육학회 등에서 수집된 학술지 논문 124편을 대상으로 초등발명교육의 최신 연구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초등발명교육의 기초 연구로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u0000초등발명교육의 논문 수는 최근 교육과정 내 체계적 정립을 위한 다양하고 능동적인 시도와 발명교육 관련 학과의 신설로 인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표지 유형은 한국실과교육학회,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순으로, 기능으로는 교수·학습 분야 연구가 가장 활발했으며, 주제로는 영재교육, 교과연구·개발, 발명·창의성 기법 순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개발연구, 실험연구, 질적연구, 조사연구 순이었다. 개발연구와 실험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및 실험 처치 연구로서 대부분 중복됐고, 실험연구의 구인은 창의성, 발명태도·흥미 순으로 많았으며 특히, 최근 정의적 능력과 관련된 구인의 실험연구가 많았다. 대상 분석으로는 초등학생, 교사 순이었으며, 연구자 특성은 공동연구가 많았고 10회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는 5명이었다. 본 연구와 함께 초등 발명교육의 전체적 현황 분석을 위해 중등발명교육이 포함된 동향과 향후 초등발명교육의 균형 발전을 위해 특정 범주에 편중된 연구보다는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4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74155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인지부조화 해소 방법 훈련을 통한 인성 교육 방안 通过训练消除认知不协调的人性教育方案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12-01 DOI: 10.20972/kjee.28.4.201712.231
김재봉
{"title":"인지부조화 해소 방법 훈련을 통한 인성 교육 방안","authors":"김재봉","doi":"10.20972/kjee.28.4.201712.231","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4.201712.231","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부조화 이론을 활용하여 이론적 토대가 튼실한 인성 교육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u0000첫째, 인성은 친사회적 행동이고, 태도는 정서적 개입이 포함된 사회적 견해이다. 태도는 인지적, 정서적, 의지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태도에는 지식적 기능, 평가적 기능, 사회적 조정의 기능, 유용성 기능, 가치 표현의 기능, 자기 방어 기능, 외재화의 기능이 있다. \u0000둘째, 인지부조화는 태도와 일치하지 않는 행동을 할 때 겪는 인지적 불편함이다. 인지부조화를 해소하는 과정에서 갈등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인성이 함양된다. \u0000셋째, 인지부조화를 해소하는 방법에는 태도와 행동의 일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탐색을 바탕으로 하여 (1) 태도를 변화시켜 행동과의 부조화를 해소하는 방법, (2) 행동을 변화시켜 태도와의 부조화를 해소하는 방법이 있다. \u0000넷째, 인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인지부조화 해소 방법 탐색 훈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갈등 상황을 설정하고 인성 교육의 덕목을 추출한다. (2) 태도와 행동의 일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선택하다. (3) 인지부조화 해소 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한다. (4) 가치내면화를 한다. (5) 학생의 참여 유도와 상황을 조성한다.","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10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31385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nalyzing Book Cover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韩国儿童文学书籍封面分析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12-01 DOI: 10.20972/KJEE.28.4.201712.251
Lee, Hyanggeun
{"title":"Analyzing Book Cover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authors":"Lee, Hyanggeun","doi":"10.20972/KJEE.28.4.201712.251","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4.201712.251","url":null,"abstract":"","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5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24022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의 실행연구 利用SNS和视频分析的小学体育课实践研究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12-01 DOI: 10.20972/KJEE.28.4.201712.79
유민규, Young-Suk Lee
{"title":"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의 실행연구","authors":"유민규, Young-Suk Lee","doi":"10.20972/KJEE.28.4.201712.79","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4.201712.7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한 학급 2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SNS, 영상분석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주목하여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의 운영’에 관한 수업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의 운영효과 및 촉진요인, 저해요인을 규명하여 학교현장에서 활용가능한 SNS와 영상분석 체육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체육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운동기능 향상과 운동지식 향상, 상호작용의 증가,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효과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본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경험을 통해 상호작용 증진, 기능적 향상 등과 같은 7가지 수업촉진요인과 의사소통의 어려움, 운동지식의 부족과 같은 5가지 저해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촉진효과를 활성화 방안에 투영시키기 위해 ‘효과적이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저해요인에 나타난 요인들을 보완하여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하는 체육수업 속에서 학습자들은 영상을 통해 인지한 자신의 신체이해와 상호의 사소통을 통해 자신이 필요한 운동기능과 운동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발적인 학습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SNS와 영상분석의 장점을 살린 영상 피드백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을 경험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4621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실생활 맥락에서의 관찰을 강조한 STEAM 과학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 强调在现实生活中观察的STEAM科学课程对小学生科学素养的影响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Pub Date : 2017-09-01 DOI: 10.20972/KJEE.28.3.201709.17
김은희, YoungseokJhun
{"title":"실생활 맥락에서의 관찰을 강조한 STEAM 과학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authors":"김은희, YoungseokJhun","doi":"10.20972/KJEE.28.3.201709.17","DOIUrl":"https://doi.org/10.20972/KJEE.28.3.201709.17","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실생활 맥락에서의 관찰을 강조한 STEAM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활동 분석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과학적 소양 함양 과정을 알아보는데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과학의 목표는 모든 학생들의 과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함이다(교육부, 2015). 또한 과학에서는 일상의 경험과 관련이 있는 상황을 통해 과학 지식과 탐구 방법을 즐겁게 학습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여 과학과 사회의 올바른 상호 관계를 인식하여 바람직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을 강조한다.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교과 `자석의 이용` 단원과 관련한 STEAM 프로그램 6차시 분량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특별히 학생들이 실제 경험하고 접할 수 있는 실생활 맥락에서의 관찰과 그 관찰한 결과를 서로 모아 의미 있는 결과를 창출하는 과정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STEAM 프로그램을 서울특별시 K 초등학교 3학년 2개 반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활동 과정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을 6차시 정도 도입하여 짧은 시간에 사전 및 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과학적 소양의 향상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활동을 미시적으로 관찰한 뒤, 학생의 활동과정을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의 함양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생활 맥락에서의 관찰을 강조한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학생들의 활동 및 학습 과정을 분석한 결과 실생활 맥락에서의 관찰을 강조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연 현상 및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과 과학 학습의 즐거움을 인식하여 평생학습 능력에 긍정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실생활 맥락에서의 관찰을 강조한 STEAM 수업이 긍정적인 효과를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주제를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하여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과학적 소양 함양에 필요한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PeriodicalId":43340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volume":"2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0225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