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중국인터넷쇼핑몰 환경에서 지각된 위험이 신뢰 및 지각된 거래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각된 유용성 조절효과 중심으로","authors":"전상택, 오소, 조재천","doi":"10.17961/jdmr.22.4.201908.47","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47","url":null,"abstract":"인터넷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더 많은 소비자들은 인터넷쇼핑몰에서 구매하므로 네트워크가 자연스럽게 소비자의 쇼핑을 위해 중요한 채널이 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이 여전히 보안, 서비스, 상품 유통 등과 같은 많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잘 해결하는 것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행위가 어떤 결과를 나타낼 것인가에 대하여, 소비자의 주관적인 불확실성과 구매행위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얻게 될 때에, 이러한 결과가 소비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 또는 소비자의 구매행위 자체가 또 다른 소비자에게 얼마나 중요하게 지각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중요한 사항으로 고객의 지각된 위험을 제시하였다(Jarvenpaa and Todd, 197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쇼핑몰 환경에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느끼는 위험지각 요인이 신뢰와 지각된 거래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위험과 신뢰 간에 지각된 유용성이 어떠한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인터넷쇼핑몰에서 지각된 위험과 신뢰와 지각된 거래가치, 지각된 유용성에 대한 이론과 조사결과를 통해 국내 온라인 소매상들의 소비자에 대한 보다 더 폭넓은 이해와 고객에 대한 구매만족 프로세스를 개선하도록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02724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휠체어 탑승 가능 고속/시외버스 정책,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가?: 버스 운전자 및 버스 이용객 인터뷰를 중심으로","authors":"KIM JIN HEE, 강병도, June-Hee Na","doi":"10.17961/jdmr.22.4.201908.137","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137","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8761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중력모형을 활용한 한중 FTA 체결의 중국농산물의 대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전략적 활용방안 도출","authors":"이월형, 김형태","doi":"10.17961/jdmr.22.4.201908.18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185","url":null,"abstract":"한-중 양국 간의 자유 무역 협정에 농산물 무역은 항상 민감한 화제였다. 2017년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한국의 두 번째로 큰 농산물 수입국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 정부의 장기적인 무역 보호 정책으로 인해 중국의 농산물 수출은 높은 수준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한-중 자유 무역 협정에 대한 연구 분석은 중국 농산물의 대 한국 수출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더욱이 한-중 자유 무역 지대의 이행에도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중국농산물의 대한국 수출의 시계열 데이터를 중심으로 중국농산물의 대한국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17년까지 17년간 중국농산물 대한국 수출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해 무역 중력모형(Gravity Model)으로 한-중 FTA의 관세 인하 정책과 함께 FTA/SPS, 환율, 한중 양국 1인당 GDP 등의 변화가 중국농산물의 대한국 수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중 FTA에 따른 관세 인하는 중국농산물의 대한국 수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중 양국 1인당 GDP의 곱하기는 중국농산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에 부(-)의 영향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나, 단기적으로 한국 대중국의 SPS통보횟수는 중국농산물의 대한국 수출을 저해하는 반면 장기적으로 SPS통보횟수는 점차 중국농산물의 대한국 수출 규모와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중 FTA 체결이 중국농산물 대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중국농산물 대한국 수출 규모 확대에 관련한 전략적 활용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6627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Moderating Effects of Age Groups on Digital Customer Experience and Purchase","authors":"N. Null, Byoung-gyu Chung","doi":"10.17961/jdmr.22.3.201906.1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13","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60018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이용자의 자아해석성향과 휠체어 탑승 가능 고속/시외버스에 대한 이용의도","authors":"KIM JIN HEE, June-Hee Na","doi":"10.17961/jdmr.22.3.201906.69","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69","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9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05903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일본 골프산업의 현황과 생존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골프산업으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authors":"코지 요시모토, BaeIl Hyun","doi":"10.17961/jdmr.22.3.201906.4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4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골프장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향후 예상되는 골프장 운영의 어려움을 미리 예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동일한 문제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는 일본 골프장의 사례를 고찰하였는데 일본의 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의 골프장 각각 1개씩을 선정하여 사례분석 하였다. 일본 골프장의 사례분석을 통해 골프장이 보유하고 있는 경영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창조하고 있는 성공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한국골프산업에 시사하는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u0000첫째, 골프를 하기 위해 내장하는 골프고객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잠재고객으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골프장의 내장고객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있다고 해도 골프장이 위치한 지역주민을 우선으로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골프장 활용전략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u0000결론적으로, 골프장의 생존전략 방안은 사례에서 확인한 것처럼 외부환경과의 네트워크 구축에 따른 시장 확대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략방안은 향후 골프장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골프장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된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33 2","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03445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고객지향 기업의 전략적 인사체계","authors":"Hwangwoo Lee, M. Kim","doi":"10.17961/JDMR.22.3.201906.7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75","url":null,"abstract":"고객지향 또는 고객만족 경영전략은 많은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객지향 경영전략에 적합한 전략적 인사체계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현실은 학문적으로 전략적 인사관리 분야의 발전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 고객만족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 기업들이 선택할 수 있는 구체적 인사제도들을 제약한다. 본 논문은 전략적 인사관리의 정합이론 중 상황이론을 바탕으로 고객지향 기업의 전략적 인사체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주요 인사기능에서 총 12개의 인사제도를 고객만족 경영전략에 정합한 인사체계로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모집과 채용 분야에서는 인성검사 시험을 통한 지원자 스크리닝, 선발 과정에 현실적 직무소개 포함, 신입사원을 위한 멘토링 제도의 시행을, 성과관리 분야에서는 성과지표에 고객만족 포함, 평가방법에서 행위기준척도법 사용, 대중기반 성과피드백 실시를, 교육훈련 분야에서는 팀 고객만족도를 요구 분석에 사용, 외부전문가에 의한 교육실시, 교육훈련 평가 시 피평가자의 행동변화와 결과 포함을, 보상과 복리후생 기능에서는 역량기반 기본급 급여체계, 고객서비스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제도, 고객친절 우수 직원에 대한 공식적 인정과 칭찬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5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48515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한국 인터넷 면세점 E-서비스품질, 한류스타 광고모델이 이용객만족도 및 재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쇼핑관광객과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authors":"왕유, 김형태","doi":"10.17961/jdmr.22.3.201906.3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3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들의 한국 인터넷 면세점에 대한 만족도 및 재 사용의도를 파악하고자, 인터넷 면세점의 e-서비스품질과 한류스타 광고모델을 주요 요인변수로 설정하여 논의해 보았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e-서비스품질 중에 이용용이성, 응답성, 그리고 경제성이 이용객 만족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보안성을 이용객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 인터넷면세점의 한류스타 광고모델 특성 요인 중 매력성과 신뢰성이 이용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객 만족도가 재 사용의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쇼핑관광객과 유학생들 두 가지 집단에 대한 비교를 통해 두 집단 간 면세점 이용특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이용용이성과 경제성이 이용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쇼핑관광객보다 유학생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또한 응답성이 이용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쇼핑광광객집단 유학생집단보다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신뢰도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쇼핑관광객보다 유학생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인터넷면세점 서비스품질을 개선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 및 한류스타 광고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08350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중국인의 한국상품 해외직구 물류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authors":"Peng Bao, Jong-Ho Lee, Wei Gu","doi":"10.17961/jdmr.22.3.201906.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존에 있는 물류서비스와 전자상거래 분야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해외직구 쇼핑의 물류서비스 품질요인을 정보품질, 주문품질, 배송품질, 고객서비스, 배송가격 등 5가지로 설정하였으며 도출된 물류서비스 품질요인들은 해외직구 쇼핑의 고객만족도, 재구매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u0000또한, 온라인 리서치업체를 이용하여 한국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최종 회수된 유효 설문지 280부를 IBM SASS 21.0과 AMOS 21.0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u0000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물류서비스 품질요인 중 정보품질, 배송품질, 고객서비스, 배송가격은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주문품질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고객만족은 재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u0000마지막에 연구 데이터를 토대로 고객의 재구매의도와 추천의도를 제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과 이후의 연구방향을 명시하였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7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07184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한・중 소셜커머스의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의 만족과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소셜커머스‘위메프’와 중국‘메이퇀왕’여행상품 중심으로","authors":"추효붕, 조승호","doi":"10.17961/jdmr.22.3.201906.13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135","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2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7219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