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학교 인권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한 질적 탐색 对学校人权教育问题和改善方向的质的探索
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29175/klrea.14.2.201908.63
이선미
{"title":"학교 인권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한 질적 탐색","authors":"이선미","doi":"10.29175/klrea.14.2.201908.63","DOIUrl":"https://doi.org/10.29175/klrea.14.2.201908.6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보육실습 경험을 통하여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실습의 의미를 살펴보고 보육실습의 질적 향상을 꾀하여 질 높은 보육교사를 확보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 소재 C 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20명의 예비보육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실습기간 동안 작성된 반성적 저널과 두 차례의 심층적 개인면담을 통하여 이들이 보육실습 동안 경험한 실습내용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보육교사들에게 보육실습 경험은 보육현장과 보육교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며, 진로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보육교사로서 필요한 전문성과 실천적 지식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습기관마다 실습의 내용이나 일정이 다르고, 지도교사의 바쁜 일정과 다양한 역할 때문에 실습지도를 충실히 받을 수 없었던 부분들이 지적되면서 앞으로의 보육실습은 체계적이고 보편화된 보육실습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고 실습 지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의 기회가 자주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예비보육교사들은 영아에 대한 사전지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영아반에서 이루어진 실습내용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영아의 보육시설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보육교사 양성기관에서는 영유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충분히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시급히 구축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142672,"journal":{"name":"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83515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통합사회 교과서의 ‘인권 보장과 헌법’ 단원에 대한 인권교육 내용체계 분석 综合社会教科书《人权保障与宪法》单元的人权教育内容体系分析
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 Pub Date : 2019-08-01 DOI: 10.29175/klrea.14.2.201908.1
Jeonghwa Koo, Pak Sae Rom
{"title":"통합사회 교과서의 ‘인권 보장과 헌법’ 단원에 대한 인권교육 내용체계 분석","authors":"Jeonghwa Koo, Pak Sae Rom","doi":"10.29175/klrea.14.2.201908.1","DOIUrl":"https://doi.org/10.29175/klrea.14.2.201908.1","url":null,"abstract":"","PeriodicalId":142672,"journal":{"name":"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79690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법교육 - 법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 人工智能算法与法律教育——关于法律教育发展方向的建议
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 Pub Date : 2019-04-01 DOI: 10.29175/KLREA.14.1.201904.33
심우민
{"title":"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법교육 - 법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authors":"심우민","doi":"10.29175/KLREA.14.1.201904.33","DOIUrl":"https://doi.org/10.29175/KLREA.14.1.201904.33","url":null,"abstract":"「법교육지원법」이 제정 및 시행되어 온지 이제 10년을 넘어서고 있다. 이 법은 우리 사회의 법교육을 안착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현재의 학교 및 사회 법교육은 아직까지도 변화해야하는 지점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서는 인공지능 등 신기술의 발전에 기반한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도 고려해야 한다(소위 ‘4차 산업혁명’). 현재의 법교육 텍스트들은 사실상 법지식 전달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을 가지고 있다. 시민교육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법교육은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법학교육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시민들의 법규범 형성 및 활용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현재의 법교육 중점은 옮겨가야 한다. 이에 더하여, 인공지능 및 그 알고리즘의 사회적 활용이 일상화된 상황에서는 단순 법지식 중심의 교육은 그 의미가 현재보다 더욱 퇴색되어 갈 것이고, 인간 행위의 현실적 제약요인으로 기능하게 되는 알고리즘에 대한 리터러시 교육이 법교육에 있어 중요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PeriodicalId":142672,"journal":{"name":"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1035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통합사회 현장 정착 방안 연구 - 법교육에의 시사점과 함께 - 综合社会现场安置方案的研究——对法律教育的启示
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 Pub Date : 2019-04-01 DOI: 10.29175/KLREA.14.1.201904.63
전경수, 곽한영
{"title":"통합사회 현장 정착 방안 연구 - 법교육에의 시사점과 함께 -","authors":"전경수, 곽한영","doi":"10.29175/KLREA.14.1.201904.63","DOIUrl":"https://doi.org/10.29175/KLREA.14.1.201904.63","url":null,"abstract":"2018학년도부터 처음 적용되는 통합사회는 개발 의도가 왜곡된 모습으로 학교 현장에서 수업되고 있으며, 또한 개발과 적용 과정에서도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드러냈다. 이에 따라 통합사회가 학교 현장에 안착하기 위하여 사회과 교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착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통합사회에 포함된 내용 가운데 법교육 관련 내용은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상치과목 교사에게 더 부담이 커 현장의 어려움이 더 큰 편이다.\u0000통합사회가 학교 현장에 안착하기 위한 방안들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사회과 교사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수를 추진하는 것이다. 둘째, 교과서 및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활용 방안을 안내해 주는 것이다. 셋째, 사회 교과 교실을 확충하는 것이다. 넷째, 사회과 교사 교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을 해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합사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방안들은 통합사회 내의 법교육의 현장적용성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142672,"journal":{"name":"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57384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Legislation Case Study on Mandatory Social Studies in U.S. States -focused on Illinois State case 美国各州强制性社会教育立法案例研究——以伊利诺伊州为例
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 Pub Date : 2018-08-01 DOI: 10.29175/KLREA.13.2.201808.1
곽한영
{"title":"Legislation Case Study on Mandatory Social Studies in U.S. States -focused on Illinois State case","authors":"곽한영","doi":"10.29175/KLREA.13.2.201808.1","DOIUrl":"https://doi.org/10.29175/KLREA.13.2.201808.1","url":null,"abstract":"","PeriodicalId":142672,"journal":{"name":"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volume":"3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88094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s of Trust and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 信任和自我效能感对防御行为的影响
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 Pub Date : 2018-08-01 DOI: 10.29175/KLREA.13.2.201808.83
Su-Jin Lee, 김경래
{"title":"The Effects of Trust and Self-efficacy on Defensive behavior","authors":"Su-Jin Lee, 김경래","doi":"10.29175/KLREA.13.2.201808.83","DOIUrl":"https://doi.org/10.29175/KLREA.13.2.201808.83","url":null,"abstract":"","PeriodicalId":142672,"journal":{"name":"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volume":"1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47449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시민교육으로서의 사회과 법교육 방향 탐색 - 독일 베를린주와 호주를 중심으로 - 通过分析外国的社会科学教育课程,探索作为市民教育的社会科学法教育方向——以德国柏林和澳大利亚为中心——
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 Pub Date : 2017-07-15 DOI: 10.29175/KLREA.14.1.201904.1
윤지영, 온정덕
{"title":"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시민교육으로서의 사회과 법교육 방향 탐색 - 독일 베를린주와 호주를 중심으로 -","authors":"윤지영, 온정덕","doi":"10.29175/KLREA.14.1.201904.1","DOIUrl":"https://doi.org/10.29175/KLREA.14.1.201904.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고 외국 사례를 \u0000분석함으로써 교과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u0000이를 위해, 먼저 역량과 기능, 지식과 기능의 관계를 검토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u0000서 기능의 의미와 역할을 정립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u0000문서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역량 교육을 실 \u0000시하고 있는 호주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여 다음과 \u0000같은 주요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두 국가는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학습할 기능을 \u0000‘탐구’로 설정하고, 둘째, 사회과 지식과 기능이 상호 긴밀한 관련을 가지도록 교육과 \u0000정을 구성하였다. 셋째, 기능 영역은 탐구 단계 및 학년(군)에 따라 학생들이 갖추기 \u0000를 기대하는 수준으로 계열화되었으며. 넷째, 탐구 과정 속에서 사회과 고유의 기능 \u0000을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마지막으로 탐구 과정을 학습하는 것이 어떤 역량 \u0000의 계발과 관련되는지 명시함으로써 역량과 기능의 관계를 밝히고 있다. 호주와 온 \u0000타리오 주의 기능 설정 및 교육과정 제시 방식은 교과 기능을 통해 역량 함양을 추 \u0000구하는 교과 교육과정 설계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한다.","PeriodicalId":142672,"journal":{"name":"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7-1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4607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