比较虚拟教具与视觉表征对轻度智障学生分数概念提高的效果

Mikyung Shin, Chae Soojung
{"title":"比较虚拟教具与视觉表征对轻度智障学生分数概念提高的效果","authors":"Mikyung Shin, Chae Soojung","doi":"10.18541/ser.2018.11.17.4.187","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분수 개념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일제 통합학급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4-6학년 경도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기초선을 가진 교대중재설계를 적용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분수 개념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 중재를 실시하였고 두 중재 방법은 무작위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 4명 모두 기초선보다 중재 구간에서 분수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재의 향상 정도 및 통계적인 유의미성은 중재 유형 및 학생별로 상이하였다. 중재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중재의 경우 더욱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적 구성요소에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가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분수 개념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중재는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에도 기여하였으며, 학생들의 특성 및 선호도를 고려한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PeriodicalId":49697,"journ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volume":"72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Comparing the Effects of the Use of Virtual Manipulatives and Visual Representations to Improve the Fraction Concept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authors\":\"Mikyung Shin, Chae Soojung\",\"doi\":\"10.18541/ser.2018.11.17.4.187\",\"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분수 개념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일제 통합학급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4-6학년 경도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기초선을 가진 교대중재설계를 적용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분수 개념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 중재를 실시하였고 두 중재 방법은 무작위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 4명 모두 기초선보다 중재 구간에서 분수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재의 향상 정도 및 통계적인 유의미성은 중재 유형 및 학생별로 상이하였다. 중재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중재의 경우 더욱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적 구성요소에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가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분수 개념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중재는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에도 기여하였으며, 학생들의 특성 및 선호도를 고려한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PeriodicalId\":49697,\"journ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volume\":\"72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541/ser.2018.11.17.4.1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541/ser.2018.11.17.4.1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研究目的:本研究以4名轻度智障学生为对象,比较提高分数概念理解度的视觉表象和利用虚拟操作物的明确而系统的教学效果。研究方法:以在全日制综合班级授课的4名小学4-6年级轻度智障学生为对象,采用了带有基础线的教育大学仲裁设计。为了让对象学习分数概念,利用视觉表象和虚拟操作物实施了明确而系统的仲裁,两种仲裁方法按随机顺序进行。研究结果:4名研究参与者在基础线和仲裁区间对分数概念的理解度都有所增加。但是仲裁的提高程度和统计上的有意义性根据仲裁类型和学生有所不同。从参与者对仲裁的认识来看,从整体上看,学生对利用虚拟捏造物的仲裁表现出更高的喜好度,对明确、系统的教授构成要素也表现出很高的满意度。结论:本研究暗示了利用视觉表象和虚拟捏造物的明确而系统的教授对理解轻度智力障碍学生的分数概念产生了积极的影响。另外,这种仲裁对轻度智障学生的积极授课也做出了贡献,强调了考虑学生特性和喜好度的教授的重要性。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Use of Virtual Manipulatives and Visual Representations to Improve the Fraction Concept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분수 개념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일제 통합학급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4-6학년 경도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기초선을 가진 교대중재설계를 적용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분수 개념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 중재를 실시하였고 두 중재 방법은 무작위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 4명 모두 기초선보다 중재 구간에서 분수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재의 향상 정도 및 통계적인 유의미성은 중재 유형 및 학생별로 상이하였다. 중재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중재의 경우 더욱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적 구성요소에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가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분수 개념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중재는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에도 기여하였으며, 학생들의 특성 및 선호도를 고려한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审稿时长
>12 weeks
期刊介绍: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 - Physics Education Research (PRST-PER) is a peer reviewed electronic-only journal sponsored by The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 (AAPT) and the APS Forum on Education. The journal covers the full range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earch on the teaching and/or learning of physics. PRST-PER is distributed without charge and financed by publication charges to the authors or to the authors" institutions. The criteria for acceptance of articles include the high scholarly and technical standards of our other Physical Review journal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