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年腹部肥胖妇女代谢综合征危险因素与高敏c反应蛋白的关系

신경아
{"title":"老年腹部肥胖妇女代谢综合征危险因素与高敏c反应蛋白的关系","authors":"신경아","doi":"10.15324/KJCLS.2017.49.2.12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을 가진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동반 유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hs-CRP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은 AHA/NHLBI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5년 기준에 따라 5가지 기준 중3개 이상 해당되는 경우 대사증후군 진단군(MetS, N=77), 2개이하의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경우 대조군(Absent, N=97)으로 분류하였다. hs-CRP 농도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복부비만(r=0.190, p=0.014), 공복혈당(r=0.240, p=0.002), HDL-콜레스테롤(r=-0.164, p=0.035)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군보다 대사증후군 진단군에서 hs-CRP가 높게 나타났으며(p=0.007), 복부비만 상태일지라도 높은 혈당(p=0.006)과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p=0.010)의 위험요인이 있는군에서 hs-CRP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복부비만이 있더라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동반유무에 따라 염증관련 위험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10080,"journal":{"name":"临床检验杂志","volume":"23 1","pages":"121-127"},"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3","resultStr":"{\"title\":\"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in Abdominal Obesity Elderly Women\",\"authors\":\"신경아\",\"doi\":\"10.15324/KJCLS.2017.49.2.12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을 가진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동반 유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hs-CRP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은 AHA/NHLBI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5년 기준에 따라 5가지 기준 중3개 이상 해당되는 경우 대사증후군 진단군(MetS, N=77), 2개이하의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경우 대조군(Absent, N=97)으로 분류하였다. hs-CRP 농도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복부비만(r=0.190, p=0.014), 공복혈당(r=0.240, p=0.002), HDL-콜레스테롤(r=-0.164, p=0.035)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군보다 대사증후군 진단군에서 hs-CRP가 높게 나타났으며(p=0.007), 복부비만 상태일지라도 높은 혈당(p=0.006)과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p=0.010)의 위험요인이 있는군에서 hs-CRP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복부비만이 있더라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동반유무에 따라 염증관련 위험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10080,\"journal\":{\"name\":\"临床检验杂志\",\"volume\":\"23 1\",\"pages\":\"121-127\"},\"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3\",\"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临床检验杂志\",\"FirstCategoryId\":\"3\",\"ListUrlMain\":\"https://doi.org/10.15324/KJCLS.2017.49.2.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临床检验杂志","FirstCategoryId":"3","ListUrlMain":"https://doi.org/10.15324/KJCLS.2017.49.2.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摘要

这项研究试图以腹部肥胖的高龄女性为对象,了解代谢综合症的危险因素与hs-CRP的关联性。根据AHA/NHLBI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5年的标准,代谢综合症诊断分为5个标准中3个以上为代谢综合症诊断群(MetS, N=77), 2个以下危险因素为对照群(Absent, N=97)。hs-CRP浓度与代谢综合症的危险因素有密切的关系,特别是与腹部肥胖(r=0.190, p=0.014),空腹血糖(r=0.240, p=0.002), HDL-胆固醇(r=-0.164, p=0.035)有关。另外,与对照组相比,代谢综合症诊断组的hs-CRP较高(p=0.007),即使腹部肥胖,也有高血糖(p=0.006)和低HDL-胆固醇血症(p=0.010)的危险因素的患者的hs-CRP较高。结论是,即使腹部肥胖,根据有无代谢综合症危险因素,炎症相关的危险程度也会有所不同。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in Abdominal Obesity Elderly Women
이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을 가진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동반 유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hs-CRP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은 AHA/NHLBI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5년 기준에 따라 5가지 기준 중3개 이상 해당되는 경우 대사증후군 진단군(MetS, N=77), 2개이하의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경우 대조군(Absent, N=97)으로 분류하였다. hs-CRP 농도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복부비만(r=0.190, p=0.014), 공복혈당(r=0.240, p=0.002), HDL-콜레스테롤(r=-0.164, p=0.035)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군보다 대사증후군 진단군에서 hs-CRP가 높게 나타났으며(p=0.007), 복부비만 상태일지라도 높은 혈당(p=0.006)과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p=0.010)의 위험요인이 있는군에서 hs-CRP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복부비만이 있더라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동반유무에 따라 염증관련 위험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10649
期刊介绍: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