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临床标本分离的输入病例二形真菌的研究

J. Lee, Sungryul Yu, Bon‐Kyung Koo, Cheol Moon
{"title":"韩国临床标本分离的输入病例二形真菌的研究","authors":"J. Lee, Sungryul Yu, Bon‐Kyung Koo, Cheol Moon","doi":"10.15324/KJCLS.2018.50.1.29","DOIUrl":null,"url":null,"abstract":"두 형태 진균은 자연환경이나 배지에 접종하여 실온에(25∼30°C)에서 배양하면 균사체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체온이나 높은 온도(35∼37°C)에서 배양을 하면 효모형태를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풍토병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이들은 전신감염을 일으키며, 조직이나 기관에 침입하여 심부 진균 증을 일으키는 원인 진균이다. \n사람에 감염되는 두 형태 진균은 지금까지 Blastomyces dermatitidis, Coccidioides immitis, Sporothrix schenkii,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Histoplasma capsulatum, 그리고, 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여섯 균종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해외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보고된 두 형태 진균은 Coccidioides immitis가 18예, Histoplasma capsulatum이 5예, Blastomyces dermatitidis가 3예, 그리고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가 4예로 모두 30예의 두 형태 진균이 보고되었다. 유행지역의 방문경험이 없음에도 국내에 발생된 경우는 C. immitis가 3예, H. capsulatum이 2예, B. dermatitidis가 1예, 그리고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가 1예로 있다. \nSporothrix schenkii 를 제외한 모든 두 형태 진균이 국내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외국의 특정 국가와 한정된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풍토병 원인의 토착 진균이지만, 유행 지역의 여행 경험이나 호발 지역의 이민 거주자들의 귀국과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의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해외유입 감염증의 발생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10080,"journal":{"name":"临床检验杂志","volume":"68 1","pages":"29-36"},"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3-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title\":\"Study on Imported Case Dimorphic Fung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 in Korea\",\"authors\":\"J. Lee, Sungryul Yu, Bon‐Kyung Koo, Cheol Moon\",\"doi\":\"10.15324/KJCLS.2018.50.1.29\",\"DOIUrl\":null,\"url\":null,\"abstract\":\"두 형태 진균은 자연환경이나 배지에 접종하여 실온에(25∼30°C)에서 배양하면 균사체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체온이나 높은 온도(35∼37°C)에서 배양을 하면 효모형태를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풍토병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이들은 전신감염을 일으키며, 조직이나 기관에 침입하여 심부 진균 증을 일으키는 원인 진균이다. \\n사람에 감염되는 두 형태 진균은 지금까지 Blastomyces dermatitidis, Coccidioides immitis, Sporothrix schenkii,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Histoplasma capsulatum, 그리고, 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여섯 균종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해외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보고된 두 형태 진균은 Coccidioides immitis가 18예, Histoplasma capsulatum이 5예, Blastomyces dermatitidis가 3예, 그리고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가 4예로 모두 30예의 두 형태 진균이 보고되었다. 유행지역의 방문경험이 없음에도 국내에 발생된 경우는 C. immitis가 3예, H. capsulatum이 2예, B. dermatitidis가 1예, 그리고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가 1예로 있다. \\nSporothrix schenkii 를 제외한 모든 두 형태 진균이 국내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외국의 특정 국가와 한정된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풍토병 원인의 토착 진균이지만, 유행 지역의 여행 경험이나 호발 지역의 이민 거주자들의 귀국과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의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해외유입 감염증의 발생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10080,\"journal\":{\"name\":\"临床检验杂志\",\"volume\":\"68 1\",\"pages\":\"29-36\"},\"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3-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临床检验杂志\",\"FirstCategoryId\":\"3\",\"ListUrlMain\":\"https://doi.org/10.15324/KJCLS.2018.50.1.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临床检验杂志","FirstCategoryId":"3","ListUrlMain":"https://doi.org/10.15324/KJCLS.2018.50.1.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摘要

两种形态真菌在自然环境或培养基上接种,室温(25 ~ 30°C)培养,具有形成菌丝体的特性;在体温或高温(35 ~ 37°C)培养,具有酵母形态的特性。这些真菌只发生在地方病地区,会引起全身感染,侵入组织或器官引起深部真菌症。迄今为止,人类感染的两种真菌分别为Blastomyces dermatitidis, Coccidioides immitis, Sporothrix schenkii,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Histoplasma capsulatum。Paracoccidioides brasiliensis六种菌种。迄今为止,从海外流入并报告到国内的两种形态真菌,分别有Coccidioides immitis 18例、Histoplasma capsulatum 5例、Blastomyces dermatitidis 3例、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4例,共30例。在没有访问流行地区经验的情况下,国内发生的情况有,C. immitis 3例、H. capsulatum 2例、B. dermatitidis 1例、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1例。除sporothrix schenkii以外的所有两种形式真菌在国内都不发生,外国的特定国家和只在限定的地区发生的病引起的土著真菌,但流行地区的旅游经验或号脚地区的移民流入居民的回国和国内的考虑到外国人的增加趋势,海外流入感染症的发生将逐渐增加饲料。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Study on Imported Case Dimorphic Fung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 in Korea
두 형태 진균은 자연환경이나 배지에 접종하여 실온에(25∼30°C)에서 배양하면 균사체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체온이나 높은 온도(35∼37°C)에서 배양을 하면 효모형태를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풍토병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이들은 전신감염을 일으키며, 조직이나 기관에 침입하여 심부 진균 증을 일으키는 원인 진균이다. 사람에 감염되는 두 형태 진균은 지금까지 Blastomyces dermatitidis, Coccidioides immitis, Sporothrix schenkii,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Histoplasma capsulatum, 그리고, 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여섯 균종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해외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보고된 두 형태 진균은 Coccidioides immitis가 18예, Histoplasma capsulatum이 5예, Blastomyces dermatitidis가 3예, 그리고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가 4예로 모두 30예의 두 형태 진균이 보고되었다. 유행지역의 방문경험이 없음에도 국내에 발생된 경우는 C. immitis가 3예, H. capsulatum이 2예, B. dermatitidis가 1예, 그리고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가 1예로 있다. Sporothrix schenkii 를 제외한 모든 두 형태 진균이 국내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외국의 특정 국가와 한정된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풍토병 원인의 토착 진균이지만, 유행 지역의 여행 경험이나 호발 지역의 이민 거주자들의 귀국과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의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해외유입 감염증의 발생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10649
期刊介绍: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