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g-Ha Kim, Sung-Bae Park, Heechul Park, Jun Seong Kim, Jungho Kim, Jiyoung Lee, Jaewon Lim, Young Kwon Kim, Sunghyun Kim
{"title":"患者鼻腔耐甲氧西林金黄色葡萄球菌分子分型研究","authors":"Sang-Ha Kim, Sung-Bae Park, Heechul Park, Jun Seong Kim, Jungho Kim, Jiyoung Lee, Jaewon Lim, Young Kwon Kim, Sunghyun Kim","doi":"10.15324/kjcls.2020.52.2.12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총 39건의 MRSA 분리 배양 균주를 이용해 mecA 유전자 검출,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임상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MRSA 총 39주 중 SCCmec type-II가 24건, type-II/IVa가 2건, type-II/V가 1건, type-IVa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분석되었으며, mec complex type A가 29건, not-typeable이 10건이었으며, type B는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된 MRSA 분리 배양 균주 중 SCCmec type-II와 mec complex type A 아형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결과는 의료기관 획득 MRSA에 관한 다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후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배양된 not-typeable 아형의 MRSA 균주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MRSA 아형 규명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MRSA 분리 배양 균주의 아형을 분석함으로써 그 분자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10080,"journal":{"name":"临床检验杂志","volume":"16 1","pages":"128-135"},"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olecular Subtyp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Nasal Cavity\",\"authors\":\"Sang-Ha Kim, Sung-Bae Park, Heechul Park, Jun Seong Kim, Jungho Kim, Jiyoung Lee, Jaewon Lim, Young Kwon Kim, Sunghyun Kim\",\"doi\":\"10.15324/kjcls.2020.52.2.12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총 39건의 MRSA 분리 배양 균주를 이용해 mecA 유전자 검출,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임상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MRSA 총 39주 중 SCCmec type-II가 24건, type-II/IVa가 2건, type-II/V가 1건, type-IVa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분석되었으며, mec complex type A가 29건, not-typeable이 10건이었으며, type B는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된 MRSA 분리 배양 균주 중 SCCmec type-II와 mec complex type A 아형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결과는 의료기관 획득 MRSA에 관한 다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후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배양된 not-typeable 아형의 MRSA 균주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MRSA 아형 규명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MRSA 분리 배양 균주의 아형을 분석함으로써 그 분자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10080,\"journal\":{\"name\":\"临床检验杂志\",\"volume\":\"16 1\",\"pages\":\"128-135\"},\"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临床检验杂志\",\"FirstCategoryId\":\"3\",\"ListUrlMain\":\"https://doi.org/10.15324/kjcls.2020.52.2.12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临床检验杂志","FirstCategoryId":"3","ListUrlMain":"https://doi.org/10.15324/kjcls.2020.52.2.12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试图利用从患者鼻腔分离培养的共39个MRSA分离培养菌株,分析mecA基因检测、SCCmec typing和mec complex typing。从临床患者鼻腔中分离培养的MRSA共39周中,SCCmec type-II为24件,type-II/IVa为2件,type-II/V为1件,type-IVa为1件,not-typeable为11件,mec complex type A为29件,not-typeable为10件,没有type B。结论是,在患者鼻腔分离的MRSA分离培养菌株中,SCCmec type-II和mec complex type A亚型的分布最多,这一结果与其他医疗机构获得的MRSA研究结果相似。以后患者的鼻腔分离培养的not - typeable亚型的mrsa菌株为对象,在国内发现的关于查明新的mrsa亚型不但需要后续研究,mrsa菌株的分离培养,分析了型,它的分子特性进行分析的结果为基础,为医院感染管理提供基础资料的饲料。
Molecular Subtyp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Nasal Cavity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총 39건의 MRSA 분리 배양 균주를 이용해 mecA 유전자 검출,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임상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MRSA 총 39주 중 SCCmec type-II가 24건, type-II/IVa가 2건, type-II/V가 1건, type-IVa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분석되었으며, mec complex type A가 29건, not-typeable이 10건이었으며, type B는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된 MRSA 분리 배양 균주 중 SCCmec type-II와 mec complex type A 아형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결과는 의료기관 획득 MRSA에 관한 다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후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배양된 not-typeable 아형의 MRSA 균주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MRSA 아형 규명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MRSA 분리 배양 균주의 아형을 분석함으로써 그 분자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