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大学生体脂与血脂浓度的关系","authors":"이 준호","doi":"10.15324/KJCLS.2017.49.3.23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지방률과 혈청 지질 수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W대학에 재학중인 남자 15명 여자 46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체지방률, 혈액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체지방률을 InBody 제조사 guideline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1군 남자의 비율은 26.7%, 여자의 비율은 10.9%였다. 세 그룹에서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신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는 세 그룹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헤모글로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여자에서는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 레스테롤, 알라닌전이효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남녀 모두 각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지방 비율은 BMI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체중, 총콜레스테롤, LDL-C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또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인 총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총콜레스테롤을 종속변수로 하고 BMI, 체지방률, 헤모글로빈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체지방률과 혈청 지질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PeriodicalId":10080,"journal":{"name":"临床检验杂志","volume":"230 1","pages":"233-23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The Association between Total Body Fat and Serum Lipids Concentrations in College Students\",\"authors\":\"이 준호\",\"doi\":\"10.15324/KJCLS.2017.49.3.23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지방률과 혈청 지질 수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W대학에 재학중인 남자 15명 여자 46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체지방률, 혈액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체지방률을 InBody 제조사 guideline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1군 남자의 비율은 26.7%, 여자의 비율은 10.9%였다. 세 그룹에서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신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는 세 그룹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헤모글로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여자에서는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 레스테롤, 알라닌전이효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남녀 모두 각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지방 비율은 BMI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체중, 총콜레스테롤, LDL-C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또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인 총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총콜레스테롤을 종속변수로 하고 BMI, 체지방률, 헤모글로빈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체지방률과 혈청 지질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PeriodicalId\":10080,\"journal\":{\"name\":\"临床检验杂志\",\"volume\":\"230 1\",\"pages\":\"233-23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临床检验杂志\",\"FirstCategoryId\":\"3\",\"ListUrlMain\":\"https://doi.org/10.15324/KJCLS.2017.49.3.2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临床检验杂志","FirstCategoryId":"3","ListUrlMain":"https://doi.org/10.15324/KJCLS.2017.49.3.2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Association between Total Body Fat and Serum Lipids Concentrations in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지방률과 혈청 지질 수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W대학에 재학중인 남자 15명 여자 46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체지방률, 혈액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체지방률을 InBody 제조사 guideline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1군 남자의 비율은 26.7%, 여자의 비율은 10.9%였다. 세 그룹에서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신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는 세 그룹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헤모글로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여자에서는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 레스테롤, 알라닌전이효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남녀 모두 각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지방 비율은 BMI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체중, 총콜레스테롤, LDL-C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또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인 총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총콜레스테롤을 종속변수로 하고 BMI, 체지방률, 헤모글로빈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체지방률과 혈청 지질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