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Firelabend 的交互式 Solfege 音乐教学法--12 个教学实践步骤","authors":"Dong-Ju Cha","doi":"10.30775/kmes.53.1.23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음악 교육 분야에 그동안 소개되지 않았던 John M. Feierabend의 Conversational Solfège (CS) 교수법을 이론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CS 교수법을 구성하는 12단계 구성요소를 소개하고, 연구자의 수업을 실제 적용 사례로 들어 학교현장에서 가창 수업 시 활용할 수 있는 지도 전략과 학습활동 전개 방식을 구체화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CS 교수법은 학습자의 내청 능력과 청각적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음악적 문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반복적이고 계열성 있는 교육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체계적으로 음악과 개념 학습을 할 수 있다. 셋째, 놀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지식의 전이가 가능하다. 넷째, 저학년 가창 제재곡 선정 시 학습자의 적정 음역대를 고려하여 바장조 악곡부터 학습하는 것이 권장된다. 한국의 초,중등 음악교사들이 가창 제재곡을 선정할 때 본 연구에서 소개한 CS 음악 교수법을 바탕으로 음악과 교수 학습 맥락에 맞는 체계적인 학습을 설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388708,"journ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volume":"1975 10","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4-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파이어라벤드의 대화식 솔페지 음악교수법 - 12단계의 원리와 교수 학습 방법의 실제 -\",\"authors\":\"Dong-Ju Cha\",\"doi\":\"10.30775/kmes.53.1.23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음악 교육 분야에 그동안 소개되지 않았던 John M. Feierabend의 Conversational Solfège (CS) 교수법을 이론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CS 교수법을 구성하는 12단계 구성요소를 소개하고, 연구자의 수업을 실제 적용 사례로 들어 학교현장에서 가창 수업 시 활용할 수 있는 지도 전략과 학습활동 전개 방식을 구체화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CS 교수법은 학습자의 내청 능력과 청각적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음악적 문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반복적이고 계열성 있는 교육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체계적으로 음악과 개념 학습을 할 수 있다. 셋째, 놀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지식의 전이가 가능하다. 넷째, 저학년 가창 제재곡 선정 시 학습자의 적정 음역대를 고려하여 바장조 악곡부터 학습하는 것이 권장된다. 한국의 초,중등 음악교사들이 가창 제재곡을 선정할 때 본 연구에서 소개한 CS 음악 교수법을 바탕으로 음악과 교수 학습 맥락에 맞는 체계적인 학습을 설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388708,\"journ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volume\":\"1975 10\",\"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4-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775/kmes.53.1.23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775/kmes.53.1.23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음악 교육 분야에 그동안 소개되지 않았던 John M. Feierabend의 Conversational Solfège (CS) 교수법을 이론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CS 교수법을 구성하는 12단계 구성요소를 소개하고, 연구자의 수업을 실제 적용 사례로 들어 학교현장에서 가창 수업 시 활용할 수 있는 지도 전략과 학습활동 전개 방식을 구체화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CS 교수법은 학습자의 내청 능력과 청각적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음악적 문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반복적이고 계열성 있는 교육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체계적으로 음악과 개념 학습을 할 수 있다. 셋째, 놀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지식의 전이가 가능하다. 넷째, 저학년 가창 제재곡 선정 시 학습자의 적정 음역대를 고려하여 바장조 악곡부터 학습하는 것이 권장된다. 한국의 초,중등 음악교사들이 가창 제재곡을 선정할 때 본 연구에서 소개한 CS 음악 교수법을 바탕으로 음악과 교수 학습 맥락에 맞는 체계적인 학습을 설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