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从教学角度看印度尼西亚爵士乐界--资深音乐家与年轻音乐家之间的交流。","authors":"유디 수크마야디 f, 리안 히다야툴라 f","doi":"10.30775/kmes.52.4.8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베테랑 재즈 뮤지션과 젊은 뮤지션의 상호작용에 대한 람풍 재즈 커뮤니티의 교육적 관점을 밝히고자 한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재즈 커뮤니티는 비공식적인 환경에서 사회를 위한 학습 기관으로 간주된다. 이 연구는 2017년에서 2021년 사이에 Lampung 재즈 서클의 몰입형 현장 작업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민족지학적 현장 작업을 사용하였다. 베테랑 음악가, 음악 학자 및 신인 연주자로부터 수집한 직접 데이터 수집 외에도 현장 사이트와 앱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상호 재즈 지식을 증가시키는 데 필수적인 열쇠가 비공식적인 상호 작용과 의사 소통임을 보여준다. 또한 재즈 커뮤니티는 재즈의 전통을 지키기보다 사회적 이슈 등 음악적 실천에 대한 다양성의 정신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PeriodicalId":388708,"journ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volume":"126 43","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인도네시아 재즈 커뮤니티에 대한 교육학적 견해 - 베테랑과 젊은 뮤지션의 교류 -\",\"authors\":\"유디 수크마야디 f, 리안 히다야툴라 f\",\"doi\":\"10.30775/kmes.52.4.8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베테랑 재즈 뮤지션과 젊은 뮤지션의 상호작용에 대한 람풍 재즈 커뮤니티의 교육적 관점을 밝히고자 한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재즈 커뮤니티는 비공식적인 환경에서 사회를 위한 학습 기관으로 간주된다. 이 연구는 2017년에서 2021년 사이에 Lampung 재즈 서클의 몰입형 현장 작업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민족지학적 현장 작업을 사용하였다. 베테랑 음악가, 음악 학자 및 신인 연주자로부터 수집한 직접 데이터 수집 외에도 현장 사이트와 앱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상호 재즈 지식을 증가시키는 데 필수적인 열쇠가 비공식적인 상호 작용과 의사 소통임을 보여준다. 또한 재즈 커뮤니티는 재즈의 전통을 지키기보다 사회적 이슈 등 음악적 실천에 대한 다양성의 정신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PeriodicalId\":388708,\"journ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volume\":\"126 43\",\"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775/kmes.52.4.8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775/kmes.52.4.8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이 글은 베테랑 재즈 뮤지션과 젊은 뮤지션의 상호작용에 대한 람풍 재즈 커뮤니티의 교육적 관점을 밝히고자 한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재즈 커뮤니티는 비공식적인 환경에서 사회를 위한 학습 기관으로 간주된다. 이 연구는 2017년에서 2021년 사이에 Lampung 재즈 서클의 몰입형 현장 작업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민족지학적 현장 작업을 사용하였다. 베테랑 음악가, 음악 학자 및 신인 연주자로부터 수집한 직접 데이터 수집 외에도 현장 사이트와 앱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상호 재즈 지식을 증가시키는 데 필수적인 열쇠가 비공식적인 상호 작용과 의사 소통임을 보여준다. 또한 재즈 커뮤니티는 재즈의 전통을 지키기보다 사회적 이슈 등 음악적 실천에 대한 다양성의 정신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