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英美社会保障申诉程序的比较研究","authors":"Woo Kyung Park","doi":"10.35979/alj.2023.08.71.54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영국과 미국의 사회보장사건 구제절차를 소개하는 것을 1차적인 목표로 한다. 영국과 미국은 사회보장법적 분쟁을 원칙적으로 행정적 구제절차를 담당하는 행정심판기관에서 심사하여 결정하고 법원은 이를 제한적으로 관할하는 유형에 속한다.BR 사회보장사건에서의 권리구제는 관련법이 복잡하고 방대할 뿐 아니라 개정도 잦아 전문가도 그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다툼의 대상이 되는 행정결정은 당사자의 장기적인 법률관계를 결정짓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의 경제생활에 장기간 영향을 미친다. 사회보장사건의 당사자는 이렇게 생존이 달린 문제를 놓고 다투기도 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사회적 보호가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는 방식은 국가마다 상이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행정적 구제절차가 상대적으로 강화되어 있는 영국과 미국의 법제를 살펴보았고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BR 영국의 경우, 2007년 행정심판제도 개혁으로 행정심판의 창구를 일원화하였고, 2011년에는 ‘법원 및 행정심판 사무국’(Her Majesty","PeriodicalId":472518,"journal":{"name":"Haengjeongbeob yeon'gu","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UK and US Social Security Appeals Process in Comparative Perspective\",\"authors\":\"Woo Kyung Park\",\"doi\":\"10.35979/alj.2023.08.71.54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영국과 미국의 사회보장사건 구제절차를 소개하는 것을 1차적인 목표로 한다. 영국과 미국은 사회보장법적 분쟁을 원칙적으로 행정적 구제절차를 담당하는 행정심판기관에서 심사하여 결정하고 법원은 이를 제한적으로 관할하는 유형에 속한다.BR 사회보장사건에서의 권리구제는 관련법이 복잡하고 방대할 뿐 아니라 개정도 잦아 전문가도 그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다툼의 대상이 되는 행정결정은 당사자의 장기적인 법률관계를 결정짓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의 경제생활에 장기간 영향을 미친다. 사회보장사건의 당사자는 이렇게 생존이 달린 문제를 놓고 다투기도 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사회적 보호가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는 방식은 국가마다 상이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행정적 구제절차가 상대적으로 강화되어 있는 영국과 미국의 법제를 살펴보았고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BR 영국의 경우, 2007년 행정심판제도 개혁으로 행정심판의 창구를 일원화하였고, 2011년에는 ‘법원 및 행정심판 사무국’(Her Majesty\",\"PeriodicalId\":472518,\"journal\":{\"name\":\"Haengjeongbeob yeon'gu\",\"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engjeongbeob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979/alj.2023.08.71.54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engjeongbeob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979/alj.2023.08.71.54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UK and US Social Security Appeals Process in Comparative Perspective
이 글은 영국과 미국의 사회보장사건 구제절차를 소개하는 것을 1차적인 목표로 한다. 영국과 미국은 사회보장법적 분쟁을 원칙적으로 행정적 구제절차를 담당하는 행정심판기관에서 심사하여 결정하고 법원은 이를 제한적으로 관할하는 유형에 속한다.BR 사회보장사건에서의 권리구제는 관련법이 복잡하고 방대할 뿐 아니라 개정도 잦아 전문가도 그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다툼의 대상이 되는 행정결정은 당사자의 장기적인 법률관계를 결정짓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의 경제생활에 장기간 영향을 미친다. 사회보장사건의 당사자는 이렇게 생존이 달린 문제를 놓고 다투기도 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사회적 보호가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는 방식은 국가마다 상이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행정적 구제절차가 상대적으로 강화되어 있는 영국과 미국의 법제를 살펴보았고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BR 영국의 경우, 2007년 행정심판제도 개혁으로 행정심판의 창구를 일원화하였고, 2011년에는 ‘법원 및 행정심판 사무국’(Her Maje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