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通过人类动物学探索宠物包容旅游和住宿:韩英比较分析","authors":"Miju Choi","doi":"10.31667/jhts.2023.08.10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동물학 관점에서 한국과 영국의 반려동물 동반 관광 및 호텔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세부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이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되는 차이를 비교·분석한다. 둘째, 반려동물 동반 여행 및 호텔 숙박 준비 및 경험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이러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연구한다. 셋째, 각 문화권의 사회문화적 및 제도적 틀이 반려동물 동반 여행 및 호텔 숙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미세 민족지학을 바탕으로 한 질적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관찰법 및 개별 심층 인터뷰를 결합하였다. 관찰 장소로는 한국의 강릉과 영국 콘월의 반려견 친화 호텔, 음식점, 및 박물관을 선택하였다. 이어서 개별 심층 인터뷰는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으며, 1박 이상 숙박을 포함한 국내 여행을 한 경험이 있는 22명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제 분석법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반려동물의 역할’, ‘여행의 중심: 반려동물 vs. 반려인’, ‘여행 만족도 요인: 반려동물 vs. 반려인’, ‘반려동물 관련 정책에 대한 다른 태도’. 주요 결과로는 한국의 경우, 반려동물의 편안함과 즐거움이 여행의 주된 목표이며, 이를 위해 반려동물 친화적인 여행 목적지와 숙소를 선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영국에서의 여행은 대부분 반려인의 선호와 관심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각 국가의 문화적 배경, 가치관, 그리고 반려동물에 대한 정책과 규제로 형성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제적인 관점에서 반려동물 동반 여행 서비스의 개선에 대한 중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며, 이는 반려동물을 동반한 여행의 만족도 향상 및 관련 산업의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29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xploring pet-inclusive tourism and accommodation through anthrozoology: a Korea-UK comparative analysis\",\"authors\":\"Miju Choi\",\"doi\":\"10.31667/jhts.2023.08.10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동물학 관점에서 한국과 영국의 반려동물 동반 관광 및 호텔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세부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이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되는 차이를 비교·분석한다. 둘째, 반려동물 동반 여행 및 호텔 숙박 준비 및 경험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이러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연구한다. 셋째, 각 문화권의 사회문화적 및 제도적 틀이 반려동물 동반 여행 및 호텔 숙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미세 민족지학을 바탕으로 한 질적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관찰법 및 개별 심층 인터뷰를 결합하였다. 관찰 장소로는 한국의 강릉과 영국 콘월의 반려견 친화 호텔, 음식점, 및 박물관을 선택하였다. 이어서 개별 심층 인터뷰는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으며, 1박 이상 숙박을 포함한 국내 여행을 한 경험이 있는 22명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제 분석법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반려동물의 역할’, ‘여행의 중심: 반려동물 vs. 반려인’, ‘여행 만족도 요인: 반려동물 vs. 반려인’, ‘반려동물 관련 정책에 대한 다른 태도’. 주요 결과로는 한국의 경우, 반려동물의 편안함과 즐거움이 여행의 주된 목표이며, 이를 위해 반려동물 친화적인 여행 목적지와 숙소를 선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영국에서의 여행은 대부분 반려인의 선호와 관심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각 국가의 문화적 배경, 가치관, 그리고 반려동물에 대한 정책과 규제로 형성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제적인 관점에서 반려동물 동반 여행 서비스의 개선에 대한 중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며, 이는 반려동물을 동반한 여행의 만족도 향상 및 관련 산업의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29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8.10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8.10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Exploring pet-inclusive tourism and accommodation through anthrozoology: a Korea-UK comparative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동물학 관점에서 한국과 영국의 반려동물 동반 관광 및 호텔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세부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이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되는 차이를 비교·분석한다. 둘째, 반려동물 동반 여행 및 호텔 숙박 준비 및 경험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이러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연구한다. 셋째, 각 문화권의 사회문화적 및 제도적 틀이 반려동물 동반 여행 및 호텔 숙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미세 민족지학을 바탕으로 한 질적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관찰법 및 개별 심층 인터뷰를 결합하였다. 관찰 장소로는 한국의 강릉과 영국 콘월의 반려견 친화 호텔, 음식점, 및 박물관을 선택하였다. 이어서 개별 심층 인터뷰는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으며, 1박 이상 숙박을 포함한 국내 여행을 한 경험이 있는 22명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제 분석법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반려동물의 역할’, ‘여행의 중심: 반려동물 vs. 반려인’, ‘여행 만족도 요인: 반려동물 vs. 반려인’, ‘반려동물 관련 정책에 대한 다른 태도’. 주요 결과로는 한국의 경우, 반려동물의 편안함과 즐거움이 여행의 주된 목표이며, 이를 위해 반려동물 친화적인 여행 목적지와 숙소를 선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영국에서의 여행은 대부분 반려인의 선호와 관심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각 국가의 문화적 배경, 가치관, 그리고 반려동물에 대한 정책과 규제로 형성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제적인 관점에서 반려동물 동반 여행 서비스의 개선에 대한 중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며, 이는 반려동물을 동반한 여행의 만족도 향상 및 관련 산업의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