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Method and its Meaning in Guuisajeon (九义士传)

Yomoon Yoo
{"title":"Characterization Method and its Meaning in Guuisajeon (九义士传)","authors":"Yomoon Yoo","doi":"10.33253/gohan.2023.40.36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조선후기 김평묵의 <구의사전>을 통해 당시 명 유민을 그려내는 방식과 그 효과 및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의사는 효종이 봉림대군 시절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 있을 때 함께 조선으로 내려온 9명의 명 유민을 일컫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구의사전>을 화이론에 입각한 위정척사론의 전개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그간의 연구가 화서학파의 표피적 이미지만을 가져와 해석한 결과물이라 판단했다. 따라서 이 글은 <구의사전>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김평묵과 당시 화서학파 의 맥락과 아울러 ‘전(傳)’ 내부의 미시적인 서술기법을 파악해 보았다. 구의사에 대한 기록은 몹시 방대하지만, 성해응의 황명유민전에서는 존주론을 위 해, 왕덕구의 황조유민록에서는 일민 의식을 지향하는 면모가 강하게 드러나며, 특히 왕덕구는 주변 인물인 효종의 회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의사의 일민 의식을 강조 하는 전략을 취했다. 김평묵의 <구의사전>에는 이전 기록들과 다르게 북벌론을 주도하 는 효종의 모습이나 노론과 남인에 대한 서사가 개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을 띠게 된 까닭은 노론의 정통이 화서학파임을 알리는 동시에, 매산 학파의 이단 논쟁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내수외양을 선전하는 수단으로 효종과 척화신들을 활용함으로써 척사론의 담론을 주도하는 화서학파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다시 말해 <구의사전>은 김평묵이 살던 19세기 말 조선 사회를 환유한다는 점인데, 효종의 적극성은 당시 군주(고종)의 내수외양에 대한 강조를, 척화신의 영웅성은 화서학파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서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당시 정 치적 생존 노선과 정치적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한 김평묵의 의도가 내재해 있다. 결론적 으로 <구의사전>은 단순한 이념적 테스트가 아닌 정치적 텍스트로 읽어야 한다.","PeriodicalId":472276,"journal":{"name":"Go'jeon gwa haeseog","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Characterization Method and its Meaning in Guuisajeon (九義士傳)\",\"authors\":\"Yomoon Yoo\",\"doi\":\"10.33253/gohan.2023.40.36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조선후기 김평묵의 <구의사전>을 통해 당시 명 유민을 그려내는 방식과 그 효과 및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의사는 효종이 봉림대군 시절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 있을 때 함께 조선으로 내려온 9명의 명 유민을 일컫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구의사전>을 화이론에 입각한 위정척사론의 전개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그간의 연구가 화서학파의 표피적 이미지만을 가져와 해석한 결과물이라 판단했다. 따라서 이 글은 <구의사전>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김평묵과 당시 화서학파 의 맥락과 아울러 ‘전(傳)’ 내부의 미시적인 서술기법을 파악해 보았다. 구의사에 대한 기록은 몹시 방대하지만, 성해응의 황명유민전에서는 존주론을 위 해, 왕덕구의 황조유민록에서는 일민 의식을 지향하는 면모가 강하게 드러나며, 특히 왕덕구는 주변 인물인 효종의 회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의사의 일민 의식을 강조 하는 전략을 취했다. 김평묵의 <구의사전>에는 이전 기록들과 다르게 북벌론을 주도하 는 효종의 모습이나 노론과 남인에 대한 서사가 개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을 띠게 된 까닭은 노론의 정통이 화서학파임을 알리는 동시에, 매산 학파의 이단 논쟁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내수외양을 선전하는 수단으로 효종과 척화신들을 활용함으로써 척사론의 담론을 주도하는 화서학파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다시 말해 <구의사전>은 김평묵이 살던 19세기 말 조선 사회를 환유한다는 점인데, 효종의 적극성은 당시 군주(고종)의 내수외양에 대한 강조를, 척화신의 영웅성은 화서학파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서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당시 정 치적 생존 노선과 정치적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한 김평묵의 의도가 내재해 있다. 결론적 으로 <구의사전>은 단순한 이념적 테스트가 아닌 정치적 텍스트로 읽어야 한다.\",\"PeriodicalId\":472276,\"journal\":{\"name\":\"Go'jeon gwa haeseog\",\"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jeon gwa haeseo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3/gohan.2023.40.3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jeon gwa haeseo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3/gohan.2023.40.3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篇文章的目的是通过朝鲜后期的金平默义,探索描绘当时名游民的方式和其效果及意图是什么。九宜寺是指孝宗在奉林大君时期被清朝绑架为人质时,一起来到朝鲜的9名名游民。现有的研究认为,“乙”是立足于和和论的扶正斥邪论的展开。但笔者认为,这段时间的研究是只带来华西学派的表面形象进行解释的结果。因此,为了完全理解这篇文章,我们掌握了金平墨和当时华西学派的脉络以及“传”内部的微观叙述手法。对区的史记录是很庞大,但是好用,嗯黄明刘敏在前约翰周论为王德邱的黄条,刘敏在摇滚向往一民意识的面貌,尤其强烈地王德邱周边人物的孝宗的积极运用怀柔区的公司一民意识,强调采取了战略。《金平默义》与以前的记录不同,介入了主导北伐论的孝宗的形象和对老论和南人的叙事。之所以出现这种现象,是为了告知老论的正统是华西学派,同时也是为了摆脱梅山学派的异端争论。而且,作为宣传内需外表的手段,利用孝宗和斥和臣,体现了主导斥史论讨论的华西学派的形象。换句话说,《阿里郎》描写了金平默生活的19世纪末的朝鲜社会。孝宗的积极性强调了当时君主(高宗)的内需外表,斥和臣的英雄性强调了华西学派自身的认同感。因此,其中包含了当时为了获得政治上的生存路线和政治主导权的金平默的意图。从结论上看,《东亚日报》不应该是单纯的理念性测试,而应该读成政治文本。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Characterization Method and its Meaning in Guuisajeon (九義士傳)
이 글은 조선후기 김평묵의 <구의사전>을 통해 당시 명 유민을 그려내는 방식과 그 효과 및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의사는 효종이 봉림대군 시절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 있을 때 함께 조선으로 내려온 9명의 명 유민을 일컫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구의사전>을 화이론에 입각한 위정척사론의 전개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그간의 연구가 화서학파의 표피적 이미지만을 가져와 해석한 결과물이라 판단했다. 따라서 이 글은 <구의사전>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김평묵과 당시 화서학파 의 맥락과 아울러 ‘전(傳)’ 내부의 미시적인 서술기법을 파악해 보았다. 구의사에 대한 기록은 몹시 방대하지만, 성해응의 황명유민전에서는 존주론을 위 해, 왕덕구의 황조유민록에서는 일민 의식을 지향하는 면모가 강하게 드러나며, 특히 왕덕구는 주변 인물인 효종의 회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의사의 일민 의식을 강조 하는 전략을 취했다. 김평묵의 <구의사전>에는 이전 기록들과 다르게 북벌론을 주도하 는 효종의 모습이나 노론과 남인에 대한 서사가 개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을 띠게 된 까닭은 노론의 정통이 화서학파임을 알리는 동시에, 매산 학파의 이단 논쟁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내수외양을 선전하는 수단으로 효종과 척화신들을 활용함으로써 척사론의 담론을 주도하는 화서학파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다시 말해 <구의사전>은 김평묵이 살던 19세기 말 조선 사회를 환유한다는 점인데, 효종의 적극성은 당시 군주(고종)의 내수외양에 대한 강조를, 척화신의 영웅성은 화서학파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서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당시 정 치적 생존 노선과 정치적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한 김평묵의 의도가 내재해 있다. 결론적 으로 <구의사전>은 단순한 이념적 테스트가 아닌 정치적 텍스트로 읽어야 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