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Authorship Estimation and Feature of YuGwanDongRok (游关东录)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yeongAmJip (明庵集) and GwanDongRok (关东录)

Se-Yeon Kim
{"title":"Study On Authorship Estimation and Feature of YuGwanDongRok (游关东录)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yeongAmJip (明庵集) and GwanDongRok (关东录)","authors":"Se-Yeon Kim","doi":"10.33253/gohan.2023.40.19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明庵集』 <關東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遊關東錄』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A172228])의 작자와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관동록』 은 1727년 1월 20일부터 약 5개월 간 금강산을 유람한 1책의 필사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작품 내 정보를 근거로 『유관동록』 의 저자가 明庵 鄭栻(1683~1746)인 것을 확인하였다. 鄭栻은 청나라에 의해 명나라가 멸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과거를 포기하고 은둔하며 지낸 인물 이다. 정식은 1727년 진주에서 출발하여 경상도를 거쳐 금강산을 유람하였는데, 그의 또다른 금강산 유기 <관동록>에서 언급한 『관동일록이 바로 『유관동록』 이다. 『유관동록』 특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자신이 드러내고자하는 금강산의 가치 판단을 다른 사람의 작품을 통해서 대신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정식은 풍경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그 뒤에 다른 사람의 표현을 통해 정식 자신이 느끼는 감상을 독자도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둘째, 와유를 위한 사적 기록을 다수 수록하였다. 정식은 선행자의 문학 작품이나 사적을 다수 인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와유록을 만들고자 했던 정식의 노력과 당시 유행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도서를 확인할 수 있다.","PeriodicalId":472276,"journal":{"name":"Go'jeon gwa haeseog","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Study On Authorship Estimation and Feature of YuGwanDongRok (遊關東錄)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yeongAmJip (明庵集) and GwanDongRok (關東錄)\",\"authors\":\"Se-Yeon Kim\",\"doi\":\"10.33253/gohan.2023.40.19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明庵集』 <關東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遊關東錄』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A172228])의 작자와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관동록』 은 1727년 1월 20일부터 약 5개월 간 금강산을 유람한 1책의 필사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작품 내 정보를 근거로 『유관동록』 의 저자가 明庵 鄭栻(1683~1746)인 것을 확인하였다. 鄭栻은 청나라에 의해 명나라가 멸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과거를 포기하고 은둔하며 지낸 인물 이다. 정식은 1727년 진주에서 출발하여 경상도를 거쳐 금강산을 유람하였는데, 그의 또다른 금강산 유기 <관동록>에서 언급한 『관동일록이 바로 『유관동록』 이다. 『유관동록』 특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자신이 드러내고자하는 금강산의 가치 판단을 다른 사람의 작품을 통해서 대신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정식은 풍경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그 뒤에 다른 사람의 표현을 통해 정식 자신이 느끼는 감상을 독자도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둘째, 와유를 위한 사적 기록을 다수 수록하였다. 정식은 선행자의 문학 작품이나 사적을 다수 인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와유록을 만들고자 했던 정식의 노력과 당시 유행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도서를 확인할 수 있다.\",\"PeriodicalId\":472276,\"journal\":{\"name\":\"Go'jeon gwa haeseog\",\"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jeon gwa haeseo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3/gohan.2023.40.19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jeon gwa haeseo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3/gohan.2023.40.19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篇论文以与《明庵集》的关系为中心,以阐明《行关东麓》(启明大学东山图书馆所长[A172228])的作者和特征为目的。《柳宽东录》是从1727年1月20日开始在金刚山游览约5个月的第一册的手抄本。本论文在作品内信息为根据《有关登记》的作者明边砍人栻(1683年至1746)进行了确认。人栻被清朝,明朝灭亡了的消息后,放弃过去,以隐居相处的人物。正式在1727年珍珠出发,途经庆尚道金刚山,游览了一下,他的另一个有机所说的《关东日录就是《有关登记》。《柳宽东录》的特征大致有两种。第一,使用了通过别人的作品代替传达自己想要展现的金刚山价值判断的方式。正植详细描写了风景,之后通过别人的表现,使读者也能产生自己的感想。第二,收录了多项关于卧游的历史记录。正植引用了很多先行者的文学作品和史迹,通过这些可以确认正植想要制作《卧游录》的努力和推测当时流行的图书。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Study On Authorship Estimation and Feature of YuGwanDongRok (遊關東錄)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yeongAmJip (明庵集) and GwanDongRok (關東錄)
이 논문은 『明庵集』 <關東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遊關東錄』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A172228])의 작자와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관동록』 은 1727년 1월 20일부터 약 5개월 간 금강산을 유람한 1책의 필사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작품 내 정보를 근거로 『유관동록』 의 저자가 明庵 鄭栻(1683~1746)인 것을 확인하였다. 鄭栻은 청나라에 의해 명나라가 멸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과거를 포기하고 은둔하며 지낸 인물 이다. 정식은 1727년 진주에서 출발하여 경상도를 거쳐 금강산을 유람하였는데, 그의 또다른 금강산 유기 <관동록>에서 언급한 『관동일록이 바로 『유관동록』 이다. 『유관동록』 특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자신이 드러내고자하는 금강산의 가치 판단을 다른 사람의 작품을 통해서 대신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정식은 풍경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그 뒤에 다른 사람의 표현을 통해 정식 자신이 느끼는 감상을 독자도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둘째, 와유를 위한 사적 기록을 다수 수록하였다. 정식은 선행자의 문학 작품이나 사적을 다수 인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와유록을 만들고자 했던 정식의 노력과 당시 유행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도서를 확인할 수 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