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Guān [j]关于中韩诗经研究的“招募圣人”假说:以一种汇集近代前后研究的方式","authors":"you-bin Hong","doi":"10.33253/gohan.2023.40.325","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근대 이전과 이후에 있었던 ‘「關雎」求賢詩說’에 대한 韓·中 詩經學 입론의 양상 을 검토한 논문이다. 관련된 학자들의 설들을 돌아본바 ‘「관저」구현시설’을 제기한 학자들 의 설에서 이 시를 구현시로 보는 나름의 논리와 근거가 갖추어져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관저」구현시설’을 제기한 학자들의 경우 특별한 영향 관계나 사승 관계 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한 까닭에 근대 이전과 이후의 학자들의 이론이 서로 중복되는 경 향이 발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자들 개개인이 나름의 고민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구현시설을 정립해 나갔기에, 각자가 가진 이론의 독자성 및 독창성이 드러난 부분도 있었 다. 이번에 이루어진 ‘「관저」구현시설’에 대한 정리를 통해, 해당 이론을 제기한 학자들의 논점과 근거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의미가 깊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관 저」구현시설’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통해 기존의 「관저」설이 가진 맹점들이 해소되는 점을 확인했으며, 오히려 구현시설로 볼 때 「관저」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한 것이다. 이에 앞으로도 구현시설과 관련된 韓·中 시경학계에서 진행되는 연구를 주 시한다면, 「관저」를 포함한 「국풍」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PeriodicalId":472276,"journal":{"name":"Go'jeon gwa haeseog","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recruiting sage’ hypotheses (求賢詩說) of Guān jū on Shijing studies in Korea and China : In a way that brings together research before and after modern times\",\"authors\":\"you-bin Hong\",\"doi\":\"10.33253/gohan.2023.40.325\",\"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근대 이전과 이후에 있었던 ‘「關雎」求賢詩說’에 대한 韓·中 詩經學 입론의 양상 을 검토한 논문이다. 관련된 학자들의 설들을 돌아본바 ‘「관저」구현시설’을 제기한 학자들 의 설에서 이 시를 구현시로 보는 나름의 논리와 근거가 갖추어져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관저」구현시설’을 제기한 학자들의 경우 특별한 영향 관계나 사승 관계 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한 까닭에 근대 이전과 이후의 학자들의 이론이 서로 중복되는 경 향이 발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자들 개개인이 나름의 고민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구현시설을 정립해 나갔기에, 각자가 가진 이론의 독자성 및 독창성이 드러난 부분도 있었 다. 이번에 이루어진 ‘「관저」구현시설’에 대한 정리를 통해, 해당 이론을 제기한 학자들의 논점과 근거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의미가 깊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관 저」구현시설’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통해 기존의 「관저」설이 가진 맹점들이 해소되는 점을 확인했으며, 오히려 구현시설로 볼 때 「관저」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한 것이다. 이에 앞으로도 구현시설과 관련된 韓·中 시경학계에서 진행되는 연구를 주 시한다면, 「관저」를 포함한 「국풍」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PeriodicalId\":472276,\"journal\":{\"name\":\"Go'jeon gwa haeseog\",\"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jeon gwa haeseo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3/gohan.2023.40.3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jeon gwa haeseo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3/gohan.2023.40.3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recruiting sage’ hypotheses (求賢詩說) of Guān jū on Shijing studies in Korea and China : In a way that brings together research before and after modern times
본고는 근대 이전과 이후에 있었던 ‘「關雎」求賢詩說’에 대한 韓·中 詩經學 입론의 양상 을 검토한 논문이다. 관련된 학자들의 설들을 돌아본바 ‘「관저」구현시설’을 제기한 학자들 의 설에서 이 시를 구현시로 보는 나름의 논리와 근거가 갖추어져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관저」구현시설’을 제기한 학자들의 경우 특별한 영향 관계나 사승 관계 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한 까닭에 근대 이전과 이후의 학자들의 이론이 서로 중복되는 경 향이 발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자들 개개인이 나름의 고민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구현시설을 정립해 나갔기에, 각자가 가진 이론의 독자성 및 독창성이 드러난 부분도 있었 다. 이번에 이루어진 ‘「관저」구현시설’에 대한 정리를 통해, 해당 이론을 제기한 학자들의 논점과 근거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의미가 깊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관 저」구현시설’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통해 기존의 「관저」설이 가진 맹점들이 해소되는 점을 확인했으며, 오히려 구현시설로 볼 때 「관저」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한 것이다. 이에 앞으로도 구현시설과 관련된 韓·中 시경학계에서 진행되는 연구를 주 시한다면, 「관저」를 포함한 「국풍」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