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殖民时期出版的《奉善本事志》的特点与意义

Kyeong-Hwo OH
{"title":"日本殖民时期出版的《奉善本事志》的特点与意义","authors":"Kyeong-Hwo OH","doi":"10.22253/jss.2023.8.65.173","DOIUrl":null,"url":null,"abstract":"『봉선본말사지』는 일제강점기 찬술된 봉선사와 소속 사찰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불교 탄압과 수탈을 고려한다면 의미 있는 일이었다. 사지는 근대학문의 도입과 한국불교가 지닌 정체성 확립을 위한 불교계의 노력 속에서 찬술되었다. 사지는 봉선사와 소속 사찰의 연혁·인물·보물·재산,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현황 등을 수록하였다. 찬술자 안진호가 직접 답사와 조사를 통해 찬술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는 기록이다. 사지는 단편적인 과거의 기록뿐만 아니라 수탈로 빼앗긴 사찰 재산의 동향까지도 기록하였다. 더욱이 사지 기록을 통해 왕실과 지배층이 약탈한 재산과 삼림을 회복하고자 진력하였다. 때문에 『봉선본말사지』는 일제강점기 불교계의 현주소와 과제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있는 기록물이다.","PeriodicalId":493444,"journal":{"name":"Journal of Seon Studies","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publication Bongseonbonmalsaji(奉先本末寺誌) of Japanese Colonial Period\",\"authors\":\"Kyeong-Hwo OH\",\"doi\":\"10.22253/jss.2023.8.65.173\",\"DOIUrl\":null,\"url\":null,\"abstract\":\"『봉선본말사지』는 일제강점기 찬술된 봉선사와 소속 사찰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불교 탄압과 수탈을 고려한다면 의미 있는 일이었다. 사지는 근대학문의 도입과 한국불교가 지닌 정체성 확립을 위한 불교계의 노력 속에서 찬술되었다. 사지는 봉선사와 소속 사찰의 연혁·인물·보물·재산,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현황 등을 수록하였다. 찬술자 안진호가 직접 답사와 조사를 통해 찬술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는 기록이다. 사지는 단편적인 과거의 기록뿐만 아니라 수탈로 빼앗긴 사찰 재산의 동향까지도 기록하였다. 더욱이 사지 기록을 통해 왕실과 지배층이 약탈한 재산과 삼림을 회복하고자 진력하였다. 때문에 『봉선본말사지』는 일제강점기 불교계의 현주소와 과제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있는 기록물이다.\",\"PeriodicalId\":493444,\"journal\":{\"name\":\"Journal of Seon Studies\",\"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Se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3/jss.2023.8.65.17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Se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3/jss.2023.8.65.17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奉仙本末寺址》介绍了日本帝国主义强占时期被赞颂的奉仙寺和所属寺庙的历史和文化。如果考虑到朝鲜时代对佛教的镇压和掠夺,这是有意义的事情。寺址在近大学文的引进和佛教界为确立韩国佛教所具有的整体性而努力的情况下得到了好评。《寺址》收录了奉仙寺和所属寺庙的沿革、人物、宝物、财产以及日本帝国主义强占时期的现状等。从“赞术者”安振浩亲自通过实地考察和调查赞术的情况看,这一记录更有意义。寺址不仅记录了片面的过去,还记录了被掠夺的寺庙财产的动向。他还试图通过四肢记录恢复王室和统治阶层掠夺的财产和森林。因此《奉仙本末寺址》在日帝强占期拥有佛教界的现状和课题,从这一点来看是有价值的记录物。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publication Bongseonbonmalsaji(奉先本末寺誌) of Japanese Colonial Period
『봉선본말사지』는 일제강점기 찬술된 봉선사와 소속 사찰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불교 탄압과 수탈을 고려한다면 의미 있는 일이었다. 사지는 근대학문의 도입과 한국불교가 지닌 정체성 확립을 위한 불교계의 노력 속에서 찬술되었다. 사지는 봉선사와 소속 사찰의 연혁·인물·보물·재산,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현황 등을 수록하였다. 찬술자 안진호가 직접 답사와 조사를 통해 찬술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는 기록이다. 사지는 단편적인 과거의 기록뿐만 아니라 수탈로 빼앗긴 사찰 재산의 동향까지도 기록하였다. 더욱이 사지 기록을 통해 왕실과 지배층이 약탈한 재산과 삼림을 회복하고자 진력하였다. 때문에 『봉선본말사지』는 일제강점기 불교계의 현주소와 과제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있는 기록물이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