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人文危机的诊断与韩国语言学的建议:关注研究对象、方法论、趋同与效用","authors":"JinHo Park","doi":"10.24185/sswuhr.2023.08.48.69","DOIUrl":null,"url":null,"abstract":"인문학의 위기는 연구 대상과 방법론의 진부함, 소통/융합의 부족, 현실적 효용성증명 실패 등으로 인해 초래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실 문제 해결에 주목하고, 문제의 복잡성에 대응하기 위해 융합 연구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연구 대상과 방법론을 적극 포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학의 경우, 타 언어와의 비교/대조 연구,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방향의 연구 사례로서 박완서 단편소설의 텍스트마이닝, 한국어 양태 종결어미와 중국어 문말어기사의 계량적 대조 연구를 제시하였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Diagnosis of the crisis of humanities and proposals for Korean linguistics : Focusing on research objects, methodology, convergence and utility\",\"authors\":\"JinHo Park\",\"doi\":\"10.24185/sswuhr.2023.08.48.69\",\"DOIUrl\":null,\"url\":null,\"abstract\":\"인문학의 위기는 연구 대상과 방법론의 진부함, 소통/융합의 부족, 현실적 효용성증명 실패 등으로 인해 초래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실 문제 해결에 주목하고, 문제의 복잡성에 대응하기 위해 융합 연구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연구 대상과 방법론을 적극 포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학의 경우, 타 언어와의 비교/대조 연구,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방향의 연구 사례로서 박완서 단편소설의 텍스트마이닝, 한국어 양태 종결어미와 중국어 문말어기사의 계량적 대조 연구를 제시하였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185/sswuhr.2023.08.48.6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185/sswuhr.2023.08.48.6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Diagnosis of the crisis of humanities and proposals for Korean linguistics : Focusing on research objects, methodology, convergence and utility
인문학의 위기는 연구 대상과 방법론의 진부함, 소통/융합의 부족, 현실적 효용성증명 실패 등으로 인해 초래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실 문제 해결에 주목하고, 문제의 복잡성에 대응하기 위해 융합 연구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연구 대상과 방법론을 적극 포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학의 경우, 타 언어와의 비교/대조 연구,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방향의 연구 사례로서 박완서 단편소설의 텍스트마이닝, 한국어 양태 종결어미와 중국어 문말어기사의 계량적 대조 연구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