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世纪30年代表现主义或无政府主义无产阶级艺术理论的去向

Jong-uck Kim
{"title":"20世纪30年代表现主义或无政府主义无产阶级艺术理论的去向","authors":"Jong-uck Kim","doi":"10.61392/shun.2023.08.01.01","DOIUrl":null,"url":null,"abstract":"1928년 12월에 결성된 미술단체 ‘녹향회’가 이듬해 5월에 개최한 제1회 녹향전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김주경과 함께 녹향회를 이끌었던 심영섭의 작품에 대해서 찬반양론이 뜨겁게 펼쳐졌다. 심영섭의 작품이 원근법을 따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림 속에 시를 써 넣는 등 실험적인 형식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안석주와 임화는 비판적이었던 반면, 이태준은 호의적이었다. 이러한 상반된 태도는 미술작품을 객관적 세계의 ‘재현’으로 보는 사실주의적 예술관과 예술을 작가의 내면적 세계의 ‘표현’으로 보는 표현주의적 예술관의 충돌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제1회 녹향전이 종료된 후 심영섭은 자신의 예술관을 직접 피력한 「아세아주의미술론」을 발표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이 글을 동아시아의 연대라는 의미로 이해해 왔지만, 심영섭은 기계론적 서구문명(동아시아에서 서구적 근대화를 이룩한 일본을 포함)이 몰락할 것으로 바라보면서 동양에서 발전시켜 온 인간 중심의 문화로 되돌아갈 것을 주장한다. 녹향회의 이념으로 제시되었던 ‘초록고향’의 실제 의미이기도 한 이러한 아세아주의론은 정치적으로 아나키즘과 연결되어 있었다.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아나키즘과 표현주의 미술은 점차 위축되었고, 심영섭은 그림 창작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김용준과 이태준 또한 실험 정신을 내세우기보다 전통으로 회귀한 듯한 태도를 취한다. 하지만, 그들이 회화적 전통으로 인정한 장승업의 작품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의 미학적 척도는 여전히 표현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이렇듯 표현주의라는 맥락에서 이태준을 바라본다면, 1930년대에 모더니스트들의 집단을 이끈 것이나 1945년 이후 문단에서의 인민전선에 가담한 것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9513,"journal":{"name":"Journal of Shimhoon","volume":"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Whereabouts of Expressionism or Anarchist Proletarian Art Theory in the 1930s\",\"authors\":\"Jong-uck Kim\",\"doi\":\"10.61392/shun.2023.08.01.01\",\"DOIUrl\":null,\"url\":null,\"abstract\":\"1928년 12월에 결성된 미술단체 ‘녹향회’가 이듬해 5월에 개최한 제1회 녹향전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김주경과 함께 녹향회를 이끌었던 심영섭의 작품에 대해서 찬반양론이 뜨겁게 펼쳐졌다. 심영섭의 작품이 원근법을 따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림 속에 시를 써 넣는 등 실험적인 형식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안석주와 임화는 비판적이었던 반면, 이태준은 호의적이었다. 이러한 상반된 태도는 미술작품을 객관적 세계의 ‘재현’으로 보는 사실주의적 예술관과 예술을 작가의 내면적 세계의 ‘표현’으로 보는 표현주의적 예술관의 충돌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제1회 녹향전이 종료된 후 심영섭은 자신의 예술관을 직접 피력한 「아세아주의미술론」을 발표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이 글을 동아시아의 연대라는 의미로 이해해 왔지만, 심영섭은 기계론적 서구문명(동아시아에서 서구적 근대화를 이룩한 일본을 포함)이 몰락할 것으로 바라보면서 동양에서 발전시켜 온 인간 중심의 문화로 되돌아갈 것을 주장한다. 녹향회의 이념으로 제시되었던 ‘초록고향’의 실제 의미이기도 한 이러한 아세아주의론은 정치적으로 아나키즘과 연결되어 있었다.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아나키즘과 표현주의 미술은 점차 위축되었고, 심영섭은 그림 창작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김용준과 이태준 또한 실험 정신을 내세우기보다 전통으로 회귀한 듯한 태도를 취한다. 하지만, 그들이 회화적 전통으로 인정한 장승업의 작품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의 미학적 척도는 여전히 표현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이렇듯 표현주의라는 맥락에서 이태준을 바라본다면, 1930년대에 모더니스트들의 집단을 이끈 것이나 1945년 이후 문단에서의 인민전선에 가담한 것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9513,\"journal\":{\"name\":\"Journal of Shimhoon\",\"volume\":\"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Shimho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61392/shun.2023.08.01.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Shimho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61392/shun.2023.08.01.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1928年12月成立的美术团体“绿香会”于第二年5月举办了第一届绿香展,吸引了很多人的关注。特别是对于和金周京一起领导绿乡会的沈英燮的作品,赞成和反对两种意见展开了热烈的讨论。因为沈英燮的作品不仅不遵守远近法,而且在画中写诗等以实验性的形式画了出来。对此,安锡柱和林华持批判态度,而李泰俊则持友好态度。这种相反的态度源于将美术作品视为客观世界“再现”的现实主义艺术观和将艺术视为作者内心世界“表现”的表现主义艺术观之间的冲突。第一届绿香展结束后,沈英燮发表了亲自阐述自己艺术观的《亚洲主义美术论》。此前很多研究者们留言一直是东亚的连带意义上理解,但沈永燮机械论西方文明(在东亚的西方式现代化取得的包括日本)将没落,看着在东方发展的以人类为中心的文化主张回去。作为鹿乡会的理念提出的“草绿色故乡”的实际意义的亚洲主义论在政治上与无政府主义相联系。进入20世纪30年代,无政府主义和表现主义美术逐渐萎缩,沈英燮停止创作绘画,回到了故乡。金龙俊和李泰俊也没有提倡实验精神,而是采取了回归传统的态度。但是,从被他们视为绘画传统的张承业的作品中可以看出,他们的美学尺度仍然以表现主义为基础。如果从表现主义的角度看待李泰俊,就可以重新理解他在20世纪30年代领导现代主义者集团和1945年以后加入文坛的人民战线。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The Whereabouts of Expressionism or Anarchist Proletarian Art Theory in the 1930s
1928년 12월에 결성된 미술단체 ‘녹향회’가 이듬해 5월에 개최한 제1회 녹향전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김주경과 함께 녹향회를 이끌었던 심영섭의 작품에 대해서 찬반양론이 뜨겁게 펼쳐졌다. 심영섭의 작품이 원근법을 따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림 속에 시를 써 넣는 등 실험적인 형식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안석주와 임화는 비판적이었던 반면, 이태준은 호의적이었다. 이러한 상반된 태도는 미술작품을 객관적 세계의 ‘재현’으로 보는 사실주의적 예술관과 예술을 작가의 내면적 세계의 ‘표현’으로 보는 표현주의적 예술관의 충돌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제1회 녹향전이 종료된 후 심영섭은 자신의 예술관을 직접 피력한 「아세아주의미술론」을 발표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이 글을 동아시아의 연대라는 의미로 이해해 왔지만, 심영섭은 기계론적 서구문명(동아시아에서 서구적 근대화를 이룩한 일본을 포함)이 몰락할 것으로 바라보면서 동양에서 발전시켜 온 인간 중심의 문화로 되돌아갈 것을 주장한다. 녹향회의 이념으로 제시되었던 ‘초록고향’의 실제 의미이기도 한 이러한 아세아주의론은 정치적으로 아나키즘과 연결되어 있었다.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아나키즘과 표현주의 미술은 점차 위축되었고, 심영섭은 그림 창작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김용준과 이태준 또한 실험 정신을 내세우기보다 전통으로 회귀한 듯한 태도를 취한다. 하지만, 그들이 회화적 전통으로 인정한 장승업의 작품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의 미학적 척도는 여전히 표현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이렇듯 표현주의라는 맥락에서 이태준을 바라본다면, 1930년대에 모더니스트들의 집단을 이끈 것이나 1945년 이후 문단에서의 인민전선에 가담한 것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