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nāga的心理知觉和Kuiji的MSF

Hyunhee Yang
{"title":"Dignāga的心理知觉和Kuiji的MSF","authors":"Hyunhee Yang","doi":"10.22255/jkabs.107.02","DOIUrl":null,"url":null,"abstract":"중국의 유가행파 전통에서 규기(窺基, 632-682)는 『인명입정리론소』(因明入正理論疏)와 『대승법원의림장』(大乘法苑義林章)에서 전5식과 함께하는 인식으로서 오구의식(五俱意識)을 언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오구의식을 의지각(意知覺, mānasa-pratyakṣa)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의지각이란 개념은 디그나가(Dignāga, ca.480-540)에 의해 불교인식론의 체계에서 정립된다. 디그나가에 따르면 현량(現量, pratyakṣa)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현현하는 인식이며, 의지각은 이러한 현량의 일종으로, 외계대상에 대한 인식과 탐(貪) 등에 대한 자기인식이다. 그런데 문제는 의지각이 감관지와는 달리 분별작용을 동반함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무분별지인 현량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의지각의 이 두 가지 상반된 인식의 범주, 즉 무분별지로서 성립해야 하는 부분과 분별지로서 작용해야 하는 부분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관해 많은 학자들이 어려움을 겪어왔다. 대만학자 컹칭(Keng Ching)은 디그나가의 의지각과 관련된 문제를 규기의 오구의식 개념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컹칭에 따르면 규기의 오구의식, 즉 전5식과 함께하는 의식은 디그나가의 의지각과 동일한 개념으로, 그는 오구의식의 파악대상인 ‘형태’를 통해 의지각이 현량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컹칭의 해석에 따르면 디그나가의 의지각과 규기의 오구의식을 완전히 동일하다고 취급할 수 없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그의 주장이 성립할 수 없는 이유를 지적하고 이에 따라 해석상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한다.","PeriodicalId":483221,"journal":{"name":"Han'gug bulgyohag","volume":"7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Dignāga’s Mental Perception and Kuiji’s MSF\",\"authors\":\"Hyunhee Yang\",\"doi\":\"10.22255/jkabs.107.02\",\"DOIUrl\":null,\"url\":null,\"abstract\":\"중국의 유가행파 전통에서 규기(窺基, 632-682)는 『인명입정리론소』(因明入正理論疏)와 『대승법원의림장』(大乘法苑義林章)에서 전5식과 함께하는 인식으로서 오구의식(五俱意識)을 언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오구의식을 의지각(意知覺, mānasa-pratyakṣa)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의지각이란 개념은 디그나가(Dignāga, ca.480-540)에 의해 불교인식론의 체계에서 정립된다. 디그나가에 따르면 현량(現量, pratyakṣa)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현현하는 인식이며, 의지각은 이러한 현량의 일종으로, 외계대상에 대한 인식과 탐(貪) 등에 대한 자기인식이다. 그런데 문제는 의지각이 감관지와는 달리 분별작용을 동반함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무분별지인 현량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의지각의 이 두 가지 상반된 인식의 범주, 즉 무분별지로서 성립해야 하는 부분과 분별지로서 작용해야 하는 부분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관해 많은 학자들이 어려움을 겪어왔다. 대만학자 컹칭(Keng Ching)은 디그나가의 의지각과 관련된 문제를 규기의 오구의식 개념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컹칭에 따르면 규기의 오구의식, 즉 전5식과 함께하는 의식은 디그나가의 의지각과 동일한 개념으로, 그는 오구의식의 파악대상인 ‘형태’를 통해 의지각이 현량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컹칭의 해석에 따르면 디그나가의 의지각과 규기의 오구의식을 완전히 동일하다고 취급할 수 없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그의 주장이 성립할 수 없는 이유를 지적하고 이에 따라 해석상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한다.\",\"PeriodicalId\":483221,\"journal\":{\"name\":\"Han'gug bulgyohag\",\"volume\":\"7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bulgyo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5/jkabs.107.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bulgyo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5/jkabs.107.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中国油价行派的传统在圭(窺基、632 - 682)整理的《人名论》(牛带来明入正,論疏)和《大乘法院的林场》一书(大法苑林前5章)在仪式和喜一起作为认识奥구의식(五俱意識提及)的。而且这种意志各(奥구의식意知覺,mānasa - pratyakṣa)和看作是同一的东西。意志角这一概念是由迪格纳(Dign)在佛教认识论体系中确立的。据迪他出去贤良,党的(現pratyakṣa)是对象的直接显现的认识,也是意志各这种贤良的一种,对外界对象认识和汤姆(자기인식貪)等。但问题是,尽管意志不同于感官,伴有分别作用,但如何作为无分别的贤良成立。对于意志知觉这两种相反认识的范畴,即作为无分别地应该成立的部分和作为分别地应该起作用的部分,从逻辑上进行说明,很多学者经历了困难。台湾学者Keng Ching想通过圭基的误球意识概念来解决迪格纳的意志角相关问题。根据坑称,圭基的误球意识,即与前5式一起进行的意识是与迪格纳的意志角相同的概念,他通过误球意识的把握对象“形态”,提出了意志角作为玄量成立的根据。但是根据坑称的解释,会发生不能将迪格纳的意志角和圭基的错误意识完全相同的错误,因此本书指出了他的主张不能成立的理由,并试图据此纠正解释上的错误。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Dignāga’s Mental Perception and Kuiji’s MSF
중국의 유가행파 전통에서 규기(窺基, 632-682)는 『인명입정리론소』(因明入正理論疏)와 『대승법원의림장』(大乘法苑義林章)에서 전5식과 함께하는 인식으로서 오구의식(五俱意識)을 언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오구의식을 의지각(意知覺, mānasa-pratyakṣa)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의지각이란 개념은 디그나가(Dignāga, ca.480-540)에 의해 불교인식론의 체계에서 정립된다. 디그나가에 따르면 현량(現量, pratyakṣa)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현현하는 인식이며, 의지각은 이러한 현량의 일종으로, 외계대상에 대한 인식과 탐(貪) 등에 대한 자기인식이다. 그런데 문제는 의지각이 감관지와는 달리 분별작용을 동반함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무분별지인 현량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의지각의 이 두 가지 상반된 인식의 범주, 즉 무분별지로서 성립해야 하는 부분과 분별지로서 작용해야 하는 부분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관해 많은 학자들이 어려움을 겪어왔다. 대만학자 컹칭(Keng Ching)은 디그나가의 의지각과 관련된 문제를 규기의 오구의식 개념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컹칭에 따르면 규기의 오구의식, 즉 전5식과 함께하는 의식은 디그나가의 의지각과 동일한 개념으로, 그는 오구의식의 파악대상인 ‘형태’를 통해 의지각이 현량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컹칭의 해석에 따르면 디그나가의 의지각과 규기의 오구의식을 완전히 동일하다고 취급할 수 없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그의 주장이 성립할 수 없는 이유를 지적하고 이에 따라 해석상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