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佛教中咒语的创作方法

Chungwhan Sung, Seungsuk Jung
{"title":"韩国佛教中咒语的创作方法","authors":"Chungwhan Sung, Seungsuk Jung","doi":"10.22255/jkabs.107.07","DOIUrl":null,"url":null,"abstract":"한글 창제 이후 간행된 한글 진언집과 불교 의례서에 수록된 진언들 중에는 한국불교에서만 통용된 특수한 진언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이 같은 한국 불교 특유의 진언들은 그다지 인지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한국불교 특유의 진언들 13개를 선별하여 이것들의 개발 방식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한다. 첫째, 신조어 진언은 범어의 음역이 아니라 한자의 조어를 진언의 내용으로 구사한다. 예컨대 무병수진언에서는 정체혜체(定體醯體), 불삼신진언에서는 호철모니(呼徹牟尼), 등의 조어를 구사한다. 둘째, 조합형은 진언들의 일부를 조합함으로써 별개의 진언이 된 것들이다. 이 진언들은 예컨대 정형구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나모 사만다 못다남”(namaḥ samanta-buddhānā)에 다른 진언의 일부 구절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셋째, 발췌형 진언은 기존의 진언에서 일부를 발췌하거나 연결하여 별개의 진언으로 분리한 것들이다. 예컨대 생반진언은 다른 진언들에서 흔히 사용되는 옴(oṃ), 시리(śrī), 사바하(svāhā)를 연결한다. 넷째, 교체·추가형 진언은 기존의 진언들 용어를 일부를 교체나 추가하여 새로운 명칭을 부여한 것들이다. 예컨대 삼십이상진언은 대비삼마지진언의 사바라(sphara)만을 사바하(svāhā)로 교체했다. 한국불교에서는 의례의 용도에 적합한 새로운 명칭의 진언을 계발하면서 기존의 진언들을 충분히 섭렵하여 응용했다. 진언의 개발 방식 중에서 특히 범어의 음역이 아닌 한자로 신조어를 구사하여 개발한 진언은 한국불교의 독창성을 대변하는 것으로 특기할 만하다.","PeriodicalId":483221,"journal":{"name":"Han'gug bulgyohag","volume":"10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Creation Methods of Mantra in Korean Buddhism\",\"authors\":\"Chungwhan Sung, Seungsuk Jung\",\"doi\":\"10.22255/jkabs.107.07\",\"DOIUrl\":null,\"url\":null,\"abstract\":\"한글 창제 이후 간행된 한글 진언집과 불교 의례서에 수록된 진언들 중에는 한국불교에서만 통용된 특수한 진언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이 같은 한국 불교 특유의 진언들은 그다지 인지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한국불교 특유의 진언들 13개를 선별하여 이것들의 개발 방식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한다. 첫째, 신조어 진언은 범어의 음역이 아니라 한자의 조어를 진언의 내용으로 구사한다. 예컨대 무병수진언에서는 정체혜체(定體醯體), 불삼신진언에서는 호철모니(呼徹牟尼), 등의 조어를 구사한다. 둘째, 조합형은 진언들의 일부를 조합함으로써 별개의 진언이 된 것들이다. 이 진언들은 예컨대 정형구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나모 사만다 못다남”(namaḥ samanta-buddhānā)에 다른 진언의 일부 구절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셋째, 발췌형 진언은 기존의 진언에서 일부를 발췌하거나 연결하여 별개의 진언으로 분리한 것들이다. 예컨대 생반진언은 다른 진언들에서 흔히 사용되는 옴(oṃ), 시리(śrī), 사바하(svāhā)를 연결한다. 넷째, 교체·추가형 진언은 기존의 진언들 용어를 일부를 교체나 추가하여 새로운 명칭을 부여한 것들이다. 예컨대 삼십이상진언은 대비삼마지진언의 사바라(sphara)만을 사바하(svāhā)로 교체했다. 한국불교에서는 의례의 용도에 적합한 새로운 명칭의 진언을 계발하면서 기존의 진언들을 충분히 섭렵하여 응용했다. 진언의 개발 방식 중에서 특히 범어의 음역이 아닌 한자로 신조어를 구사하여 개발한 진언은 한국불교의 독창성을 대변하는 것으로 특기할 만하다.\",\"PeriodicalId\":483221,\"journal\":{\"name\":\"Han'gug bulgyohag\",\"volume\":\"10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bulgyo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5/jkabs.107.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bulgyo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5/jkabs.107.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创制韩文以后发行的韩文真言集和佛教礼仪书中收录的真言中,有不少只在韩国佛教通用的特殊的真言。但是这种韩国佛教特有的真言却不被人们所认识。本论文筛选出13个韩国佛教特有的真言,将它们的开发方式分为4种进行考察。第一,新造词真言不是用梵语的音译,而是用汉字的造词作为真言的内容。在无兵真言中使用定体六体,在佛三神真言中使用呼铁母尼等新造词。第二,组合型是将进言的一部分组合起来而成为另一种进言。这些真言例如情况区频繁使用的(nama "罗某samantha未完"ḥsamanta - buddhānā),其他真言的一些句子追加的方式组成。第三,拔萃型进言是从现有的进言中摘录一部分或连接起来,分离成另外的进言。例如生班的真言在其他真言常用的欧姆(oṃ)、西里(śāhārī)、사바하(sv)连接。第四,替换、追加型进言是将现有的进言用语的一部分替换或追加,赋予了新的名称。例如,三十多岁的进言只把大妃三马镇言的司瓦拉(sphara)换成了司巴哈(sv, lah, lah)。韩国佛教在开发适合礼仪用途的新名称真言的同时,充分涉猎和应用了现有的真言。在真言的开发方式中,不是用梵语的音译,而是用汉字创造新造词开发的真言是代表韩国佛教独创性的特别之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The Creation Methods of Mantra in Korean Buddhism
한글 창제 이후 간행된 한글 진언집과 불교 의례서에 수록된 진언들 중에는 한국불교에서만 통용된 특수한 진언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이 같은 한국 불교 특유의 진언들은 그다지 인지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한국불교 특유의 진언들 13개를 선별하여 이것들의 개발 방식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한다. 첫째, 신조어 진언은 범어의 음역이 아니라 한자의 조어를 진언의 내용으로 구사한다. 예컨대 무병수진언에서는 정체혜체(定體醯體), 불삼신진언에서는 호철모니(呼徹牟尼), 등의 조어를 구사한다. 둘째, 조합형은 진언들의 일부를 조합함으로써 별개의 진언이 된 것들이다. 이 진언들은 예컨대 정형구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나모 사만다 못다남”(namaḥ samanta-buddhānā)에 다른 진언의 일부 구절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셋째, 발췌형 진언은 기존의 진언에서 일부를 발췌하거나 연결하여 별개의 진언으로 분리한 것들이다. 예컨대 생반진언은 다른 진언들에서 흔히 사용되는 옴(oṃ), 시리(śrī), 사바하(svāhā)를 연결한다. 넷째, 교체·추가형 진언은 기존의 진언들 용어를 일부를 교체나 추가하여 새로운 명칭을 부여한 것들이다. 예컨대 삼십이상진언은 대비삼마지진언의 사바라(sphara)만을 사바하(svāhā)로 교체했다. 한국불교에서는 의례의 용도에 적합한 새로운 명칭의 진언을 계발하면서 기존의 진언들을 충분히 섭렵하여 응용했다. 진언의 개발 방식 중에서 특히 범어의 음역이 아닌 한자로 신조어를 구사하여 개발한 진언은 한국불교의 독창성을 대변하는 것으로 특기할 만하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