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尚柱国在》的组成与一致性述评——《尚柱国在》的编导建议

Jungmi Han
{"title":"《尚柱国在》的组成与一致性述评——《尚柱国在》的编导建议","authors":"Jungmi Han","doi":"10.22255/jkabs.107.08","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에서는 고서(古書)에 수록된 상주권공재의 의식문헌을 토대로 상주권공재의 구성과 체계를 살펴보고 현행 상주권공재와의 동이(同異)를 비교분석 하였다. 더불어 상주권공재의 원형에 정합성(整合性)을 확보하고자 의례집에 수록된 의식문의 공통성을 도출하여 의식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상주권공재의 의식체계는 신중작법, 엄정의식, 설법의식, 건단의식, 소청상위 [제불통청, 관음별청], 소청중위[신중단], 소청하위[관음시식], 회향의식[봉송·회향]으로 정립된다. 또한 상주권공재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설단(設壇)의 채비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사찰에서 언제든 설행할 수 있는 상용의범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둘째, 도량교주(道場敎主)의 존격(尊格)을 갖추고 응신(應身)으로서 항상 도량에 상주하여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한국불교의 관음신앙을 토대로 하고 있다. 셋째, 망자를 위한 추천(追薦)의 성격과 재자(齋者)의 현세 안녕과 복을 위한 염원이 대등하게 공존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상주권공재의 의식체계를 갖추고 있는 의식집이 보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례연구가 활발치 못한 연유로 현대에 발간된 특정 의식집에만 의존하여 누락되고 생략된 의식문 그대로 상주권공재가 설행되어 왔다. 자료가 없으면 모를까 보존된 자료가 있으므로 올바른 전승을 위한 일환으로 본고에서 밝힌 의례집을 중심으로 상주권공재의 의식체계에 맞게 새롭게 편찬되어 복원되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83221,"journal":{"name":"Han'gug bulgyohag","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Review on Composition and Consistency of Sangjugwongongjae - A Proposal for Conducting Sangjugwongongjae -\",\"authors\":\"Jungmi Han\",\"doi\":\"10.22255/jkabs.107.08\",\"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에서는 고서(古書)에 수록된 상주권공재의 의식문헌을 토대로 상주권공재의 구성과 체계를 살펴보고 현행 상주권공재와의 동이(同異)를 비교분석 하였다. 더불어 상주권공재의 원형에 정합성(整合性)을 확보하고자 의례집에 수록된 의식문의 공통성을 도출하여 의식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상주권공재의 의식체계는 신중작법, 엄정의식, 설법의식, 건단의식, 소청상위 [제불통청, 관음별청], 소청중위[신중단], 소청하위[관음시식], 회향의식[봉송·회향]으로 정립된다. 또한 상주권공재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설단(設壇)의 채비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사찰에서 언제든 설행할 수 있는 상용의범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둘째, 도량교주(道場敎主)의 존격(尊格)을 갖추고 응신(應身)으로서 항상 도량에 상주하여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한국불교의 관음신앙을 토대로 하고 있다. 셋째, 망자를 위한 추천(追薦)의 성격과 재자(齋者)의 현세 안녕과 복을 위한 염원이 대등하게 공존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상주권공재의 의식체계를 갖추고 있는 의식집이 보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례연구가 활발치 못한 연유로 현대에 발간된 특정 의식집에만 의존하여 누락되고 생략된 의식문 그대로 상주권공재가 설행되어 왔다. 자료가 없으면 모를까 보존된 자료가 있으므로 올바른 전승을 위한 일환으로 본고에서 밝힌 의례집을 중심으로 상주권공재의 의식체계에 맞게 새롭게 편찬되어 복원되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83221,\"journal\":{\"name\":\"Han'gug bulgyohag\",\"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bulgyo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5/jkabs.107.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bulgyo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5/jkabs.107.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稿以收录在古书中的常州权公才意识文献为基础,查看了常州权公才的构成和体系,比较分析了与现行常州权公才的同异。同时,为了在常州圈公材的原型中确保精华性,导出了收录在礼仪集中的意识文的共同性,提示了意识文的方向性。其结果,奏折圈公斋的意识体系被确立为慎重作法、严正仪式、说法仪式、建旦仪式、诉请上层(祭佛统厅、观音别厅)、诉请中尉(神中段)、诉请下级(观音试吃)、回香仪式(传递·回香)。另外,从尚州圈公斋的特性来看,第一,由于雪坛(生水齐家)的准备非常容易,因此具有在寺庙随时都可以过年的常用义范的性质。第二,以具有道场教主尊格,作为应身经常常住道场救济众生的韩国佛教观音信仰为基础。第三,具有为亡者推荐的性格和对斋者现世安宁和福的愿望平等共存的特性。虽然保存着具有丧主权公才意识体系的仪式集,但由于礼仪研究不活跃,只依赖于现代发行的特定仪式集,按照遗漏和省略的仪式文,一直在设置丧主权公才。虽然没有资料也不知道,但也有保存的资料,因此,作为正确传承的一环,应该以主楼公开的礼仪集为中心,重新编纂并复原符合常州权公才的意识体系。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Review on Composition and Consistency of Sangjugwongongjae - A Proposal for Conducting Sangjugwongongjae -
본고에서는 고서(古書)에 수록된 상주권공재의 의식문헌을 토대로 상주권공재의 구성과 체계를 살펴보고 현행 상주권공재와의 동이(同異)를 비교분석 하였다. 더불어 상주권공재의 원형에 정합성(整合性)을 확보하고자 의례집에 수록된 의식문의 공통성을 도출하여 의식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상주권공재의 의식체계는 신중작법, 엄정의식, 설법의식, 건단의식, 소청상위 [제불통청, 관음별청], 소청중위[신중단], 소청하위[관음시식], 회향의식[봉송·회향]으로 정립된다. 또한 상주권공재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설단(設壇)의 채비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사찰에서 언제든 설행할 수 있는 상용의범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둘째, 도량교주(道場敎主)의 존격(尊格)을 갖추고 응신(應身)으로서 항상 도량에 상주하여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한국불교의 관음신앙을 토대로 하고 있다. 셋째, 망자를 위한 추천(追薦)의 성격과 재자(齋者)의 현세 안녕과 복을 위한 염원이 대등하게 공존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상주권공재의 의식체계를 갖추고 있는 의식집이 보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례연구가 활발치 못한 연유로 현대에 발간된 특정 의식집에만 의존하여 누락되고 생략된 의식문 그대로 상주권공재가 설행되어 왔다. 자료가 없으면 모를까 보존된 자료가 있으므로 올바른 전승을 위한 일환으로 본고에서 밝힌 의례집을 중심으로 상주권공재의 의식체계에 맞게 새롭게 편찬되어 복원되어야 할 것이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