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父母允许学龄前儿童观看Youtube的动机对父母调解和观看时间的影响","authors":"Yun-Jung Choi, Min-jung Kim","doi":"10.22876/kab.2023.37.4.008","DOIUrl":null,"url":null,"abstract":"부모들의 유튜브 시청허용 동기가 시청 중재와 시청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만 5∼6세 미취학 아동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연구 결과, 유아들의 새로운 경험, 간접경험과 지식함양을 위한 학습 동기,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또래 어울림, 사회성 발달 등을 위한 사회성 동기, 부모들의 휴식 및 가사 등의 업무를 위한 휴식 동기, 아이들을 달래기 위한 보모동기, 칭찬받을 일을 했을 때 주어지는 보상 동기 이렇게 총 5개의 동기가 추출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 중심적인 동기인 휴식 동기, 보모 동기, 보상 동기는 세 가지 중재 방식인 공동 시청, 설명적 중재, 제한적 중재 방식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대로 유아 중심적인 학습 동기와 사회성 동기는 세 가지 중재 방식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재가 유튜브 시청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동 시청과 제한적 중재 방식은 시청시간을 감소시키고, 설명적 중재의 경우 시청시간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8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 of Parents’ Motivation for Allowing Their Preschoolers to Watch Youtube on Parental Mediation and Viewing Time\",\"authors\":\"Yun-Jung Choi, Min-jung Kim\",\"doi\":\"10.22876/kab.2023.37.4.008\",\"DOIUrl\":null,\"url\":null,\"abstract\":\"부모들의 유튜브 시청허용 동기가 시청 중재와 시청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만 5∼6세 미취학 아동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연구 결과, 유아들의 새로운 경험, 간접경험과 지식함양을 위한 학습 동기,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또래 어울림, 사회성 발달 등을 위한 사회성 동기, 부모들의 휴식 및 가사 등의 업무를 위한 휴식 동기, 아이들을 달래기 위한 보모동기, 칭찬받을 일을 했을 때 주어지는 보상 동기 이렇게 총 5개의 동기가 추출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 중심적인 동기인 휴식 동기, 보모 동기, 보상 동기는 세 가지 중재 방식인 공동 시청, 설명적 중재, 제한적 중재 방식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대로 유아 중심적인 학습 동기와 사회성 동기는 세 가지 중재 방식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재가 유튜브 시청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동 시청과 제한적 중재 방식은 시청시간을 감소시키고, 설명적 중재의 경우 시청시간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8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876/kab.2023.37.4.0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876/kab.2023.37.4.0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Effect of Parents’ Motivation for Allowing Their Preschoolers to Watch Youtube on Parental Mediation and Viewing Time
부모들의 유튜브 시청허용 동기가 시청 중재와 시청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만 5∼6세 미취학 아동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연구 결과, 유아들의 새로운 경험, 간접경험과 지식함양을 위한 학습 동기,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또래 어울림, 사회성 발달 등을 위한 사회성 동기, 부모들의 휴식 및 가사 등의 업무를 위한 휴식 동기, 아이들을 달래기 위한 보모동기, 칭찬받을 일을 했을 때 주어지는 보상 동기 이렇게 총 5개의 동기가 추출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 중심적인 동기인 휴식 동기, 보모 동기, 보상 동기는 세 가지 중재 방식인 공동 시청, 설명적 중재, 제한적 중재 방식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대로 유아 중심적인 학습 동기와 사회성 동기는 세 가지 중재 방식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재가 유튜브 시청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동 시청과 제한적 중재 방식은 시청시간을 감소시키고, 설명적 중재의 경우 시청시간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