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媒介使用、使用感受和使用评价对学业拖延行为的影响:基于媒介类型差异效应的研究","authors":"Weiqing Kong, Yongkuk Chung","doi":"10.22876/kab.2023.37.4.00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메신저 서비스, SNS,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게임 등 미디어 유형별 이용수준이 학업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학생들이 자신의 미디어 이용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평가를 부정적 감정(죄책감), 부정적 평가(중독), 긍정적 감정(재미), 긍정적 평가(활력)로 구분하여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전국 단위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n = 338)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디어 이용 수준이 학업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디어 이용 후 느끼는 감정과 이용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학업지연 행동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련을 맺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미디어 유형별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학업지연 행동과 관련이 있는 변인들은 메신저 이용 죄책감, SNS 이용 죄책감, 동영상 중독, 게임에 대한 재미, 게임을 통한 활력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이용과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였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s of Media Usage, Feelings and Appraisal of Usage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 Focusing on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ypes of Media\",\"authors\":\"Weiqing Kong, Yongkuk Chung\",\"doi\":\"10.22876/kab.2023.37.4.00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메신저 서비스, SNS,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게임 등 미디어 유형별 이용수준이 학업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학생들이 자신의 미디어 이용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평가를 부정적 감정(죄책감), 부정적 평가(중독), 긍정적 감정(재미), 긍정적 평가(활력)로 구분하여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전국 단위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n = 338)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디어 이용 수준이 학업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디어 이용 후 느끼는 감정과 이용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학업지연 행동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련을 맺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미디어 유형별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학업지연 행동과 관련이 있는 변인들은 메신저 이용 죄책감, SNS 이용 죄책감, 동영상 중독, 게임에 대한 재미, 게임을 통한 활력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이용과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였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876/kab.2023.37.4.0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876/kab.2023.37.4.0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Effects of Media Usage, Feelings and Appraisal of Usage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 Focusing on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ypes of Media
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메신저 서비스, SNS,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게임 등 미디어 유형별 이용수준이 학업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학생들이 자신의 미디어 이용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평가를 부정적 감정(죄책감), 부정적 평가(중독), 긍정적 감정(재미), 긍정적 평가(활력)로 구분하여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전국 단위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n = 338)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디어 이용 수준이 학업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디어 이용 후 느끼는 감정과 이용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학업지연 행동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련을 맺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미디어 유형별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학업지연 행동과 관련이 있는 변인들은 메신저 이용 죄책감, SNS 이용 죄책감, 동영상 중독, 게임에 대한 재미, 게임을 통한 활력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이용과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