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投资组合理论的电力组合最优策略研究","authors":"Nahyun Kim, Jong-Ho Hong","doi":"10.15301/jepa.2023.31.3.2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의 확대가 가격 변동성과 비용 불확실성을 함께 고려한 기대효용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량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포트폴리오 이론을 활용하여 경제적 효용을 비교 · 분석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방향성에 대한 경제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의 전원구성을 기준(reference)으로 설정하고, 재생에너지 확대와 화석에너지 감축에 관한 국소적인 변화를 통해 효용 개선 효과를 분석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재생에너지의 확대를 환경 및 윤리적 당위성뿐만 아니라, 경제적 효용차원의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86226,"journal":{"name":"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volume":"8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Study on the Optimal Strategy for the Electricity Mix Based on the Portfolio Theory\",\"authors\":\"Nahyun Kim, Jong-Ho Hong\",\"doi\":\"10.15301/jepa.2023.31.3.2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의 확대가 가격 변동성과 비용 불확실성을 함께 고려한 기대효용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량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포트폴리오 이론을 활용하여 경제적 효용을 비교 · 분석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방향성에 대한 경제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의 전원구성을 기준(reference)으로 설정하고, 재생에너지 확대와 화석에너지 감축에 관한 국소적인 변화를 통해 효용 개선 효과를 분석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재생에너지의 확대를 환경 및 윤리적 당위성뿐만 아니라, 경제적 효용차원의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86226,\"journal\":{\"name\":\"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volume\":\"8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301/jepa.2023.31.3.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301/jepa.2023.31.3.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Study on the Optimal Strategy for the Electricity Mix Based on the Portfolio Theory
이 연구는 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의 확대가 가격 변동성과 비용 불확실성을 함께 고려한 기대효용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량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포트폴리오 이론을 활용하여 경제적 효용을 비교 · 분석하고, 재생에너지 확대 방향성에 대한 경제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의 전원구성을 기준(reference)으로 설정하고, 재생에너지 확대와 화석에너지 감축에 관한 국소적인 변화를 통해 효용 개선 효과를 분석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재생에너지의 확대를 환경 및 윤리적 당위성뿐만 아니라, 경제적 효용차원의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