麻醉崎雅治的“新宗教”理论及其实际应用

Youn Seung Lee
{"title":"麻醉崎雅治的“新宗教”理论及其实际应用","authors":"Youn Seung Lee","doi":"10.36429/crrc.44.4","DOIUrl":null,"url":null,"abstract":"아네사키 마사하루(姉崎正治, 1873~1949)는 뛰어난 인도학자이며 불교학자이자, 일본 종교학의 창시자 혹은 확립자라고 평가된다. 본고에서는 그의 ‘신종교’ 이론과 그 실천적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종교학의 한 측면을 조명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신종교와 ‘신종교’를 혼효하여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오해가 야기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나는 신종교와 ‘신종교’를 구분하여, 아네사키의 ‘신종교’에 관하여 탐구하였다. 이 글에서 말하는 ‘신종교’란 당시 일본이 처했던 새로운 역사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이상적인 종교이자, 과학적인 지식과도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종교였다. 이는 메이지 20년대에 나타난 종교계의 새로운 경향과 이념들을 반영하고 있으며, 주로 지식층의 지지를 받았다.아네사키의 ‘신종교’ 이론은 〈메이지 30년사〉의 제7편인 <종교>에서 전개되었다. 그는 메이지 시대의 특수한 역사적, 문화적 상황에서 ‘신종교’가 요구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아네사키는 ‘일본의 종교사는 포괄과 융합의 역사’라고 하였으며, 그 특색이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 바로 ‘신종교’라고 하였다. 24~25세의 젊은 나이에 전개했던 그의 ‘신종교’론은 사실상 종교학자와 종교인으로서의 그의 생애 전반을 통하여 지속되었다. 1896년에 개최된 종교가간담회는 메이지 20~30년대의 ‘신종교’ 운동의 정점을 이루었는데, 아네사키가 여기에 참석했던 일은 그의 학문적, 사회적 활동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그 이후, 정유윤리회(본래정유간화회로 출범), 1904년의 전시종교가간담회(戰時宗敎家懇談會), 1911년의 삼교회동(三敎會同) 등의 ‘신종교’ 활동에서 아네사키는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1896년의 종교가간담회로부터 1911년의 삼교회동에 이르기까지의 종교 간의 상호 협조의 역사를 회고하면서, 아네사키는 이러한 활동을 선도해왔던 것은 자신과 자신이 이끌던 문과대학 종교학과였음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아네사키의 ‘신종교’ 이론과 그 실천이 그의 종교학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 작업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PeriodicalId":492156,"journal":{"name":"Jong'gyo munhwa bi'pyeong","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asaharu Anesaki’s Theory of ‘New Religion’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authors\":\"Youn Seung Lee\",\"doi\":\"10.36429/crrc.44.4\",\"DOIUrl\":null,\"url\":null,\"abstract\":\"아네사키 마사하루(姉崎正治, 1873~1949)는 뛰어난 인도학자이며 불교학자이자, 일본 종교학의 창시자 혹은 확립자라고 평가된다. 본고에서는 그의 ‘신종교’ 이론과 그 실천적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종교학의 한 측면을 조명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신종교와 ‘신종교’를 혼효하여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오해가 야기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나는 신종교와 ‘신종교’를 구분하여, 아네사키의 ‘신종교’에 관하여 탐구하였다. 이 글에서 말하는 ‘신종교’란 당시 일본이 처했던 새로운 역사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이상적인 종교이자, 과학적인 지식과도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종교였다. 이는 메이지 20년대에 나타난 종교계의 새로운 경향과 이념들을 반영하고 있으며, 주로 지식층의 지지를 받았다.아네사키의 ‘신종교’ 이론은 〈메이지 30년사〉의 제7편인 <종교>에서 전개되었다. 그는 메이지 시대의 특수한 역사적, 문화적 상황에서 ‘신종교’가 요구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아네사키는 ‘일본의 종교사는 포괄과 융합의 역사’라고 하였으며, 그 특색이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 바로 ‘신종교’라고 하였다. 24~25세의 젊은 나이에 전개했던 그의 ‘신종교’론은 사실상 종교학자와 종교인으로서의 그의 생애 전반을 통하여 지속되었다. 1896년에 개최된 종교가간담회는 메이지 20~30년대의 ‘신종교’ 운동의 정점을 이루었는데, 아네사키가 여기에 참석했던 일은 그의 학문적, 사회적 활동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그 이후, 정유윤리회(본래정유간화회로 출범), 1904년의 전시종교가간담회(戰時宗敎家懇談會), 1911년의 삼교회동(三敎會同) 등의 ‘신종교’ 활동에서 아네사키는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1896년의 종교가간담회로부터 1911년의 삼교회동에 이르기까지의 종교 간의 상호 협조의 역사를 회고하면서, 아네사키는 이러한 활동을 선도해왔던 것은 자신과 자신이 이끌던 문과대학 종교학과였음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아네사키의 ‘신종교’ 이론과 그 실천이 그의 종교학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 작업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PeriodicalId\":492156,\"journal\":{\"name\":\"Jong'gyo munhwa bi'pyeong\",\"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ng'gyo munhwa bi'pye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429/crrc.44.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ng'gyo munhwa bi'pye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429/crrc.44.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元崎正治(1873—1949)是一位杰出的印度学者和佛教学者,被认为是日本宗教学的创始人或确立者。本书聚焦他的“新宗教”理论及其实践模式,揭示了他的宗教学的一个侧面。以前的研究将新宗教和“新宗教”混合使用,往往会引起不必要的误会,但我将新宗教和“新宗教”区分开来,对阿内萨奇的“新宗教”进行了研究。本文所说的“新宗教”是当时日本所处的新的历史状况所要求的理想宗教,也是与科学知识相协调的新型宗教。这反映了明治20年代出现的宗教界的新倾向和理念,主要得到了知识阶层的支持。阿内崎的“新宗教”理论在《明治30年史》第七篇中展开。他解释说,在明治时代特殊的历史、文化状况下,需要“新宗教”。阿内崎认为“日本的宗教史是包括与融合的历史”,最能体现其特色的就是“新宗教”。他在24至25岁的年轻时期提出的“新宗教”理论实际上在他作为宗教学者和宗教人士的整个生涯中都得以延续。1896年举行的宗教家座谈会是明治20~30年代“新宗教”运动的顶点,阿内崎的出席对他的学术和社会活动具有重大意义。此后,炼油伦理协会(本来炼油简化电路上台),1904年的战时宗教座谈会(戰時至跳出家懇谈话还是不要2017-01-16,1911年的三校会晤(三跳出會一)等的“신종교”活动中,阿崎你起了主导作用。在回顾从1896年宗教家座谈会到1911年三校会晤的宗教间相互合作的历史时,阿内萨奇自豪地说,引领这一活动的是他和他领导的文科大学宗教学科。从这一点来看,可以确认阿内崎的“新宗教”理论及其实践是贯穿他整个宗教学的核心工作。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Masaharu Anesaki’s Theory of ‘New Religion’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아네사키 마사하루(姉崎正治, 1873~1949)는 뛰어난 인도학자이며 불교학자이자, 일본 종교학의 창시자 혹은 확립자라고 평가된다. 본고에서는 그의 ‘신종교’ 이론과 그 실천적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종교학의 한 측면을 조명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신종교와 ‘신종교’를 혼효하여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오해가 야기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나는 신종교와 ‘신종교’를 구분하여, 아네사키의 ‘신종교’에 관하여 탐구하였다. 이 글에서 말하는 ‘신종교’란 당시 일본이 처했던 새로운 역사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이상적인 종교이자, 과학적인 지식과도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종교였다. 이는 메이지 20년대에 나타난 종교계의 새로운 경향과 이념들을 반영하고 있으며, 주로 지식층의 지지를 받았다.아네사키의 ‘신종교’ 이론은 〈메이지 30년사〉의 제7편인 <종교>에서 전개되었다. 그는 메이지 시대의 특수한 역사적, 문화적 상황에서 ‘신종교’가 요구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아네사키는 ‘일본의 종교사는 포괄과 융합의 역사’라고 하였으며, 그 특색이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 바로 ‘신종교’라고 하였다. 24~25세의 젊은 나이에 전개했던 그의 ‘신종교’론은 사실상 종교학자와 종교인으로서의 그의 생애 전반을 통하여 지속되었다. 1896년에 개최된 종교가간담회는 메이지 20~30년대의 ‘신종교’ 운동의 정점을 이루었는데, 아네사키가 여기에 참석했던 일은 그의 학문적, 사회적 활동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그 이후, 정유윤리회(본래정유간화회로 출범), 1904년의 전시종교가간담회(戰時宗敎家懇談會), 1911년의 삼교회동(三敎會同) 등의 ‘신종교’ 활동에서 아네사키는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1896년의 종교가간담회로부터 1911년의 삼교회동에 이르기까지의 종교 간의 상호 협조의 역사를 회고하면서, 아네사키는 이러한 활동을 선도해왔던 것은 자신과 자신이 이끌던 문과대학 종교학과였음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아네사키의 ‘신종교’ 이론과 그 실천이 그의 종교학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 작업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